View : 686 Download: 0

의과대학의 문제기반학습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의 역할이 상호작용 및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Title
의과대학의 문제기반학습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의 역할이 상호작용 및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Learner's Perceived Roles of a Tutor on Interactions and Learning Outcomes in Problem-Based Learning in a Medical School
Authors
강주현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의학 지식의 획득 자체를 최우선의 목표로 삼아왔던 전통적인 의학교육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에 많은 의과대학에서는 문제기반학습(Problem-Based Learning, 이하 PBL)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단편적인 의학지식을 많이 알고 있는 의사보다는 의학지식을 자율적으로 찾아 이해하고, 환자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이를 응용할 줄 아는 의사를 길러내기 위함이다. PBL을 통하여 의과대학 학생들에게 이러한 능력을 성공적으로 함양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설계자, 안내자, 평가자로서의 튜터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Olmesdahl & Manning, 1999).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튜터의 정의는 ‘PBL을 구성하는 소집단 학습과 자율학습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학습을 촉진하는 사람’이다(서울대학교 의과대학, 2001; 박은경, 2003 재인용). 특히 PBL은 학습자의 협동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 방법이기 때문에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것 또한 튜터의 중요한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과대학 PBL에서 튜터의 역할이 상호작용과 학습결과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재 튜터가 수행하고 있는 역할의 변화에 대한 방향 설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다룬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과대학 PBL에서 튜터의 역할(정교화 촉진, 과정 감독, 지식 통합, 상호작용 촉진)과 그룹 상호작용(밀도), 학습결과(학업성취도, 참여도, 학습자 만족도)는 그룹 단위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가? 둘째, 의과대학 PBL에서 튜터의 역할(정교화 촉진, 과정 감독, 지식 통합, 상호작용 촉진)은 개인 상호작용(내향중심성, 외향중심성)과 개별 학습결과(학업성취도, 참여도, 학습자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가? 본 연구를 위해서 2008년 4월, H대학교 의과대학 본과 2학년 학생에게 개설된 ‘기초 PBL’ 수업을 수강하는 6개 그룹 42명의 학생들과 6명의 튜터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과정 시작 초에 그룹 간 사전지식의 동질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전 검사가 실시되었으며, 과정이 끝난 이후에 학습자를 대상으로 담당 튜터에 대해서 인식한 튜터의 역할에 대한 설문과, 학업성취도, 참여도, 학습자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상호작용 지수는 비디오 분석을 통해 개인별 메시지를 수신활동과 발신활동으로 코딩하여 그룹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밀도와 개인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내․외향중심성을 도출하였다. 먼저, 그룹 단위에서 튜터의 역할, 그룹 상호작용, 그룹 학습결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그룹 간 튜터의 역할, 그룹 상호작용, 그룹 학습결과 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여섯 개의 그룹의 각 평균 점수에 대해서 순위를 매겨 비모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서는 튜터의 역할에 대한 그룹의 평균 점수와, 그룹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밀도 지수, 학습 결과(학업성취도, 참여도, 학습자 만족도)의 그룹 평균 점수를 사용하였다. 개인 간의 튜터의 역할, 상호작용, 학습결과 변인 간의 선형적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각 개별 학생이 인지한 튜터의 역할의 하위영역 점수, 개인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내향․외향중심성 지수, 그리고 각 개인의 학습 결과(학업성취도, 참여도, 학습자 만족도) 점수를 사용하였다. 그룹과 개인의 상호작용 지수는 비디오 분석을 통해 산출한 학습자의 수신․발신 활동을 사회연결망 분석 도구인 NetMiner 3을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통계 분석을 위하여 SPSS 12.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 문제에 따라 그룹 단위와 개인 단위의 분석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그룹 단위의 튜터의 역할과 그룹 상호작용, 그리고 학습결과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튜터의 역할 중에서 그룹 상호작용과 상관관계가 있는 하위요인은 과정 안내(r = .81, p < .05), 지식 통합(r = .83, p < .05), 상호작용 촉진(r = .83, p < .05)이고, 정교화를 촉진하는 역할은 그룹 상호작용과 아무런 관계가 없었다. 둘째, 정교화를 촉진하는 튜터의 역할은 그룹의 학업성취도(r = .83, p < .05), 학습자 만족도(r = .93, p < .01)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과정을 안내하는 역할은 학업성취도(r = .81, p < .05), 참여도(r = .97, p = .001)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지식을 통합하는 튜터의 역할은 학업성취도(r = .94, p < .05), 학습자 만족도(r = .99, p = .001)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호작용 촉진의 경우에는 학습결과 중 상관을 보이는 하위요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룹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밀도는 학습결과의 하위 요인 중, 학업성취도(r = .94, p < .01)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참여도와 학습자 만족도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개별 학습자가 인지하는 튜터의 역할과 개인의 상호작용, 개인의 학습결과의 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튜터의 역할수행 중 상호작용 촉진은 학습자의 내향중심성을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β = .446)으로 나타났으며, F(1, 40) = 9.924, p < .01, 외향중심성 또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β = .549)으로 나타났다, F(1, 40) = 17.264, p = .001. 둘째, 개인 상호작용 중 외향중심성은 학업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β = .436)으로 나타났으며, F(1, 40) = 9.374, p < .01, 참여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β = .481)으로 나타났다, F(1, 40) = 12.019, p < .01. 셋째, 튜터의 역할과 학습결과 간의 매개역할 검증을 위한 2단계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튜터의 역할의 영향을 제거한 상태에서 매개변수인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이 투입되었을 때, 학습결과를 예측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의 역할이 학습결과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도 없으며, 상호작용이 튜터의 역할과 학습결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그룹 단위의 분석에서 그룹 수가 적어 변인 간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더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튜터의 역할의 네 개의 하위 영역 즉, 정교화촉진, 과정 감독, 지식 통합, 그리고 상호작용 촉진에 대한 튜터 전략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규정된 네 개의 하위영역은 그룹 혹은 개인의 상호작용, 그리고 학습결과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영역에 따른 튜터의 전략 혹은 지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도출된 그룹 간의 관계 지수는 그룹 내 상호작용을 정량화하여 나타낸 것으로, 어떤 내용의 메시지를 발신하고, 수신하는지는 고려하지 않았으나 학습자의 메시지 분석을 통한 질적 연구를 추가하여 상호작용의 양 뿐만 아니라 질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나타난 그룹 내에서 학습자의 위치에 따라 학습결과가 어떻게 달라지고,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심층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In order to correct defects in conventional medical education practices which have laid the primary purpose on acquiring knowledge of medical science per se, recently many medical schools have introduced Problem-Based Learning(PBL) and have been implementing it. It's because rather than doctors whose knowledge is much but fragmentary, doctors who could actively find medical knowledge, make it their own one, and then apply it to solving their patients' problems, should be cultivated. Tutors have an important role in successful building this ability among medical students through PBL. The role of tutors is defined as designing, guiding, and evaluating the curriculum. The most generally used definition of a tutor is that 'a person who facilitates small group and voluntary learning which constitutes PBL' (Medical colleg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1; Park Eun-Kyeong, 2003, re-citation). Especially, since PBL is a learning methodology based on collaborate learning among learners, also it can be said to be the important role of tutors that promotes interactions among students. In light of this,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whether roles of a tutor in classes with PBL significantly predicts interactions and learning outcomes among groups. This can contribute to exploring the ideal direction indicating how the currently roles of a tutor should be changed.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 1. Is ther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oles of a tutor, interaction, and learning outcomes at the group level in the PBL in medical schools? 1-1. Is ther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oles of a tutor (elaboration, directing the learning process, integration of knowledge, and stimulating interaction) and group interaction (density)? 1-2. Is ther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oles of a tutor (elaboration, directing the learning process, integration of knowledge, and stimulating interaction) and group's learning outcomes average (achievement, learner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1-3. Is ther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roup interaction (density) and group's learning outcomes average(achievement, learner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2. Do roles of a tutor (elaboration, directing the learning process, integration of knowledge, and stimulating interaction) significantly predict personal interaction (in-centrality, out-centrality) and personal learning outcomes (achievement, learner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in the PBL in medical schools? 2-1. Do roles of a tutor (elaboration, directing the learning process, integration of knowledge, and stimulating interaction) significantly predict characteristics of personal interaction (in-centrality, out-centrality)? 2-2. Do roles of a tutor (elaboration, directing the learning process, integration of knowledge, and stimulating interaction) significantly predict personal learning outcomes (achievement, learner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2-3. Do characteristics of personal interaction (in-centrality, out-centrality) serve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prediction of personal learning outcomes (achievement, learner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by roles of a tutor? First of all,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roles of a tutor, group interaction and group results among the six group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nonparametric statistics. For relation analysis, the researcher used average group scores of roles of a tutor, density indices indicating group interaction, and average group scores of learning outcomes. In order to analyz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of roles of a tutor at the individual leaner level, personal interaction and personal learning outcome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is, the researcher derived individual learners' perceived roles of a tutor scores, indices of in-centrality, out-centrality indicating personal interaction, and personal learning result scores. NetMiner 3, a social network analysis program was employed for interaction among learners, and SPSS 12.0 for windows, a statistical processing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In sum, findings from this study by analysis with groups and individuals are as the following. First of all, findings with regard to the correlation between roles of a tutor at group learner level, group interaction and group learning outcomes are as below. First, of roles of a tutor, subfactors which have the correlation with group interaction were process guidance (r = .81, p < .05), knowledge integration (r = .83, p < .05), and interaction promotion (r = .83, p < .05), and the role of elaboration has nothing to do with group interaction. Second, the role of elaboration has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r = .83, p < .05) and learners' satisfaction (r = .93, p < .01), and the role of guiding processes showed the higher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r = .81, p < .05), learner participation (r = .97, p = .001). The roles of a tutor of integration of knowledge was found to have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r = .94, p < .01) and learners' satisfaction (r = .99, p = .001), while interaction facilitation has no correlation with subvariables of learning outcomes. Third, density indicating group interaction was found to have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one of subvariables of learning outcomes (r = .94, p < .01). However, it has nothing to do with learner participation and learners' satisfaction. Next, findings from regression analysis on evaluation of individual learners' perceived roles of a tutor, personal interaction, and personal learning outcomes, are as the following. First, of roles of a tutor performance, interaction facilitation was found to be a variable (β = .446)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predicting learners' in-centrality, F(1, 40) = 9.924, p < .01, as well as a variable (β = .549) significantly predicting out-centrality, F(1, 40) = 17.264, p = .001. Second, of personal interaction, out-centrality was found to be a variable (β = .436)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predicting achievement F(1, 40) = 9.374, p < .01, as well as a variable (β = .481)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predicting learner participation, F(1, 40) = 12.019, p < .01. Third, in 2 tier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roles of a tutor and learning outcomes, it was revealed that when inserting subfactors of interaction as a mediating variable with the elimination of the influence of roles of a tutor, it did not predict learning outcomes. This result shows that roles of a tutor have no direct effect on learning outcomes and interaction play no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roles of a tutor and learning outcom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posed for further studies. First, in this study, due to the small number of groups, regress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could not be conducted. Therefore further studies with the larger number of samples are required. Second, figures of the relation between groups derived from the social network analysis indicated the quantified relation within groups, not considering which content of messages was sent and which was received, but further studies should take not only the quantity but also the quality of interaction into consideration, by adding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analyzing learners' messages. In addition, there are needed in-depth studies on how learning outcomes vary and how interaction is affected depending on learners' position within groups indicated by the social network analys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