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경숙-
dc.creator김경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3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3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497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0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974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to cognition of a teacher and strategies of teacher regarding an children's behavior problem. For the above purpose,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1. How is cognition of teachers regarding children's behavior problem? 2. How is coping strategy of teachers regarding children's behavior problem? 3. How is the relationship of teacher's cognition and teacher's coping strategies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 This research survey was based on Seoul and Kyungki areas'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nd public and private daycare center teachers, 166 people all together. The cognition of teachers regarding an children's behavior problem was measured type of children's behavior problem which was developed by Essa(1988). And a coping strategy of a teacher was measured by TSQ which was developed by Yeon Ha, Kim. The study made use of frequency analysis, percentiles, means, technical statistic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s and cronbach's α, and conducted scheffe test multiple range test for post-hoc.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responded that general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was mostly severely aggressive and antisocial behavior. The teachers to have a lot of careers was high recognition regardi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The teachers having had scholarship more than a graduate school was high recognition regardi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There was not difference that noted statistically in class size and kindergarten management hours. Second,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often used positive proactive strategy Ⅱ. The teachers to have a lot of careers often used positive proactive strategy Ⅰ. The teachers having had scholarship more than a graduate school often used positive proactive strategy and positive reactive strategy. In the class size of 20 and less often used positive proactive strategy and positive reactive strategy. In the half-day often used positive reactive strategy. Finally,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teacher's cognition and teacher's coping strategies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gnition of teachers regarding children's behavior problem and positive proactive strateg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ggressive behavior and positive proactive strategy, positive reactive strateg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on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positive proactive strategy.;본 연구는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대처전략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1-2. 교사의 학력에 따라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1-3. 학급 크기에 따라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1-4. 학급 운영시간에 따라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2.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대처전략은 어떠한가? 2-1. 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대처전략은 차이가 있는가? 2-2. 교사의 학력에 따라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대처전략은 차이가 있는가? 2-3. 학급 크기에 따라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대처전략은 차이가 있는가? 2-4. 학급 운영시간에 따라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대처전략은 차이가 있는가? 3.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사의 대처 전략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의 국·공·사립 유치원과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유아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Essa(1988)의 유아 문제행동 유형을 사용하였으며,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대처전략을 알아보기 위해서 김연하(2007)가 제작한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척도-교사용(Teacher Strategy Questionnaire: TSQ)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대처전략의 전반적인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관련 변인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대처전략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고 사후 검증으로 Scheffe test를 하였다.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대처전략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검사 도구의 내적합치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 값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문제행동 유형에 있어서 교사들은 공격적·반사회적 행동을 가장 문제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라서는 교사의 경력이 10년이상인 집단이 1년이상-3년미만의 집단보다 유아 문제행동 유형 전체와 공격적·반사회적 행동 유형, 감정적·의존적 행동 유형에 대해 더 문제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학력에 따라서는 대학원 이상의 집단이 유아 문제행동 유형 중 공격적·반사회적 행동유형에 대해 다른 학력 집단 전체 보다 더 문제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해하는 행동유형에서는 대학원 이상의 집단이 2-3년제 대학졸업 집단보다 더 문제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급 크기와 학급 운영 시간에 따라서는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대처전략에 있어서 교사들은 명확한 일과계획 및 기대수준과 관련된 긍정적 예방전략Ⅱ의 사용정도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라서는 교사의 경력이 10년이상인 집단이 1년이상-3년미만의 집단보다 환경 재배치 및 긍정적 행동을 유도하는 긍정적 예방전략Ⅰ을 더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학력에 따라서는 4년제 대학을 졸업한 교사와 대학원 이상의 학력을 가진 교사들이 보육교사교육원을 졸업한 교사들보다 긍정적 예방 전략과 긍정적 반응전략을 더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급 크기에 따라서는 학급 크기가 20명 이하인 집단이 30명 이상의 집단보다 긍정적 예방전략과 긍정적 반응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급 운영시간에 따라서는 반일제와 시간연장제로 학급을 운영하는 집단이 8시간 이상을 운영하는 종일제 학급의 교사들보다 긍정적 반응전략을 더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사의 대처전략은 서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문제행동 유형 전체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 예방전략 전체와 긍정적 예방전략Ⅰ과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고, 공격적·반사회적 행동 유형은 긍정적 예방전략 전체와 긍정적 예방전략Ⅰ, 긍정적 예방전략Ⅱ, 긍정적 반응전략과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활동의 기피행동 유형은 긍정적 예방전략 전체와 긍정적 예방전략Ⅰ과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유아 문제행동 = 6 B. 교사의 대처전략 = 10 1.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예방적 전략 = 10 2.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반응적 전략 = 11 C.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대처전략의 관계 = 14 Ⅲ. 연구 방법 = 16 A. 연구 대상 = 16 B. 연구 도구 = 18 C. 연구 절차 = 20 D.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 21 Ⅳ. 연구 결과 = 22 A.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 22 B.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대처전략 = 28 C.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대처전략의 관계 = 34 Ⅴ. 논의 및 결론 = 35 A. 논의 = 35 B. 결론 및 제언 = 39 참고문헌 = 41 부록 = 46 ABSTRACT =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66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대처전략-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ognition of teachers and strategies of teachers regarding an children's behavior problem-
dc.creator.othernameKim, Kyoung Sook-
dc.format.pageix, 5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