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규리-
dc.creator최규리-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5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5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2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9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270-
dc.description.abstract개인의 다양성을 고려한 교육은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과학 교육의 주요 과제 중 하나이다. 학교 교육에서 이러한 수업을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특성뿐 아니라 학습자에게 적합한 효과적 학습 방법이 무엇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학 교사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중학생들이 수업에서 보여주는 학습양식에 대해 탐색해보고 실제 과학 학습에서 고려해야 할 학습자들의 다양성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중학교 과학 경력 교사 20명과의 개별면담은 반구조화 면담 형식으로 1회, 60~90분 정도 진행되었다. 면담은 교사의 교육 경험 이야기를 듣는 단계와 기존 이론이 학생들의 학습양식을 잘 설명하고 있는지 교사들의 의견을 들어보는 단계로 이루어졌다. 면담 내용은 모두 녹음되었고, 전사하여 개념들을 도출하고 범주화하였으며(1차 코딩), 범주들 간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확인하였다(2차 코딩). 이렇게 분석된 각각의 사례들은 다시 사례 간 비교 분석을 통해 20명의 교사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및 주제 등을 찾아보았다. 연구 결과, 참여 교사들은 학생들의 학습양식에 대해 네 가지 유형으로 인식하고 있었는데, 이는 인지능력의 차이, 학습 접근 태도의 차이, 사회적 상호작용의 차이, 학습방법의 차이이다. 첫째, 인지능력의 차이는 학생들의 발달 단계나 성취에서 다양성을 느끼는 형태이고, 둘째, 학습 접근 태도의 차이는 관심이나 흥미에 따라 과학 학습에 대한 접근 태도가 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사회적 상호작용의 차이는 교사와 학생 간 질문이나 응답 형태 등에서 나타나는 차이이며, 넷째, 학습방법의 차이는 학습방법에 있어 다양한 전략들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중학교 과학 교사들은 그들의 교육 경험 속에서 학생들의 학습양식에 대해 대체적으로 감각적이며 활동적이라 이해하고 있었다. 상호작용에 있어 나타나는 학생들의 학습양식에 대해서는 수업에서 모두 관찰되어지나 유형화하는데 큰 의미를 느끼지 못하였다. 또한, 학습양식에 대한 인식을 수업에 반영하는데 있어 교사들의 교수양식 적용 형태는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첫째, 교사가 학생들의 학습양식을 파악하여 이에 맞는 교수양식을 제공하는 유형, 둘째, 교사가 학생들의 학습양식을 파악하여 이에 부족한 부분을 채우거나 보충할 수 있는 형태의 교수양식을 제공하는 유형, 셋째, 너무나 다양한 학생들의 학습양식에 맞추기 어려우므로 다양한 교수양식을 제공하는 유형, 마지막으로 교사의 교육신념과 경험에 의해 형성된 실천적 지식을 바탕으로 학습양식 보다는 교사의 자신 있는 교수양식을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유형이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수양식뿐 아니라 학습양식에 대한 이해와 이에 대한 적용에 있어서도 복합적인 형태를 나타냈기 때문에 이를 한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교사들이 교육 경험 속에서 인식한 학생들의 학습양식은 교사의 교수방법을 변화시키는 하나의 원인이 될 수는 있으나, 교수양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원인은 교수양식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교사의 교육 철학이나 신념 등이며, 많은 교사들은 학습자들의 학습양식을 고려하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 인식하고 이미 실천하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학습양식은 학생 개개인의 다양한 학습양식이라기 보다는 보편적인 중학생들의 학습양식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학습양식의 다양성을 교육현장에서 존재하는 하나의 단순한 현상으로 받아들이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습양식에 대한 교사들의 좀 더 적극적인 인식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교사 교육이나 연수 등을 통해 학습양식과 교수양식의 연관성에 대한 구체적 예시들을 교사들에게 소개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의 학습양식을 고려한 수업은 학생들의 내적 동기를 증가시키는데도 효과적이며,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는 능동적 학습자로 성장시키는 원동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plore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on learning styles and to investigate effective teaching styles. The major data source was gather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20 individual science teachers (about 60-90 minutes for each interview). Most of the teachers have more than 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in middle schools (about 14 years in average).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 protocol, which consisted of two major parts: (1)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on students' individuality in learning and (2) reinterpretation of learning style models. All the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Data analysis started from initial and focused coding, suggested by Charmaz(2000). A cross-case analysis was performed to obtain more general insights regarding the phenomen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tend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learning styles as individual differences in (1) cognitive ability, (2) attitudes toward science learning, (3) social interaction patterns with teachers, and (4) learning skills. Second, there were four categories on matching learning and teaching styles: teachers provided students with teaching style (1) matched on learning styles, (2) supplementary to insufficient learning styles, (3) variously because of difficulty in matching on diverse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4) of their own with confidence through long experience. Of course, it is difficult to classify teachers as one type. Because teachers have manifold teaching styles as well as understanding about students' learning styles. Overall,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s' learning style was a cause of changing teaching method but, did not have direct influence on teaching on teaching style. This means that teaching style may be more affected by teacher's belief. Also, many of teachers practice in their class considering students' learning style. But most of teachers recognized students' learning style as generality rather than individual variations. Therefore, it needs to introduce specific cases of relationship with learning style and teaching style to teach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용어 정의 = 4 D.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학습양식 = 6 1. 학습양식의 개념 = 6 2. 학습양식의 유형 = 10 가. 인지적 성향 중심 = 13 나. 정보처리 과정 중심 = 19 다. 교육 환경 선호 중심 = 30 3. 학습양식의 연구동향 = 35 B. 교수양식 = 39 1. 교수양식의 유형 = 40 2. 교수양식과 학습양식의 조화 = 44 C. 교사의 실천적 지식 = 45 1. 실천적 지식의 개념 = 45 2. 교사 이야기(narrative) = 48 Ⅲ. 연구 방법 = 50 A. 연구 설계 = 50 B. 연구 대상 = 51 C. 자료 수집 및 분석 = 53 1. 연구자의 역할 = 53 2. 자료 수집 = 54 3. 자료 분석 = 55 가. 분석 체계 = 59 나. 사례 간 비교 분석 = 60 다. 결과의 제시 = 61 4. 연구의 신뢰도 확보 = 62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64 A.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나타난 학습양식에 대한 이해 = 64 1. 학습양식 이해에 대한 유형 = 64 가. 인지 능력의 차이 = 65 나. 학습에 대한 접근 태도의 차이 = 67 다. 사회적 상호작용의 차이 = 71 라. 학습방법의 차이 = 73 2. 학습양식 이론에 대한 교사들의 견해 = 76 가. 정보처리 과정 중심 학습양식 = 76 나. 사회적 상호작용 중심 학습양식 = 88 3. 중학생들의 과학 학습양식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92 B. 학습양식과 연관된 교수양식 분석 = 97 1. 교사들의 사례 = 97 가. 최 교사 = 99 나. 강 교사 = 102 다. 장 교사 = 106 라. 한 교사 = 111 마. 신 교사 = 113 2. 학습양식과 교수양식과의 연관성 유형 = 116 가. 학습양식에 맞는 교수양식 제공 = 117 나. 부족한 학습양식을 보충하는 교수양식 제공 = 118 다. 다양한 교수양식 제공 = 121 라. 실천적 지식에 따른 자신 있는 교수양식 제공 = 123 Ⅴ. 결론 및 제언 = 127 A. 결론 = 127 B. 제언 = 131 참고문헌 = 135 ABSTRACT = 14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202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중학생의 과학 학습양식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과 교수양식에 관한 질적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ing styles by investigating practical knowledge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dc.creator.othernameChoi, Kyou Lee-
dc.format.pageviii, 14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과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