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0 Download: 0

만 5세 유아들 모래놀이의 집단 구성, 놀잇감 및 주제 선정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Title
만 5세 유아들 모래놀이의 집단 구성, 놀잇감 및 주제 선정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Group Composition, Materials, Theme Choice in Sand Play of Five-Year Old Kindergarten Children : An Ethnographic Study
Authors
김소영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이 유치원 실외 자유선택활동 시간 중 모래놀이의 시작과정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초롱 유치원 만 5세 햇살반의 모래놀이를 살펴보며 모래놀이의 집단 구성과 놀잇감 및 주제 선정에 대하여 문화기술적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롱 유치원 만 5세 햇살반 유아들은 모래놀이에서 놀이집단을 어떻게 구성하는가· 2. 초롱 유치원 만 5세 햇살반 유아들은 모래놀이에서 놀잇감을 어떻게 선정하는가· 3. 초롱 유치원 만 5세 햇살반 유아들은 모래놀이에서 놀이주제를 어떻게 선정하는가· 본 연구는 대구시 D구에 위치한 초롱 유치원 만 5세 햇살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이 학급 유아 34명과 교사 2명이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07년 7월 20일부터 2007년 9월 13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들은 총 26회의 참여관찰, 형식적·비형식적 면담, 비디오 촬영 및 사진 촬영, 문서수집 등을 통하여 수집되었다. 본 연구자는 현장 약기와 녹음 및 비디오 녹화 내용으로 현장기록과 면담 전사본을 만들었다. 수집된 자료는 Bogdan과 Biklen(2006)이 제시한 대로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햇살반 유아들의 모래놀이에서 나타나는 집단구성은 고정적으로 모이는 놀이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고정적인 모래놀이집단 구성’과 특정 놀이를 위해 모이거나 놀이 진행 중 자연스럽게 놀이집단이 이루어지는 ‘발현적인 모래놀이집단 구성’이 있었다. 발현적인 모래놀이집단 구성에는 우연한 기회에 특정 놀이를 위해 집단을 구성하는 ‘특정 놀이를 위해 모인 유아들로 놀이집단 구성’이 있으며, 이미 진행되고 있는 놀이에 참여를 시도한 유아를 포함하여 집단을 구성하는 ‘놀이 중 참여를 희망한 유아를 포함하여 놀이집단 구성’과 놀이를 먼저 진행하고 있었던 놀이집단의 구성원이 주변의 또래에게 역할을 부여하여 놀이에 초대를 하면서 놀이집단을 구성하는 ‘놀이에 초대받은 유아를 포함하여 놀이집단 구성’이 있었다. 둘째, 햇살반 유아들이 모래놀이에서 놀잇감을 선정하는 데에 있어서 놀이주제를 먼저 생각하기 보다는 자신이 선호하는 놀잇감을 먼저 확보하고 난 후, 주제를 선정하는 경우가 나타났으며 선호하는 놀잇감은 성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또한 놀이주제를 먼저 정한 유아들은 그 놀이에 필요한 놀잇감을 선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모래놀이영역에 늦게 들어온 유아들은 자신이 원하는 놀잇감을 선정하기 보다는 남아있는 놀잇감 중에서 선정을 하고 난 후, 놀이를 하는 중에 주변의 또래에게 필요한 놀잇감을 빌리기도 하였다. 셋째, 햇살반 유아들에게서 나타난 모래놀이는 구성놀이가 역할놀이에 비해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자연환경을 놀이주제로 한 구성물 만들기가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그 다음 순으로 음식, 인공환경을 놀이주제로 한 구성물 만들기가 나타났다. 햇살반 유아들의 모래놀이에서 나타나는 주제 선정은 유아에 의한 주제 선정과 교사에 의한 주제 선정으로 나누어 졌다. 유아에 의한 주제 선정은 ‘유아 본인의 주제 선정’, ‘또래의 일방적인 주제 선정’, ‘상호협의에 의한 주제 선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들의 놀이에 변화를 주기 위해서 ‘교사에 의한 주제 선정’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상과 같이 햇살반 유아들의 모래놀이에서 나타나는 집단 구성, 놀잇감 및 주제 선정을 알아봄으로써 교사의 역할을 교육적 시사점으로 살펴 볼 수 있다. 교사는 개별유아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로 유아들이 다양한 또래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도와주고 다양한 종류의 놀잇감을 제공하며 유아들이 자신에게 필요한 놀잇감을 선정하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또한 물의 공급 유무를 고려하고 주변의 물체 및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 교육자료를 제공하며, 주제 선정에서 또래 간의 토의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sand play's beginning, one of a kindergarten's outside free-choice activities. Therefore, I analyzed group composition, materials, and theme choice of sand play in five-year-old children's class at a Kindergarten through an ethnographic method.Detailed issues are as follows: 1. How do five-year old children from Haetsal class in Cholong kindergarten compose play groups in sand play? 2. How do five-year old children from Haetsal class in Cholong kindergarten choose play materials in sand play? 3. How do five-year old children from Haetsal class in Cholong kindergarten choose play themes in sand play?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34 five-year-old children from Haetsal class and 2 teachers in Cholong kindergarten, which is located at D-Ku in Daegu. I collected date for this research from July 20th, 2007 to September 13th, 2007 through a total of 26 participating observation,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Children. The researcher produced field records and interview transcripts with the contents from field jotting, recording and video recording. The collected data were coded and categorized for analysis as Bogdan and Biklen(2006) suggested..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group compositions detected in sand play of children from Haetsal class were the 'fixed composition of sand play group' of children who regularly play together and the 'emergent composition of sand play group' of children who get together for certain play or became close while playing with sand. Emergent composition of sand play group included the following three types: the composition of play group of children who got together for certain play; the composition of play group which included children who wanted to join in the play after the play initiated; the composition of play group which contained children who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play by the member of the play group. Secondly, when choosing play materials in sand play, children from Haetsal class showed differences in their preference for play materials according to their gender. Some children thought of play theme after they obtained play materials. Those who decided play theme first chose play materials necessary for the play. And children who were late participated in sand play selected play materials which were left rather than choosing what they wanted. And while they were playing they borrowed play materials which are they needed from their peers. Thirdly, constructive play was more frequently detected than role play among children from Haetsal class.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theme of constrictive play was natural environment followed by food, artificial environment. The theme choice of sand play of children can be categorized into theme choice by the child and theme choice by the teacher. Theme choice by the child included 'theme choice by the child himself', 'theme choice made unilaterally by peers', and 'theme choice made by agreement each other'. And for a change in children's play, a teacher chose a theme. In conclusion, the examination of group composition, play materials and theme choice detected in sand play of children from Haetsal class suggested the teacher's desirable roles in terms of education. The teacher should assist children to form various peer relationships by paying attention to an individual child, provide them with various play materials, and teach them to choose play materials which they needed. In addition, teachers should consider whether children can easily get water nearby and provide children with education materials that they can observe properties of objects or phenomena around them. Also, they should teach children to decide play theme through discussion with pe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