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성희-
dc.creator이성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6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1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8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16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 삶의 경험 중, 유치원 교사가 기억하고 있는 어릴 적 놀이경험이 교사가 갖고 있는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과 교수 행위를 이해하고, 그 중요성을 인식하는데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사가 기억하고 있는 놀이 경험은 어떠한가? 2. 유치원 교사의 놀이교육신념은 어떠한가? 3. 유치원 교사가 기억하고 있는 놀이 경험과 놀이교육신념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치원 교사 258명이다. 연구 도구는 유치원 교사가 기억하고 있는 놀이경험과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교사용 질문지를 사용하였는데, 개인적 특성을 묻는 문항, 교사가 기억하고 있는 어릴 적 놀이경험을 묻는 문항,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 도구는 김영숙, 김성수(2001)의 연구에서 제시한 유아놀이에 대한 교사의 3가지 신념 유형 즉, 생활-경험신념, 발달-규범신념, 문화-환경 신념별로 각 신념유형의 교사들이 가장 강하게 드러내고 있는 진술문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5점 척도로 평정할 수 있게 문항으로 수정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가 기억하고 있는 놀이 공간, 놀이 시간, 놀잇감, 놀이자와 관련한 놀이경험의 평정점수를 비교해 보면, 연구 대상으로 참여한 유치원 교사들은 공통적으로 실외놀이, 동적 놀이를 더 많이 하였고, 학습보다는 놀이의 비중이 높았고, 놀이시간도 비교적 충분했다고 기억하고 있었다. 또한 놀잇감과 관련하여 놀잇감 가운데 전자매체가 차지하는 정도는 낮았으며, 주로 혼자 놀기보다는 집단으로 놀이하였다고 기억하고 있었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별 평균을 비교해 보면 교사들의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은 생활-경험의 신념, 발달-규범의 신념, 문화-환경의 신념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각 신념 수준은 중 이상으로 세 가지 신념 유형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셋째, 유치원 교사들이 기억하고 있는 어릴 적 놀이경험과 교사의 신념과의 관계는 부분적으로 상관이 낮게 있었다. 유아교사가 어릴 적 동적인 놀이를 많이 했다고 기억했을수록 발달-규범의 신념을 뚜렷하게 갖고 있었으며, 어릴 적 놀잇감의 구조성이 낮거나, 놀이시 놀잇감의 성유형 구분이 뚜렷하지 않고, 놀잇감을 직접 만들거나 찾아서 놀았으며, 놀잇감 가운데 전자매체가 적었다고 기억하고 있었을수록 생활-경험의 신념과 문화-환경의 신념을 뚜렷하게 갖고 있었다.;Many kindergarten teachers may remember their own early childhood play. Their memories of the play are one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teacher's beliefs about pla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lay memories and their beliefs about play. I hope this study will give kindergarten teachers opportunities to think about their own beliefs about play and to reinforce their knowledge about the importance of pla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memories do teachers have about their own play experience as children: place, time, materials, and player regarding play? 2. What beliefs do teacher have about play in relation to life-experienced, developmental-disciplinary, and cultural-environmental? 3. Are there any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play memoriesand beliefs about play?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Teachers who agreed on this study were the subjects. 6 pages of questions were mailed or handed to 45 kindergartens in Seoul. 267 teachers responded. 9 sets of the answer sheets were excluded because there were some errors in their choice: no answer, multiple choice, or ambiguous checking etc. Thus, 258 of the 267 sets(87.4%)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o know the teacher's beliefs about play, Kim's belief types about play(2001) was adopted to this study.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data, SPSS(for Window) statistics program was used in dealing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re teachers who answered to the questions remembered they played much more outdoors than indoors, and did more active play than quiet play. They remembered that they spent more time playing than learning and that they had enough time for playing. Also, they thought that they did not have much contact with media. They preferred playing with many friends to solitary playing. Second, concerning belief about play, their priority was: firstly, life-experienced, next, developmental-disciplinary, and finally, cultural-environmental. Third, a weak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eacher's play memories and teacher belief about play. The more actively they played during their childhood, the more developmental-disciplinary belief type they had. The more they played with open materials, with non-sex stereotyped materials and with fewer media, the more life-experienced belief or cultural-environmental belief type they had. In additions, the more they played with adapted natural materials than commercial toys, the more life-experienced belief or cultural-environmental belief type they ha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II. 이론적 배경 = 5 A. 유치원 교사의 교육신념 = 5 B. 유아기의 놀이 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 = 10 C. 유치원 교사가 기억하고 있는 어릴 적 놀이 경험과 교육신념의 관계 = 16 D. 선행연구 = 19 III. 연구방법 = 24 A. 연구대상 = 24 B. 연구도구 = 25 C. 연구절차 = 29 D. 자료분석 = 30 IV. 결과 및 해석 = 31 A. 유치원 교사가 기억하는 놀이경험 = 31 B. 유치원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 = 33 C. 유치원 교사가 기억하는 놀이경험과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의 관계 = 34 V. 논의 및 결론 = 38 A. 논의 = 38 B. 결론 및 제언 = 45 참고문헌 = 48 부록 = 55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168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치원 교사가 기억하는 어릴 적 놀이경험과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lay Memories and Beliefs about Play-
dc.creator.othernameLee, Sung Hee-
dc.format.pagev,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