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수경-
dc.creator전수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9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2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8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22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서울시 어린이집 영아반의 실외놀이 운영 실태와 교사의 인식에 관해 알아봄으로써 영아 실외놀이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서울시 어린이집 영아반의 실외놀이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1-1. 영아반을 위한 실외놀이의 환경은 어떠한가? 이는 시설변인(시설유형, 평가인증 참여, 영아 전담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2. 영아반 실외놀이의 운영 방법은 어떠한가? 이는 시설변인(시설유형, 평가인증참여, 영아 전담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3. 영아반을 위한 실외놀이 시설의 안전점검은 어떠한가? 이는 시설변인(시설유형, 평가인증 참여, 영아 전담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영아의 실외 놀이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1. 영아를 위한 실외놀이 공간과 시설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2. 영아반 실외놀이의 교육적 효과 및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3. 영아반 실외놀이 운영의 어려움과 개선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어린이집(273 곳)의 영아반(0세, 1세, 2세) 교사 273명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보육 시설과 영아반 교사의 일반적인 배경을 묻는 질문을 포함하여 실외놀이 운영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묻는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다중 응답 분석, 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어린이집 영아반의 실외놀이의 전반적인 운영 실태는 첫째, 환경적인 면에서 보면 서울시 어린이집의 실외놀이 공간과 시설, 영아 전용의 공간과 시설은 부족하고 영역 구성과 놀이시설은 다양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시설에서 영아의 실외놀이를 위해 어린이집과 가까운 동네놀이터와 공원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영아들은 주로 걸어서 이동하였다. 시설변인에 따라 실외놀이 환경 실태는 차이가 있었는데 실외놀이 공간과 시설의 설치 정도는 국공립과 평가인증을 받은 시설이 높았고 영아만을 위한 실외놀이 공간과 시설의 설치 정도는 법인 및 직장시설과 가정 시설이 높았다. 둘째, 운영방법 측면에서 보면 많은 시설에서 실외놀이를 실시하며 주제를 고려하여 계획안을 작성하고 있다. 실외놀이를 계획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영아의 통제 및 안전 문제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고 하였는데 교사들의 실외놀이의 계획에 있어서 실외놀이 공간과 시설이 없는 것보다는 영아의 통제 및 안전이 더 큰 장애요인이 됨을 알 수 있다. 실외놀이는 매일, 하루에 1회, 1시간 이내로 실시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2/3 이상의 교사들이 현재 운영되고 있는 실외놀이 시간이 충분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실외놀이는 가을에 가장 많이 이루어지며 기후와 날씨로 인해 계획한 실외놀이를 못할 경우에는 주로 실내 대근육 활동으로 대체 하였다. 교사들은 실외놀이 시 교사 대 아동 비율이 높다고 인식하여 보조 인력을 필요로 하였고 다른 연령의 유아들과 어울릴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해 1/2 정도의 교사들이 합반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아들이 실시하는 실외놀이 활동 내용은 다양하지 못했다. 교사들은 실외놀이 시 영아의 안전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시설 변인의 종류에 따라 운영 방법은 차이점이 나타났는데 국공립 시설과, 법인 및 직장시설, 평가인증 시설이 실외놀이의 계획과 실외놀이의 양, 실외놀이에 대한 만족도 부분에서 높게 나타났고 평가인증 시설에서 어린 영아들의 실외놀이 참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안전 점검면에서는 지난 1년간 대부분의 시설에서는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안전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고정 시설물을 이용하거나 산책할 때 연간 2.5회 정도로 찰과상과 타박상을 입는 안전사고가 발생하였다. 또한 영아반 교사들은 놀이 전후에 틈틈이 시설물의 안전점검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기 점검을 할 경우에는 안전점검 담당교사가 1주일에 한번 안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 변인에 따른 안전점검 실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아반 실외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있어서 교사들은 실외놀이 공간을 어린이집 울타리 내의 시설뿐만 아니라 주변의 놀이터와 공원까지로 생각하고 있고 실행 수준도 같게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용 시설을 이용하고, 유아와 함께 놀이하면 위험하기 때문에 영아발달에 적합한 영아 전용의 실외놀이 공간과 시설이 필요하다고 했으며 실외놀이의 교육적 효과로 신체발달과 기본생활 습관형성을 들었고 실외놀이 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과 실행 수준은 차이가 없었다. 교사들은 영아의 안전문제와 시설, 프로그램의 부족을 실외놀이의 어려움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활성화 방안으로 공간과 시설확충을 위한 재정적 지원, 연령에 맞는 다양한 실외놀이 프로그램의 개발, 지역 공공놀이터의 영아를 위한 시설의 확충 및 보완을 위한 정부의 정책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outdoor play conducted at the infant classroom in daycare centers and teacher's awareness of that. The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is the management status for the infant classroom at daycare centers in Seoul? 1-1. How is the outdoor play environment for the infant classroom? Does the variations of daycare center which are type of daycare center, participation in daycare center accreditation, responsibility of the infant daycare center make any differences to that? 1-2. How is the management method of outdoor play for the infant classroom Does the variations of daycare center which are type of daycare center, participation in daycare center accreditation, responsibility of the infant daycare center make any differences to that? 1-3. How is the safety inspection of outdoor play facilities for the infant classroom? Does the variations of daycare center which are type of daycare center, participation in daycare center accreditation, responsibility of the infant daycare center make any differences to that? 2. How is the recognition of teacher on the management of infant’s outdoor play? 2-1 How is the recognition about the space and facility of outdoor playfor infant? 2-2 How is the recognition about the educational effect and teacher’s role of infant’s outdoor play? 2-3 How is the recognition about the difficulty of management and the improvement for infant’s outdoor play? This study is for 273 teachers at the infant classroom (0, 1 and 2 years old) at daycare center in Seoul.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quiry paper is used to inquire the daycare center and the general background of teachers for infant classroom and to inquire the outdoor play management status and teachers’recognition.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multiple response analyses and Chi-square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overall management status of infant classroom in daycare center is firstly shown that there are lacking outdoor play space and facility and infant specified space and facility at daycare center in Seoul for the environmental point of view. Additionally, there are not various interest corners and play facilities. In many facilities, playground and park near the daycare center are being used to perform outdoor play and infants are moving by walk. According to variation of daycare cent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outdoor play environmental status. The level of outdoor play space and the establishment of facility are so high for the national/public daycare centers and the accreditation daycare centers. The level of outdoor play space and the establishment of facility for infants are so high in a legal and the rectum daycare center and family daycare. Secondly, many facilities aremaking a plan considering the subject for performing outdoor play in the point of management method view. Respondents have no planning on outdoor play because they are concerning about the control of infants and the safety problem. We can show the control and the safety of infants are bigger troubles than lacking outdoor play space and facilities. Many cases are outdoor plays are performed within one time during one hour a day. Over 2/3 teachers, they are recognizing that the currently managed outdoor playtime is sufficient. Outdoor play is performed very well in the fall.Because of weather and temperature, if planned outdoor play is not preformed, indoor gross motor play is replaced. Considering that the ratio teacher to infant for outdoor play is so high, teachers need assistants. To provide an opportunity keeping company with another age infants, the half of teachers combine class and outdoor activities performed for infants are not various. Teachers are thinking the safety is very important in performing outdoor play. According to the kinds of variations of daycare centers,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management method. The plan of outdoor play, amount of outdoor play and the satisfaction of outdoor play are so high in the national/public daycare centers, rectum daycare centers and the accreditation daycare centers. The participation of outdoor play for infants is so high in the accreditation daycare centers. Thirdly, according to safety inspection during the last year, accidents never didn’t happen in most facilities. In case of accidents, there are 2.5 times accidents for having a scratch and being bruised when they are using fixed equipment and taking for a walk during a year. Additionally, we can see teachers of infant classroom are intermediately inspecting the safety of facilities during play. In case of regular inspection, teachers are using check list for safety one time within a week. There is no difference about the actual condition of safety inspection for the variations of daycare center. Teachers for the recognitions in infant outdoor play are considering outdoor play space is a playground and a park as well as facilities within a daycare center. Actually, Theiractions are the same as their considerations. However, teachers need outdoor play spaces and facilities for infants to be suitable for infant development because it is dangerous to play together with young children using young children facilities. They are considering the educational effect of outdoor play is the formation ofthe physical development and fundamental habits. There is no difference about the recognition for the teachers’ roles in outdoor play and teachers’ actions. Teachers are considering that safety problem and facilities for infant and lacking program are the real problems. And they are considering space, financial support for facility expansion, development of various outdoor program to be suitable for ages are required. Additionally, they are considering the government strategies and supports are required to expand facilities and supplement facilities for infant at public/local playgroun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문제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영아 발달과 실외놀이 = 7 1. 뇌 발달과 실외놀이 = 7 2. 신체 및 운동 기능의 발달과 실외 놀이 = 8 3. 사회ㆍ정서발달과 실외놀이 = 9 4. 인지발달과 실외놀이 = 11 5. 의사소통 발달과 실외놀이 = 12 B. 영아를 위한 실외놀이의 환경 = 14 1. 영아용 실외놀이 영역 구성과 시설 = 15 2. 실외놀이 안전 = 17 C. 영아의 실외놀이를 위한 교사의 역할 = 18 Ⅲ. 연구방법 = 20 A. 연구대상 = 20 1. 보육 시설의 일반적 배경 = 20 2. 보육 교사의 일반적 배경 = 23 B. 연구도구 = 26 C. 연구 절차 = 28 1. 예비 조사 = 28 2. 본 조사 = 28 D. 자료 분석 = 29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30 A. 실외놀이의 운영실태 = 30 1. 실외놀이 환경 = 30 2. 실외놀이 운영 방법 = 43 3. 실외놀이 안전 점검 = 58 B. 실외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 = 62 1. 실외놀이 공간과 시설에 대한 인식 = 62 2. 실외놀이의 교육적 효과 및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 65 3. 실외놀이 운영의 어려움과 개선점에 대한 인식 = 67 Ⅴ. 논의 및 결론 = 71 A. 요약 및 논의 = 71 1. 실외놀이의 운영실태 = 71 2. 교사의 인식 = 80 B. 결론 및 제언 = 83 참고문헌 = 86 부록 = 93 ABSTRACT =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204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어린이집 영아반 실외놀이 운영실태와 교사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outdoor play conducted at the infant classroom in Daycare Center and teacher's Awareness of that.-
dc.creator.othernameJeon, Su Kyung-
dc.format.pageviii, 11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