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0 Download: 0

체험학습을 활용한 경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Title
체험학습을 활용한 경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Other Titles
An Experience-Based Economic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Understanding of the Market Economy" Unit in Middle School Curriculum
Authors
서유미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실생활과 연관된 내용, 학습자 중심의 교육,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육 등의 학생, 교사, 교육과정의 요구를 토대로 학교에서 실행할 수 있는 체험학습을 활용한 경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따라서 교육의 내용보다는 방법을 초점으로 프로그램 개발을 진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개발은 체험학습을 개발하기 위한 개발 모형을 개발하여 현행 7차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 포함된 경제 단원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초안을 개발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하였다. 프로그램 초안 개발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Tyler의 ‘합리적 모형’을 바탕으로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재구조화하였다.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모형'은 ‘체험학습 주제 및 목표 설정→체험학습 요소 및 활동내용 선정→학습경험 조직→교육 평가’의 네 단계로 구성하였으며, 학습경험을 조직한 후 학습목표를 수정할 필요가 있을 시에는 다시 첫 단계로 돌아가 목표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개발 모형에 따라, 중학교 3학년 사회과 ‘Ⅲ. 시장 경제의 이해’ 단원을 중심으로 체험학습을 활용한 경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단원의 내용을 총 8차시로 조직하고, 그에 따른 학습목표를 지식, 기능, 가치·태도로 분류하여 진술하였다. 셋째, 경제과목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체험요소와 각 요소에서 활용할 수 있는 활동 내용을 정리하여, 첫 번째 단계에서 차시별로 조직한 내용마다 각 체험요소와 활동을 배치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 구안한 ‘체험학습을 활용한 경제교육 프로그램 교수·학습 모형’은 ‘도입→사전준비→실행→토론 및 평가→마무리’의 단계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교수·학습 모형에 따라, 학습경험을 조직하고 교수·학습 지도안의 초안을 작성하였다. 이와 같이 개발된 프로그램 초안은 서울 관악구에 소재한 S중학교 3학년 특별활동 1개 학급 35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은 8차시로 구성되었으며 각 차시는 현행 수업 시간과 같은 45분으로 운영되었다. 본 프로그램 초안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로 나누어 흥미도 조사를 시행하여, 흥미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학생들의 선수학습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 학업성취도 평가를 하여 프로그램을 현장에서 실행하는 데 참고자료로 사용하였다. 사후 학업성취도 평가는 학생들의 수업 후 해당 단원에 대한 이해도를 조사하고자 시행하였다. 프로그램 반응평가를 통해서는 학생들의 체험학습을 활용한 경제교육 프로그램 초안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였다. 체험학습을 활용한 경제교육 프로그램 초안의 효과 검증 결과는 첫째, 사전·사후 흥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의 평균이 실행하기 전의 평균에 비해 주의 요소에서 0.56점, 관련성 요소에서 1.27점, 자신감 요소에서 0.58점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체험학습을 활용한 경제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경제 과목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데 있어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사후 학업성취도 평가의 결과 주어진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고 그림과 표를 분석하는 의사표현 및 소통영역에서 세 영역 중 가장 높은 평균 4.13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요·공급곡선을 분석하는 문제에 높은 성취를 보여 수업 중 직접 그래프를 그리고 분석한 연습의 효과로 여겨진다. 셋째, 체험학습을 활용한 경제교육 프로그램 초안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알아 본 결과, 학생들은 5점 만점 중 평균 3.78점으로 프로그램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효과 검증의 결과와 연구자의 수업 분석을 바탕으로 차시별 활동에서 나타난 오류를 수정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전반적으로 나타난 시간 부족의 현상을 시각 자료를 계속적으로 제시하여 설명의 시간을 최대한 줄이고 활동의 마무리를 충분히 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념지식의 부족으로 탐구와 토론활동에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들을 위해 개념학습 후 탐구·토론활동을 하는 순으로 활동내용을 개선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실행할 수 있는 체험학습을 활용한 경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가장 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경제교육 분야에 있어서 체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체험학습을 활용한 경제교육 프로그램은 중학교 3학년 한 단원을 바탕으로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경제과목 전체에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 앞으로 다른 경제 개념에도 적용할 수 있는 체험학습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경제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됨과 동시에 이와 같은 자료가 학교 현장에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experience-based economic education program which reflects learners, teachers and 7th Curriculum's demand for experience-based contents and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curriculum which arouses learners' interests.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began with development a first draft which focused on economic part in 7th Curriculum. The processes of developing the first draft like this: (1) The model of experience-based program development used in this research restructured Tyler's rational model. The model consisted of four steps: Establishing subjects and goals of the program → Selecting experiential elements and activity → Organizing learning experience → Evaluating. If there is need to revise goals after the step 3, we can go back to step 1 in order to revise goals. According to this model, it was developed an experience-based economic education program which is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Market Economy" Unit in Middle school Curriculum. (2) The contents of the unit organized and its goals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knowledge, function, value and attitude. (3) Experiential elements and activities which put to economic education were listed and they were placed in each organized content in the prior step. (4) The teaching-learning model of experience-based economic education designed in this research was constructed through five steps: Introduction → Advance Preparations → Execution → Discussion and Evaluation → Finishing. According to this teaching-learning model, learning experience was organized and a first draft of teaching-learning guidance was framed. The devised first draft was applied to 35 students in third grade of S middle school in Gwanak-gu, Seoul. A class was performed through 8 times. In order to verify effect of the first draft, check list of learners' interes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performed. Also, pre-achievement 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udents' prerequisite capability. Through the post-achievement test, students' learning was evaluated. Through the reaction evaluation, students' response of the first draft was tested. The result for verifying the effect is followed. First, the level of learners' interest increased 0.56 point in attention, 1.27 point in relevance, and 0.58 point in confidence. Therefore,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experience-based economic education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learners' interests in economics. Second, in the post-achievement test, average point was 4.13 in expressing and communication. It is the highest point in the three parts. This results implies that the first draft of the experience-based economic education program has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ement in expressing and communication capability. Third, the average point of reaction evaluation is 3.78 out of 5 and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learner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is program. Based on these results mentioned above and researcher's reflection on instructional practice, errors in each activity were revised. Also, visual data was used to eliminate a shortage of time and time for finishing was extended. Lastly, an activity was revised so that conceptual learning is followed by research and discussion for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research and discussion because of lack of conceptual knowledge.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eems to b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n experience-based economic education program which can be used in education site. However, this program cannot be extended to apply to the whole Economics curriculum. Because it is developed focusing an unit in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Curriculum. In future research, it would be interesting to develop experience-based programs which can be applied to other economic concepts. In addition, research for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will be needed and the methods should be provided to schoo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