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4 Download: 0

幼兒의 想像놀이에 관한 연구

Title
幼兒의 想像놀이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ild's Imaginative Play
Authors
정은혜
Issue Date
198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놀이형태상상놀이발달단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상상놀이란 사물이나 장난감을 사용하여 타인의 동작이나 활동을 모방해서 노는 것이며, 상상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여러 가지 인물이나 장면을 혼자 假作(Make-believe)하는 놀이이다. 본 연구는 상상놀이의 발달단계를 문헌을 통해서 살펴보고, 관찰을 통하여 상상놀이가 어떠한 형태로 유아들의 놀이에 나타나는가(새마을 협동유아원,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조사하고, 연령, 놀이형태, 성별에 따라 종류를 규명하며,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하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금선어린이집, 동대문구 새마을 협동유아원, 효동 새마을 협동유아원 만3세 유아 26명(남아 13명, 여아 13명) 만4세 유아 26명(남아 13명, 여아 13명) 만5세 유아 26명(남아 13명, 여아 13명) 모두 7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관찰법을 사용했으며, 아동의 놀이를 관찰하기 위한 도구는 선행연구 김 지영의「상상놀이의 일연구」에서 사용한 check-list를 이용했다. 관찰결과에 의하여 나타난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만 3세 아동은 장면의 가작화에 비해, 인격화와 사물의 가작화에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4, 5세 아동은 인격화보다는 장면의 가작화에 많은 빈도를 나타냈다. 만 5세 아동은 상상놀이가 뚜렷하고 활발한 반면에, 만 3세 유아는 상상놀이가 나타나는 빈도가 적었다. 2. 인격화 內의 세분된 세가지 놀이장면 중, 무생물이나 생물의 인격화 장면은 연령이 증가되면서 그 빈도가 적게 나타났고, 부모와의 동일시 장면은 연령이 증가되면서, 무생물이나 생물의 인격화 장면과는 다르게, 높은 빈도가 나타났다. 사물의 가작화와 장면의 가작화 內내 세분된 세가지 놀이장면은 연령이 증가하면서 모두 증가되었다. 3. 인격화, 사물의 가작화, 장면의 가작화 중, 유아들은 물질을 가지고 활용하는 사물의 가작화를 가장 많이 하며 가장 적게 나타나는 놀이형태는 인격화였다. 4. 여아들은 남아보다 가정에서 일어나는 일을 모방하는 부모와의 동일시, 소꼽놀이에 열중하며, 남아들은 군인놀이에 열중하는 경향이 있다. 5. 상상놀이는 가정환경 뿐 아니라 사회적 환경도 상상놀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저소득층 유아들은 중·상류층 아동에 비해 상상놀이의 전체 빈도수가 적게 수집되었다. 6. 인격화의 장면 중, 저소득층 아동은 중상류층 아동에 비해, 무생물이나 생물의 인격화 장면과 인형에게, 증오와 공격성을 나타내는 정서적 표현장면이 많이 나타났다. 7. 사물의 가작화 장면 중 군인놀이에서 볼 수 있는 행동과 그 외의 사물을 가작하는 장면에서 저소득층 아동은 중·상류층 아동보다 낮은 빈도를 나타냈다. 8. 장면의 가작화의 놀이장면에서 저소득층 아동은 중상류층 아동에 비해 부모의 역할, 부모의 대화를 모방하는 역할놀이를 나타내는 빈도수가 적었다. 9. 저소득층 아동은 다른 아동의 놀이를 쳐다보는 방관하는 행동을 많이 했고, 상상놀이를 하더라도 오래 끌지 못하고 금방 다른 행동으로 바꾸며 상상놀이보다는 자신의 신체를 사용하는 기능놀이(functional play)를 즐기고 있었다. 10. 상상놀이 형태를 보면 중상류층 아동과 저소득층 아동은 차이가 없이, 물질을 활용한 사물의 가작화 놀이가 가장 우세하게 수집되었다.;Imaginative play is to imitate activities that have a high imaginative content. With toys and other things such as doll play and house keeping. Make-believ also often supplies the plot or purpose when the child practice such motor-activities as climbing, swinging, or riding a bicycle. The primary object of the present thesis is to study, through books, on the development of Imaginative play. In Chapter Ⅲ,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thesis, I examine closely, through observation, how imaginative play is appeard in the child's play. For this purpose, I chose 78 children from three to five years of age at Kum Sun Day Care and Sae Mael ^(C)ooperation Nursery School. The way of my personal observation standerdize the F.V. Marky's classification; (1) personification (2) make-believe use of materials (3) participation in make-believe situation. The results of observation is as follows; 1. Among personification, make-believe use of materials, and make-believe situations, three-year-old children are like to do personification and make-believe use of materials than make-believe situations.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are like to do make-believe situation than personification. 2. In the personification, To take to inanimate or animate objects are not manifested in the old children, on the other hand, to identity with his parents are frequently appeared in the old children. 3. Among personification, make-believe use of materials, and make-believe situations, children are like to do make- believe use of materials best. 4. Girls are eager to play housekeeping, on the other hand, boys show tendency to play at soldiers. 5. The disadvantaged children do not participate in the Imaginative play than middle class children. 6. The disadvantaged children are manifested into talk to inanimate objects and to express their emotion. 7. The disadvantaged children does not play frequently at soldiers. 8. To identify with his parents are not manifested in the disadvantaged children than middle-class one. 9. Although the disadvantaged children play the Imaginative play, they change it at once. 10. Among personification, make-believe use of materials and make-believe situations, children(middle-class and disadvantaged children) are like to do make-believe use of materials bes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