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희영.-
dc.creator장희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1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1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50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6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502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사회적 성격에 대한 진보주의적 접근과 지식사회학적 접근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비교·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그것은 관련 문헌들에 의존하는 이론적 연구방법으로써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문헌들을 통하여 교육과정의 사회성에 대한 두 접근의 내용을 살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비교가 가능하였다. 진보주의적 접근과 지식사회학적 접근은 기본 전제 면에서 공통점이 있다. 즉, 양자는 교육과정이 그 사회의 맥락과 연관성을 갖는다고 전제한다. 그리고 교육과정에 포함되는 지식은 사회적 맥락과 상관없이 절대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 사회 속에서 구성되는 산물이라고 본다. 그러나 한편 두 접근은 다음과 같은 차이를 드러낸다. 첫째, 이론적 성격 면에서 볼 때, 진보주의는 종래의 탈사회맥락적 교육과정 이해에 대한 비판을 넘어서 대안적(代案的)인 교육과정 구성 이론으로 발전되었다. 반면에 지식사회학적 접근은 기존 교육 과정에 대한 비판적 평가 이론으로서, 진보주의에 대한 비판까지 함축하고 있다. 둘째, 사회에 대한 기본 가정(假定) 면에서, 전자는 기존 사회의 안정 및 통합을 당위로 보며 교육을 통한 사회진보에 대해 낙관한다. 후자는 기존의 사회를 불평등한 사회로 보며, 교육이 그 불평등을 유지 내지 재생산하는 역할을 한다고 본다. 셋째, 교육과정 구성의 측면에서 전자는 교육과정이 기초자원으로서의 사회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통해 합리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고 본다. 한편 후자는 그것이 지배층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사회적 힘에 의해 구성되어진다고 본다. 넷째, 교육과정의 사회적 기능 면에서 전자는 그것을 학습자의 사회(생활)적응을 돕고 사회 발전을 이룩하는 수단으로 간주하는 반면, 후자는 지배층의 이해(利害)에 부합되게 지식을 통제함으로써 사회통제를 기하는 도구로 본다. 다섯째, 교육과정의 개혁 측면에서 전자는 '적합성' 추구를 개혁의 근본 원리로 내세우며, 그 과정을 통한 교육과정의 개선 가능성을 긍정한다. 그에 비해 후자는 그 개혁이 지배층의 이해관계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가능하며, 따라서 그것을 통해서는 진정한 의미의 '정의로운 교육과정'이 실현될 수 없다고 본다.;In the contemporary society, there has been a growing understanding that the school is not an institute in the area of asocial vacuum. Therefore, systematic approaches are needed for clarifying social characteristics or curriculum. The study was carried out by comparing two theoretical approaches - those of Progressivism and Sociology of Knowledge - through reviewing the related literature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has come to the conclusion as follows: Both approaches share the basic assumptions. Firs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um and the social context. Second, the knowledge (curriculum content) is regarded as socially constructed rather than given. And yet, these two approach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some other respects. First, the Progressivist's approach is a normative theory of curriculum construction in the nature, and the approach of sociology of knowledge is a critical evaluation theory of the present curriculum. Second, the former accepts the maintenance and integration of the present society as 'must', and has confidence in the progression of society through education. The latter considers the society as inequal one, assuming that the education reinforces and/or reproduces the inequality. Third, the former believes in the possibility of the r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procedures based on the study of the society as the basic resource. In the sociology of knowledge, however, it is taken that the curriculum is constructed by the representative forces of dominant groups and their interests. Fourth, Progressivism estimates the curriculum highly as the means, by which the socialization of the learners can be performed, and the societal development be facilitated. On the contrary, the curriculum is regarded by the sociology of knowledge as the tool (mechanism) for the social control through the knowledge control. Finally, the former seeks much more relevance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revision, and is positive about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through the process. The latter has no optimistic view about the impact of such a curriculum revision (innovation), and almost denies the potentiality of it for the fundamental chan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문제 = 4 C.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 5 Ⅱ. 교육과정의 사회적 성격 = 7 A. 교육과정의 개념 = 7 B. 교육과정의 사회성 = 13 Ⅲ. 교육과정의 사회적 성격에 대한 이론적 접근 = 17 A. 진보주의적 접근 = 19 B. 지식사회학적 접근 = 40 C. 두 접근의 비교 = 62 Ⅳ. 요약 및 결론 = 69 A. 요약 = 69 B. 결론 = 70 참고문헌 = 74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172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교육과정-
dc.subject빈조주의-
dc.subject지식사회학-
dc.title교육과정의 사회적 성격에 대한 진보주의와 지식사회학의 접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wo approaches of progressivism and sociology of knowledge in the field of curriculum-
dc.format.pagevi,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8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