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姜淳媛.-
dc.creator姜淳媛.-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3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50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6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5058-
dc.description.abstractThe historical character of educational subject dominates the character of social maintenance and social reform of education.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losely the nature of the education for colonization under the Residency-General and to investigate whether it is consistent with the universal character of education or not with the conflict theory in the sociology of education of Carnoy and Bowles. In the conflict perspective of the sociology of education, education is ideological superstructu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economic substructure of one society. And because schooling is corresponding to the social contradiction of the production of that period, in the research of the sociology of education we must analyze a research object totally with scoial scientific tools. On the part of Japan, the period of the Residency-General was precolonial one during which the Japanese partial colonial plunder against Korea and the reorganization for colony was made. But on our part it was the time when the restoration of national rights weas possible because in the presense of the loss of sovereignty all people struggled altogether against colonial plunder. So in the period of invasion and resistence Japan had constructed the base of colonial economy to some degree and established an public educational system in order to implant the colonial ideology systematically. The historical character of the education for colonization established at this period was as follows. First, by increasing the number of school hours of the Japanese language and doing away with Korean history class Japanese planned the base of assimilating education after the union. Second, the justice for the education for colonization and the oppression of the national- education is the theory of the separation of school and state. Basically education can not exist separating from political society, nevertheless they only emphasized pure educational side to oppress the private school which was operated for the purpose of Korean independence. Third, the character of the operation of the education for colonization, the extention of elementary school and vocational school, was not for the academic utility but the economic public policy for maximizing the economic exploitation against Korea. Such an education was not the character of liberation to overcome the social contradiction with colonial condition but the character of the cultural imperialism to further the contradiction with abnormal dependent economy of the colony. Generally education is to develop human potentiality and has in itself the character of liberation as the measure of civilization. But in a dependent state the character of the education for colonization introduced by means of the imperialistic invasion diverge from the general argument of education. Therefore beyond the historical situation the argument about universal character of education is meaningless.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 of national education which happened for the purpose of a save-the- nation movement was consistent with universal character of education as the education of liberation for solving the contradiction of that period. Whatever the period may be, the education carried out by educational subjects without support of people does not pursue the universal character(attribute) of education, so the political struggle of education which is planned for regaining the historical legitimacy is indispensable.;교육의 사회유지적 성격과 사회개혁적 성격은 교육주체의 역사적 성격에 따라 좌우된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통감부 주도하의 식민지화 교육이 갖는 역사적 성격을 고찰하여 식민지화 교육의 본질을 규명해보고 식민지화 교육의 성격이 교육의 보편적 성격과 일치하느냐 하지 않느냐를 Carnoy와 Bowles 등의 갈등론적 교육사회학 이론을 가지고 검토해보는데 있다. 갈등론적 교육사회학 이론에 있어서 교육은 한 사회의 경제적 하부 구조와 밀접히 연관된 이데올로기적 상부구조이다. 또한 학교교육은 그 시대의 생산의 사회적 모순과 서로 대응된다고 보기 때문에 교육사회학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사회과학적 도구를 가지고 총체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통감부시대는 日本측에서 보면 日本의 부분적인 對韓 식민지 침탈 및 식민지 재편작업이 이루어지는 前植民地化 시대이며, 한국측에서 보면 주권상실의 면전에서 전민족이 일제히 日本의 식민지화 침탈에 투쟁하는 國權回複可能期였다. 이렇게 침략과 저항이 날카롭게 대립되던 통감부시대에, 日本은 식민지적 경제로의 재편의 기초를 어느 정도 구축한 이후 한국에 식민지화 이념을 체계적으로 심어주기 위한 公敎育制度를 확립시키게 된다. 통감부 시기에 확립된 식민지화 교육의 역사적 성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어 수업시간수를 늘리고, 한국 역사 수업시간을 없애므로써 合倂 이후의 同化敎育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둘째, 식민지화 교육 및 민족교육탄압의 명분은 政數分離論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교육이 정치사회와 분리되어 존재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한국독립을 위해 정치투쟁의 일환으로 운영하는 사립학교를 탄압하겠다는 의도에서 순수교육적인 측면만을 강조한 것이다. 셋째, 식민지화 교육운영의 특징인 보통학교와 실업학교의 확장사업은, 학문의 實用的인 성격을 추구해서가 아니라 日帝의 對韓 식민지 경제 수탈을 극대화하기 위한 경제상의 홍보정책의 일환이다. 이런 교육은 식민지상태의 제모순을 극복하기 위한 해방적인 성격이 아닌, 기형적인 식민지 종속경제의 모순을 심화시켜주는 비해방적인 성격을 드러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육은 인간의 잠재적 능력을 개발해주고, 문명화의 척도로써 그 자체가 해방적 성격을 띤다고 한다. 그러나 식민지 종속국가에서 제국주의 침략의 한 방편으로 도입된 식민지화 교육의 속성은, 교육의 일반적인 논의에서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역사적 상황을 초월하여 독립적으로 주장되는 교육의 보편적 성격에 대한 논의는 의미가 없는 것이다. 이에 비해 당시 救國運動의 일환으로 전국적으로 일어난 민족교육의 성격은 당대의 시대적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해방적 교육으로써, 교육의 보편적 성격과 일치한다. 결론적으로 어느 시대이든지 민중이 지지하지 않는 교육주체에 의해 실시되는 교육은 교육의 보편적 속성을 추구할 수 없는 것이므로 역사적 합법칙성을 되찾기 위한 교육의 정치투쟁은 불가피한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序論 = 1 A. 硏究 目的 = 1 B. 硏究 方法 및 制限点 = 2 Ⅱ. 朝鮮統監部 時期의 社會的 背景 = 8 A. 식민지 종속경제로의 재편 과정 = 9 B. 植民地化 政策에 저항하는 主體의 鬪爭 = 16 Ⅲ. 朝鮮統監府 時期의 식민지화 교육의 전개과정 = 22 A. 식민지화 교육의 지표와 특징 = 25 B. 식민지화 교육의 양상과 추이 = 31 1. 民族敎育의 탄압과 그 논리 = 32 2. 식민지화 교육제도의 정비 = 43 Ⅳ. 朝鮮統監府시기의 식민지화 교육의 단계적 성격 = 55 A. 同化敎育의 준비단계 = 55 B. 政敎分離論에 나타난 敎育的 植民主義 = 59 C. 보통학교와 실업학교 확장사업을 통해서 본 교육과 경제의 대응관계 = 63 Ⅴ. 요약 및 결론 = 68 A. 요약 = 68 B. 결론 = 71 참고문헌 = 74 ABSTRACT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903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조선통감부-
dc.subject일제식민지화 교육-
dc.subject동화교육-
dc.title日帝 植民地化 敎育의 敎育社會學的 考察-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朝鮮統監府 敎育政策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the sociology of education about the japanese imperialism's education for colonization-
dc.format.pagevi,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8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