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尹喜卿-
dc.creator尹喜卿-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0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54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5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5464-
dc.description.abstract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deas to program development for gifted children education by groping for conceret schemes for enrichment program of gifted children education conducted by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and identifying the necessity of it through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roach to enrichment program itself and physical patterns of it including case study. To realize the above objective, this study employed the methods such as literal approach to theoretical background, enforcement of intelligence test to discover gifted children and selection of 3 gifted children as its object of study based on the result of intelligence test, which were done by way of case study. As far as literal appraoch to theoretical background is concerned, it, with emphasis on the maximization of individual ability by providing pertinent opportunity in education and experience to them, not in the form of differential education designed for specific level of children, basically dealt with not only the necessity of gifted children education both on individual and national level, but also the objective of gifted children education and the ways to discover gifted children which became manifold compared with the past. The substances of gifted children education embrace a number of characteristics such as Acceleration, Homogenous Groups, Enrichment Program and Individual Instruction, also described the role and guidance of teacheres and parents in gifted children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Chapter Ⅲ presents the patterns of enrichment program such as planning strategies model by Sandra Kaplan, cognitive-affective behavior model by Frank E. Williams and Chapel Hill Gifted-Handicapped Program which is similar to the curricula of kindergartens in Korea. Chapter Ⅳ, with 3 children selected out of intelligence test as the object of study, employed the case studies by adopting community unit, insect unit and plant unit of Chapel Hill Program. Accordingly the children became to participate in their learning more than the past, could selecttheir own learning fitted to their ability and interest.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and ability possessed by the children emerged dissimilarly according to the sphere of their experience even in spite of a short span of time and in various areas they showed more excellent accomplishments than the ordinary children. In the closing, gifted children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can make the most of children's potentiality in the closer ties between parent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by respecting the characteristic ability and personality of the children, thus seeking qualatative enrichment of multiple instruction methods and providing a variety of experience. Furthermore it was revealed in this study that the enrichment program for gifted children education can be extended to ordinary children.;본 연구는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풍부화(Enrichment)에 관한 이론적 연구와 실제 프로그램의 유형을 알아보고 사례 연구하므로써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재아를 위한 풍부화프로그램의 필요성과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여 우리나라 영재아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가 수행한 방법은 이론적 배경에 관한 문헌연구, 영재아 발견을 위한 지능검사의 실시와 검사점수에 의한 세명의 영재아를 대상으로 사례연구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영재아 교육이 특수층만을 위한 차별교육이 아닌 각 개인이 지닌 능력을 적절한 교육의 기회와 경험의 제공으로 극대화 시키려는데 의의를 두어 영재아 교육이 필요한 요인을 개인적인 차원과 국가, 사회적인 차원에서 살펴보았으며 과거에 비해 다양해진 영재아의 발견방법과 영재아 교육의 목적을 알아보았다. 영재교육의 내용으로는 영재아의 특성을 고려한 여러가지의 방법 중 촉진제도(Acceleration), 동질집단(homogeneous Grouping), 교육프로그램의 풍부화(Enrichment Program), 개별지도(Individual instruction)를 비교해 보았으며, 유아기 영재아 교육에 있어서 특히 고려되어야 할 점으로 부모, 교사의 영재아 지도방법 및 역할에 대해 서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영재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풍부화 유형 중 Sandra kaplan의 계획전략모형, Frank E. Williams의 인지·정의적 행동모형, 그리고 유아기 아동에게 적합하고 우리나라의 유치원 교육과정단원과 유사한 Chapel Hill Gifted-Handicapped Program 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지능검사에 의해 선정된 세명의 영재아를 대상으로 Chapel Hill Program의 지역사회단원, 곤충단원, 식물단원을 적용, 사례연구하였다. 그 결과 아동들은 이전의 학습에서보다 더욱 활동에 적극적인 참여자가 되었으며 그들의 능력과 흥미에 맞는 학습활동을 선택할 수 있었고 각 영재아동이 지닌 특성과 능력이 짧은 기간에도 활동경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여러 영역에 있어서 일반 아동보다 우수한 성취를 보이고 있음이 밝혀졌다. 요약 및 결론으로 유아기 영재아 교육은 가정과 유아교육기관과의 긴밀한 유대관계 속에서 아동이 지닌 독특한 능력과 개성이 존중되면서 이에 부합하는 다양한 경험의 제공, 다차원적인 교수방안 등 질적인 풍부화를 통해 최대한의 가능성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교육프로그램의 풍부화는 일반아동에게도 확장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4 C. 연구의 방법 = 4 D.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영재아 교육의 의의, 목적 및 영재아의 발견 = 7 B. 영재아 교육의 내용 = 15 C. 영재아를 위한 효과적인 부모, 교사의 역할 = 21 Ⅲ. 교육프로그램 풍부화의 유형 = 29 A. Sandra Kaplan의 모형 = 29 B. Frank E.Williams의 모형 = 32 C. Chapel Hill Program = 35 Ⅳ. 사례연구를 통한 Chapel Hill Program의 실험적 적용 = 54 Ⅴ. 요약 및 결론 = 62 참고문헌 = 66 영문초록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395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아-
dc.subject교육프로그램-
dc.subject풍부화-
dc.subject유아기-
dc.subject영재아-
dc.title유아교육프로그램의 풍부화를 위한 기초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유아기 영재아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Basic study on enrichment program for early children education : With priority given to gifted children of early childhood-
dc.format.page1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8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