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3 Download: 0

兒童敎育 프로그램 模型에 關한 硏究

Title
兒童敎育 프로그램 模型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Authors
鄭美羅.
Issue Date
198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아동교육프로그램개별화학교학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本 硏究는 幼稚圈 創設에서 現在에 이르기 까지의 兒童敎育 프로그램의 思想的 변천속에서 現在 兒童敎育 프로그램의 目的, 內容 및 組織을 살펴보고, 이를 서로 比較·分析하여, 앞으로 韓國兒童敎育 프로그램의 發展的 方向을 모색해 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目的을 달성하기 위하여 硏究가 수행한 方法은 兒童敎育의 發達史, 思想的 변천, 兒童敎育 프로그램의 理論 및 實際, 兒童敎育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평가 등의 文獻을 통한 文獻 分析이었다. 兒童敎育 프로그램模型의 선정은 D. Welkart의 分類에 따라, 現在 개발된 兒童敎育 프로그램 중 가장 조직적이고 체계적이라고 판정된 Bank-Street 프로그램 Bereiter-Engelmann 프로그램. Kamii & Devries 프로그램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프로그램은 M. C. Day와 R. K. Parker가 제시한 '敎育課程 槪念分析基準'에 따라 分析하고 서로 比較해 보았다. 그 結果 兒童敎育 프로그램들은 대상아동이나 지역, 흑은 프로그램이 基礎한 哲學이나 敎授-學習理論에 따라 많은 차이점이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兒童敎育 프로그램의 基本哲學이나 瓔論에 관계없이 공통으로 인정하고 있는 점들도 아래와 같이 찾아볼 수 있었으며 이는 곧 현재 西歐 兒童敎育 프로그램이 지향하는 점이라고 볼 수 있었다. 本 硏究에서 밝혀진 兒童敎育 프로그램의 공통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兒童敎育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계속 硏究, 檢討해 나가야 할 課題를 아래와 갈이 제시하였다. 1. 兒童敎育은 兒童의 現在 水準에서 시작한다. 2. 兒童敎育 方法은 가능한 한 個別化 敎授를 지향한다. 3. 兒童의 學習은 바람직한 環境을 조성해 줌으로써 이루어 진다. 4. 兒童敎育 프로그램模型들은 분명한 目的과 目標가 있고 모든 敎育計劃은 프로그램模型이 기초하고 있는 敎育哲學에서 비롯된다. 5. 兒童敎育 프로그램模型들은 점차 學習活動에 대한 重要性을 인정 하고 있다. 6. 兒童이 學校學習이나 活動에 대한 호감을 갖도록 하고 친숙해지도록 한다. 7. 兒童敎育의 효율화를 위하여 父母敎育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있으며, 父母敎育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8. 兒童敎育이 學齡前時期에 국한되지 않고 국민학교 2. 3學年까지 연결되어 실시되고 있다. 9. 兒童敎育을 硏究하는 전문가들과 교육현장의 敎師들이 밀접한 상호관계를 유지 함으로써 兒童敎育을 위한 실제적인 계획이 이루어지고 있다. 10. 兒童敎育 프로그램模型의 개발을 위한 정부의 行·財政的 支援이 뒤따르고 있다.;The most pressing problem facing childhood education as a part of the total education effort is to understand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effect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The continuity present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an be seen in the persistent concern of programs for one or two types of goals for young children. One concern has been for the support or stimulation of child's growth or development. The other has been for achieving specific learnings. What was changed over time or from program to program is how growth has been conceptualized or what particular learnings have been considered importan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instructional techniques and theoretical rationals of the programs to explain how and why the programs themselves differ from one another. In so doing, it was also aimed to provide for the developmental perspectives in promotive childhood education program in Korea. The study was primarily dependent upon document analysis for its methodology. Resources and imformation relative to the childhood education programs-kamii program, Bank-Street program, Bereiter-Engelmann program - were widely analyzed for the study. Each program was analyzed, being divided into five dimensions : basic foundation for program development, goals and objectives, implementation, motivational capacity and delivery system.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programs, I find out the issues on which there are substantical agreements and disagreements. Some disagreement among programs arises out of differing views about the concept of child and the understanding of childhood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agreement of these programs were found. Those are as follows : a) Education must begin from the child's level b) Teaching should be individualized to the greatest possible extent c) Children can and do learn the essentials presented in any reasonable school curriculum under the right conditions, d) Any program, to be successful, must specify its goals and objectives in detail and every plan of education aries out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program. e) Gradual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recognize that the importance of school learning. f) Program models agreed that children should feel good about school-appropriate behavior and experience about what they do in school. g) Every programs stressed on parent involvement and parent education. h)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the expansion to the primary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at is K-3 grades. i) The real cooperation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teacher should be consider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j) Public financial support is following so as to develop childhood education progr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