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6 Download: 0

한국 敎育映畵의 歷史的 考察

Title
한국 敎育映畵의 歷史的 考察
Other Titles
(A) Study on the History of Educational Films in Korea
Authors
金正乂.
Issue Date
1976
Department/Major
대학원 시청각교육과
Keywords
한국교육영화역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Ⅰ. Introduction Since Motion Picture was invented in the later part of the 19th century, its educational utilization has been starte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many other advanced countries in the world. The research on development of educational film has made remarkable progress since 1920s. Although motion picture has been introduced to Korea for 70 years and film production has been carried out in our country for 50 years, it was only in 1950s that people concretely focussed their attention, concern and interest on educational film in Korea. If educational film is appropriately utilized considering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it will bring about great effects and contribution. It is very unfortunate for us to point out that educational film has not made great development in Korea. In order to find out the cause for Korea to have not developed educational film, it is necessary for us to examine our history of educational film by setting up certain periods. Ⅱ. Main Subject Our historical change of educational film is as follows : 1. Pre-Liberation Period(1903-1945) After motion picture was introduced to Korea for the first time in 1903, the film under Japanese rule, was produced for enlightenment to promote Japanese colonial policy in Korea and educational film was utilized only at Japanese schools in Korea. 2. First Post-Liberation Period(1945-1957)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American educational system was introduced, people began to pay attention to educational film. Many children were roaming on the streets of Pusan during the Korean War(1950-1953) and a campaign for Film Classroom harvested great success. After 1956, the in-service training on educational films was given to school teachers and technology of educational film was extensively propagated among school teachers all over the country. 3. First Enlightenment Period(1958-1962) As a Korean-American joint project, the Demonstrated AudioVisaul Center was founded in 1958 and 700 educational films were brought to Korea with ICA aids. Education through film was actively carried out throughout the country by the film renting system for traveling projection.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Institute and many private film producers were established and they produced decades of educational films. 4. Second Enlightenment Period(1963-1968) The Demonstrated Audi-Visual Center was formally transferred to our government and our Government reorganized it into the Central Audio-Visual Center. The Government established and announced the standard of audio-visual teaching materials and positively carried out the enlightenment program on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educational film with school teachers as a campaign to establish audio-visual material room at each city and country was extensively carried out. 5. Growing Period(1969-1973) The Audio-Visual Education Promotion Five-Year Program was set up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legally provided that each school should prepare educational film and projector and make an estimated to all the schools the funds to purchase educational film and projector, making an epoch-making development in diffusing educational film. At present, however, educational policy has changed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strengthened the standard of educational film and the propagation of educational film has been rather reduced. Ⅲ.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 The cause for Korea to have not developed educational film may not be simply attributed to only on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hool teachers and educational film producers. The cause must be comprehensively researched in the mutual relationship of the above three factors as an overall social problem. As our economy is stablized, the demand for educational film will increase and its prospect seems very bright. Therefore,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film will be and must be successfully carried out in our country in the future.;Ⅰ. 序論 미국을 중심으로 한 여러 선진국가에서는 19세기말엽 영화가 발명된 이후 영화의 교육적 활용을 시작하여 1920年代부터 교육영화에 대한 연구와 개발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여 많은 발전을 가져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영화가 도입된지 70년이 지났고 영화제작이 시작된지 50년이 되었으나 교육영화에 對한 관심은 1950年代에와서 구체적으로 활발하게 되었다. 교육영화는 敎授·學習過程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사용한다면 교육효과에 커다란 공헌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영화가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크게 발전하지 못했는 가에 대한 구체적인 문제를 찾아내기 위해서 우리나라 영화교육의 역사를 시대적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Ⅱ. 本論 우리나라 교육영화의 역사적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해방이전(1903-1945) : 1903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영화가 소개된 이후 日帝治下에 있었던 이時期의 교육영화는 일본 식민지 정책을 도모하기 위한 계몽영화가 제작되는 한편 한국에 있는 일본 학생들을 위해서 교육영화가 이용되었다. 2. 초창기(1945-1957) : 해방이후 미국의 교육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영화교육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으며 1950년 한국전쟁으로 인하여 부산 피난지에 많은 아동들이 거리를 방황하게 되자 영화교실운동을 전개하여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그후 1956년부터는 定期강습회를 통하여 교사들에게 영화교육에 대한 기술과 방법을 보급하기 시작 하였다. 3. 계몽前期(1958-1962) : 1958년 韓美합동사업으로 시범시청각교육원 사업이 시작되어 ICA기술원조 자금으로 700권의 교육영화가 도입되면서 부터 전국적인 순회영사와 교육영화 대출에 의해 활발한 영화교육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교육영화에 대해 관심과 호기심만을 가지고 국립영화제작소와 많은 민간 교육영화제작사들이 설립되어 수십편의 순수한 교재영화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4. 계몽後期(1963-1968) : 시범시청각교육원이 정식으로 우리정부에게 이양되어 중앙시청각교육원이 발족된 이후 시청각교재인정 규정이 발표되고 각도내에 市·郡시청각 자료실 설치운동이 활발히 전개됨에 따라 일선교사에게 교육영화의 특성과 효과에 대한 계몽을 적극적으로 실천했다. 5. 成長期(1969-1973) : 시청각교육진흥5개년 계획이 수립되어 모든 학교에 영사기를 준비하도록 法的으로 규정하였으며 교육영화와 영사기 구입 예산을 교육비에서 책정하였다. 영사기공급과 교육영화 보급이 문교부에 의해서 강렬하게 추진되어 획기적인 교육영화 보급의 계기를 마련하였던 時期였다. 그러나 현재는 문교정책이 바뀌어 교육영화 구입예산을 따로 확보하지 않고 교육영화 인정심사기준을 강화했기 때문에 교육영화의 보급이 저조한 실정이다. Ⅲ. 結論 우리나라 교육영화가 발전하지 못했던 원인은 문교당국이나 일선교사 그리고 교육영화제작자 어느 누구 하나에만 있는것이 아니다. 상호 역동적인 관계속에서 좀더 통합적인 원인을 찾아내어 우리사회 전반에 걸친 문제로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경제가 안정됨에 따라 교육영화에 대한 수요의 전망은 밝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교육영화의 연구와 개발은 앞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루어질 것이다. 우리나라 현 실정으로 보아 교육영화발전을 위한 커다란 과제는 어떻게 현명하게 운영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교육영화를 활용할 수 있을까에 대한 문제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