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4 Download: 0

家庭文化環境과 幼兒의 社會的 成長에 關한 硏究

Title
家庭文化環境과 幼兒의 社會的 成長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Home Cultural Environment and Infant's Social Maturity
Authors
김지연
Issue Date
198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가정문화환경유아사회적 성장심리적 환경물리적 환경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this study, the Home cultural environment classified into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physical environment. This study attempted to diagnose and inquire the correlation of the sub - structures of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social maturity according to the Home backgrounds. The Home background classified into family structure, parent's academic background and income level per month. The sub - structures of psychological environment are the pressure for achievement motivation, the pressure for language development and the support for affection. The sub - structures of physical environment are play equipment, space equipment and cultural equipment. The sub - structures of social maturity are communication, socialization, Occupation and locomotion, and Autonomy. As my approaching methods, Test of Home Cultural Environment & Test of infant's social maturity of KIRBS were used for 4 and 5 Years Children at Kindergarden. In addition, my own examination for physical environment was also taken. The Results of these tests were obtained by the coefficient and significance between sub substructure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 (Let's say the coefficient of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infant's social maturity to A, the coefficient of physical environment and infant's social maturity to B.) 1. Psychological and physical environments in home are virtually related to the infant's social maturity. 2. In the family structure, (classified into large family and small family). A is in the large family and in the small family B in the large family is greater than that in the small family. 3. In father's academic background, (classified into high level of education and low level of education), A and B in the high level of education are greater than that in the low level of education. 4. In mother's academic background, (classified into high level, of education and low level of education), A in the high level of education is less than that in the low level of education. And B in the high level of education is greater than that in the low level of education. 5. In income level per month, (classified into high level, middle level and low Level). A is shown that the middle level is more coefficient than any other, and the high level has some coefficience and finally the low level has no coeffience at all. At last, B is shown the high level is more coefficient than any other, and the middle level has some coefficience and finally the low level has no coefficience at all.;본 연구는 가정내에서 유아에게 주는 심리적 환경의 하위 요인과 유아의 사회적 성장의 하위 요인간의 관계 및 물리적 환경의 하위 요인과 사회적 성장의 하위 요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가족의 연구, 부모의 학력, 월 수입을 변인으로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 시내에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 집 3곳의 만 4~5세 아동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한국 행동 과학 연구소에서 제작한 가정 환경 질문지와 사회 성숙도 검사, 그리고 연구자가 제작한 물리적인 환경 조사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각각 상관계수와 유의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정의 심리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이 유아의 사회적 성장과 관계가 있다. 2. 가족의 구조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성장을 보면, 대가족 집단의 경우가 소가족 집안에 비하여 물리적 환경과 유아의 사회적 성장과 관계가 있고, 심리적 환경과 사회적 성장과는 대가족 집단에서도 관계가 있고 소가족 집단에서도 관계가 있다. 3. 아버지의 학력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성장을 보면 아버지가 대졸이상인 집단이 고졸이하인 집단에 비하여 심리적환경과 물리적환경이 유아의 사회적 성장과 관계가 있다. 4 . 어머니의 학력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성장을 보면, 어머니가 대졸이상인 집안이 고졸이하인 집단에 비하여 물리적 환경이 사회적 성장과 관계가 있으며, 심리적 환경과 사회적 성장과의 관계는 대졸이상인 집안에 비하여 고졸이하인 집안이 관계가 있다. 5 . 가정의 월수입과 관련해 보면, 심리적 환경과 사회적 성장과의 관계는 월수입이 31~80만원인 가정이 다른 집안에 비하여 상관이 있고 다음으로 월수입이 81만원 이상인 가정이 관계가 있으며, 월수입이 30만원 이하인 가정에서는 상관관계가 전혀 없다. 물리적환경과 사회적 성장과의 관계는 월수입이 81만원 이상인 가정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상관관계가 있으며, 다음으로 31~80만원인 가정이 상관관계가 있고, 월수입이 30만원 이하인 가정에서는 상관관계가 전혀 없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