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2 Download: 0

Rimbaud의 作品에 나타난 L'Enfant의 Image 연구

Title
Rimbaud의 作品에 나타난 L'Enfant의 Image 연구
Other Titles
(L')image de l'enfant chez Rimbaud
Authors
金昭姸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대학원 불어불문학과
Keywords
RimbaudL'Enfant이미지 연구불어불문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Rimbaud 시에 있어서의 핵심적인 Image 중의 하나인 L'Enfant을 통하여 Rimbaud의 상상력의 체계를 정립해 보려는 시도이다. 20세기 전반까지의 Rimbaud에 관한 연구로는 Rolland de Rene´ville, Jacques Gengoux, C-E. Magny로 대표되는 신비교 교리에 의한 해석과, Benjamin Fondane의 Freud 정신 분석학에 입각한 분석이 있으며, Jacques Rivie`re, Eteimble et Gaucle`re, Daniel Rops에 의해서는 Rimbaud가 communard, re´volutionaire 로, 혹은 추락한 Satan으로 해석되어졌다. 그러나 시인을 시인이게 하는 것은 그의 삶 자체가 아니라 삶을 되돌아보게 하는 시에 있어서의 인생론적인 의미인 까닭에, l'enfant을 <완성 la perfection>으로 보고 어른을 <상실>로 파악한 Rimbaud 의 상상 체계야말로 어린 시절에 이미 詩作을 끝내버린 Rimbaud의 전기적인 사실마저 새롭게 조명해 줄 열쇠라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먼저 l'enfant을 무지한 상태가 아닌 <완성>으로 파악한 Rimbaud의 역설을 본 후에, 이러한 원초적 완성으로서의 l'enfant이 상상력을 통하여 산문적인 현실 속에서 <완성>의 속성을 지키려는 힘겨운 노력과 그것의 좌절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것이 Rimbaud의 전기적 사실과 일치하는 과정임을 알 수 있었으며, 아울러 16~20세까지의 어린시절에 4년이란 짧은 기간 동안 시를 쓰고 손을 뗄 수밖에 없었던 그 필연성을 밝히는 한 방편이 될 수 있었다.;Le but de cette e´tude est de syste´matiser l'imagination de Rimbaud a` travers l'image de l'enfant qui est une des images importantes dans ses œuvres. Les critiques ont aborde´ Rimbaud de bien de fac¸ons differentes jusqu' a` la premie`re moitie´ du 20e`me sie`cle. Parmi eux, Rolland de Rene´ville, Jacques Gengoux, C.E. Magny ont en recours aux doctrines de l'Inde et Benjamin Fondane a e´tudie´ Rimbaud par des doctrines psychanalytiques de Freud. Enfin Jacques Rivie`re, Eteimble et Gaucle`re ont vu en Rimbaud un communard ou un re´volutionnaire, et Daniel Rops un Satan chute´. Mais a` notre avis, puisque si on le nomme le poe`te, ce n'est pas a` cause de sa vie, mais du sens profond dans ses oeuvres ; le syste`me imaginaire de Rimbaud qui a conside´re´ l'enfant comme <la perfection> et l'adulte comme <l'e´tat de la perte> est la clef pour e´clairer sa biographie qui se termina par ses poe`mes de l'adolescence. Alors nous avons e´tudie´ d'abord le paradoxe de Rimbaud qui a pris l'enfant pour l'accomplissement, et non pour l'ignorance. Et puis nous avous examine´ que cet enfant s'efforce de garder sa purete´ dans la re´alite´, et qu'il a echoue´. En conse´quence, nous avons juge´ que cette e´tude correspond au fait biographique de Rimbaud et aussi nous avous examine´ la raison de son sil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