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6 Download: 0

남북한 교과서에 나타나는 여성상 비교 분석

Title
남북한 교과서에 나타나는 여성상 비교 분석
Other Title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Images of Women Appeared in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Korea : Focused on Images of Women in Elementary Korean Languages and Ethics Textbooks
Authors
이유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남북한 교과서국어여성상초등학교도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통일을 준비하는 일환으로 남북한 여성들에 대한 상호이해를 돕기 위해 남한 교과서와 북한 교과서에 나타나는 여성상의 특성을 비교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한과 북한 교과서에 등장하는 여성들의 역할영역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 가정, 사회, 직업 영역 중 어느 영역의 역할이 강조되는가? (2) 각 영역별 세부역할 중 어느 역할이 강조되는가? (3) 강조되는 역할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둘째, 남한과 북한 교과서에 나타나는 역할영역별 여성상의 특성은 무엇인가? (1) 가정영역에 나타나는 여성상과 그것을 나타내는 구체적인 여성의 모습에 있어서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2) 사회영역에 나타나는 여성상과 그것을 나타내는 구체적인 여성의 모습에 있어서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3) 직업영역에 나타나는 여성상과 그것을 나타내는 구체적인 여성의 모습에 있어서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첫째 연구 문제를 탐구하기 위해서는 남북한 교과서에 나타나는 여성들의 역할영역을 크게 가정영역, 사회영역, 직업영역으로 나누었다. 가정영역의 역할은 가사노동자, 양육자, 가정경영자, 가족구성원의 역할로, 사회영역의 역할은 국민, 지역사회일원, 친구/이웃, 학생의 역할로, 직업영역의 역할은 직장인의 역할로 분류하여 여성들의 역할을 비교분석하였다. 둘째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서는 남북한 초등학교 국어·도덕 교과서의 문장내용과 삽화를 질적분석하여 역할영역별로 공통적인 여성상과 한 사회의 교과서에만 특별하게 나타나는 여성상을 살펴보았다.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한과 북한 교과서에 등장하는 여성들의 역할영역을 분석해 본 결과 남한의 경우 문장내용에서는 교과서에 등장하는 여성 전체의 62.3%가 가정영역에서 주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삽화에서는 교과서에 등장하는 여성 전체의 60.8%가 가정영역에서 주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반면 북한의 경우, 문장내용에서는 교과서에 등장하는 여성 전체의 52.5%가 사회활동영역에서 주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삽화에서는 교과서에 등장하는 전체 여성의 55.5%가 사회활동 영역에서 주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여성의 역할영역을 세부적으로 분석 한 결과, 문장내용에서는 남한 여성들이 양육자, 학생, 가사노동자, 가정경영자로서의 역할을 주로 담당하고 있는데 비해 북한 여성들은 국민, 학생, 직장인, 양육자로서의 역할을 주로 담당하고 있다. 삽화에서는 남한 여성들이 양육자, 가사노동자, 학생의 역할을 주로 담당하고 있는데 비해 북한 여성들은 학생, 양육자의 역할을 주로 담당하고 있다. 즉, 남한 여성은 주로 가정영역에서 북한여성들은 주로 사회활동영역에서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남한교과서의 경우 북한교과서보다 여성의 영역을 가정에 국한시키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남한과 북한 교과서에 나타나는 역할영역별 여성상 분석 결과, (1) 가정 영역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여성상으로는 양육을 전담하는 여성상과 가사를 담당하는 여성상이다. 어느 한 쪽의 사회에서만 나타나는 가정영역의 여성상으로는 소비하는 여성상을 들 수 있는데 남한 교과서에서는 자주 나타나지만 북한 교과서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는다. (2) 사회영역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여성상으로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여성상이다. 그러나 이러한 여성상을 나타내고 있는 구체적인 여성의 모습은 차이가 있는데 남한의 경우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여성상은 학교활동 전반에 걸쳐서 열심히 활동을 하고 있는 여학생들의 모습을 통해 나타나는 반면, 북한의 경우는 국가의 혁명적 과업을 위해 활동하는 여성들의 모습을 통해 나타난다. 한편, 어느 한쪽에서만 주로 나타나는 사회영역의 여성상은 헌신적·희생적 여성상이 있는데 북한 교과서에서는 자주 나타나지만 남한 교과서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는다. (3) 직업영역에서는 공통으로 나타나는 여성상으로는 노동하는 여성상이다. 그러나 노동하는 여성상을 나타내고 있는 여성의 모습은 남북한 사이에 차이가 있다. 남한의 경우 노동하는 여성상은 어려한 특정 직업영역에 종사하거나 남성의 대체노동력으로서의 여성의 모습으로 나타나지만, 북한의 경우 이 여성상은 남성과 평등한 존재로서 직업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지위의 직업을 가지고 있는 여성들의 모습을 통해 나타난다. 이 연구는 남북한 여성들에 대한 상호이해를 돋기 위한 일차적 단계로서 교과서에 나타난 여성상을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가 남북한 여성들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해주고 올바른 남북한 여성에 대한 이해와 통일 이후 민족동질성 회복에 한 지름길이 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features of woman images shown in South Korean textbooks, and those in the North's. The analyses are to help better understand each other: South and North Korean women. The analyses are based on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are differences appearing in domains in which the South and the North Korean women play roles, shown in textbooks? (1) Which domain is emphasized; home, society or occupation? (2) Which roles in each domain are emphasized? (3) What are common or uncommon features in the emphasized roles? Second, what are the features of woman images shown in each domain appearing in textbooks? (1) What are common and uncommon features between woman images in the domestic domain and the detailed figures that describe the woman images? (2) What are common and uncommon features between woman images in the social domain and the detailed figures that describe the woman images? (3) What are common and uncommon features between woman images in the occupational domain and the detailed figures that describe the woman images? To research on the first question above, domains in which women in textbooks appears are subdivided into four: domestic, social and occupational domain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oles of women, we detailed them as follows. Roles in the domestic domain include a housekeeper, a children rearer, a home administrator and a member of the family; roles in the social domain, a member of the nation, a member of the local community, a friend/neighbor and a student; roles in the occupational domain, laborers in workplaces. To research on the second question, we will analyze the contents of text and illustrations in elementary Korean Languages and Ethics textbooks, and will find out which images of women do the South and the North share and which images appears each side only. The results of the researche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roles of the South and the North Korean women indicates that, in the South, 62.3% and60.8% of the total women shown in texts and illustrations of the textbooks, respectively, play important roles in the domestic domain. On the other hand, in the North, 52.5% and 55.5% of the total women shown in texts and illustrations of the textbooks, respectively, play important roles in the social domain. In addition, detailed analyses of the role domains of women show that, in the contents of the texts, the South Korean women mainly play roles of children rearers, students, houseworkers, home administrators; the North's, members of the nation, students, laborers and children rearers. Illustrations in the textbooks tells that the South Korean women largely play roles of children rearers, houseworkers and students; the North's, students and children rearers. That is, the South Korean women mainly play roles in the domestic domain; the North's, in the social domain. This draws a conclusion that the South Korean women's domains in textbooks are more limited to the domestic domain than the North's. Second, analyses of woman images for each role domain shown in the South and the North Korean textbooks indicate the followings. (1) The common images of women in domestic domain are women as children rearers and women as houseworkers. On the other hand, as for theimage of women as consumers, the South Korean textbooks frequently show it; however, the North's don't. (2) The common images of women in' social domain are women who are active and progressive. But detailed appearances in textbooks vary: in the South, active and progressive images of women are found in women who work in overall areas of school activities; in the North, in women who work for revolutions of the country.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images of devoted and self-sacrificing women, the North often shows them; however, the South doesn't. (3) The common image of women in occupational domain is women as laborers. But detailed appearances of the image are found different in each side. In the South, the image of women as laborers are shown in mere examples that women have jobs or women as substitutive workforces for men; however, in the North, the images are described in women who are equal to men in occupations and have high positions at work. This study analyzes images of women in textbooks to serve as a step-in stage for helping better understandings of each other: the South and North Korean wome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offer essential data for both sides' women, help better understand each other, and make a path to the restoration of homogeneity needed for the unifi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