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1 Download: 0

유아용 사이트에 나타난 캐릭터에 관한 연구

Title
유아용 사이트에 나타난 캐릭터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Characters in internet sites for children
Authors
원성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Keywords
유아용캐릭터internet sites사이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in internet sites for children, find out the children's preference on Characters in internet sites for children, and find out the current situation of Characters in internet sites for children. There are definite theses for this research below; 1.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in internet sites for children? 2. What is the children's preference on Characters in internet sites for children? 3. What is the current situation of Characters in good md bad internet sites for children?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ere 98 internal sites for children on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in internet sites for children, 100 children aged 4in full, aged 5 in full on the children's preference on Characters in internet sites for children, and 20 internet sites for children on the current situation of Characters in internet sites for children. For this study, research ins instrument conducted by researcher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children's internet sites evaluation instrument suggested by Buckleitner(1998)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alyzed every single item of collected data, after that, indicated them by percentage.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these; First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s particularity in the internet sites for children is no difference in gender but adult character(12.2%) is used less than children(69.4%). And more than 7 characters is 58.2% and 70.4% of character has no name. To express character is using animals(34.6%) and simplifying(46.3%). The using color is a pastel(57.1%), production method is a plane angle(67.3%) and the line is a fine(55.1%), a life-size is 1-proportioned figure(56.1%), the without movement is 52.4%. In educational part, playing an ornament role is 28.6%, using letters is 67.3%, talking character is 41.8%,facial expression in the affirmative is 47.5%.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children's character preference in the internet sites for children is male(52.0%), children(51.0%) character and having a name(81.0%), animal(56.0%), reality(43.0%), Pastel color(46.0%), cubic delineation(86.0%), heavy line(50.0%), more than 3-proportioned figure(66.0%),moving character(74.0%), big character(53.0%). In educational part, children's character preferences in the internet sites for children are talking character(80.0%), using letters with character(%85.0%), facial expression in the affirmative(68.0%), and in the teaching method, explanation(80.0%), sound effects (81.0% ), feedback(69.0% ). Thirdly, as a result of examining situation of character in the internet sites for children follows. In the high rank, there are differences in gender(70.0%),it is used children character(l00.0%), more than 7 characters is 100.0%, 100.0% of character has name. To express character is using animals(80.0%) and simplifying(90.0%). The using color is a pastel(90.0%), production method is a cubic delineation(70.0%), a plane angle(62.2%) and the line is a fine(70.0%), a life-size is 1-proportioned figure{70.0%), the without movement is 0%. In educational part, playing a compound role is l00.0%, using letters is 100.0%, talking character is 100.0%, facial expression in the affirmative is 100.0% and the teaching method is explanation(l00.0%), sound effects(100.0%) feedback(l00.0%) On the other hand, in the low rank, there is no differences in gender(50.0%), it is used equivocal age(50.0%), more than 7 characters is characters is 60.0%, and 100.0% of characteris has no name. To express character is using animals(60.0%) and simplifying(50.0%), The using color is a original color(40.0%), production method is a plane angle(70%) and the line is a fine(50.0%), a life-size is lproportioned figure(30.0%), 2proportioned figure(30.0%), unaware-proportioned figure(30.0%), the without movement is 50.0%. In educational part, playing an ornament role is 50.0% and guidance role is 40,0%, using letters is 90,0%, taking character is 0%, facial expression in the affirmative is 60.0% and the teaching method is only isound effects(20.0%) but explanation and feedback.;본 연구는 유아용 인터넷 사이트에서 사용되는 캐릭터의 특성을 분석하고, 유아들의 캐릭터 선호도를 조사하며, 인터넷 사이트에서 사용되는 캐릭터의 현황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용 사이트에 나타난 캐릭터의 전반적인 특성은 어떠한가? 2. 유아들이 선호하는 캐릭터의 특성은 어떠한가? 3. 유아용 사이트 평가에서 상위, 하위 사이트에 나타난 캐릭터의 현황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사이트에 나타난 캐릭터의 전반적인 특성에서 유아용 사이트 98개, 유아들이 선호하는 캐릭터의 특징에서는 유아 100명을, 유아용 사이트에서 사용되는 캐릭터의 현황은 유아용 사이트 20개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문헌조사를 통해 캐릭터의 특성에 대한 분석항목을 추출하여 본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연구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유아에게 적합한 사이트 평가 는 Buckleitner(1998)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모두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용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캐릭터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유아 캐릭터(69.4%)가 많이 사용되었고, 캐릭터의 수가 7개 이상인 사이트는 58.2.%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캐릭터의 70.4%가 이름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캐릭터가 가진 조형적 특성을 보면, 동물 캐릭터(34.6%), 단순한 표현(46.3%), 파스텔 톤(57.1%), 평면(67.3%), 가는 선(55.1%), 1등신(56.1%), 그리고 움직임이 없는 캐릭터(52.4%)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캐릭터의 교육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그 역할에 있어서 장식의 기능을 하는 캐릭터가 44.2%로 가장 많고 직접교수 역할을 하는 캐릭터(11.7%)는 가장 적게 나타났고 이 때, 교수방법을 설명(27.6%)과 효과음(28.6%)이 높게 나타났다. 캐릭터가 문자를 동시에 사용하는 사이트가 67.3%로 가장 많게 나타났고 캐릭터가 말을 하는 경우는 41.8%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그 중에서 고음(40.6%)과 존대 말(34.7%)을 많이 사용하였다. 표정은 긍정(47.5%)의 경우와 표정변화가 없는 캐릭터(33.7%)가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둘째, 유아들이 선호하는 캐릭터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유아들은 이름이 있는 캐릭터(81.0%)를 선호하였고, 조형적인 특성에 있어서 동물(56.0%)과 사실적인 형태(43.0%), 입체(86.0%). 굵은 선(53.0%), 3등신 이상(66.0%)으로 표현된 캐릭터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캐릭터의 움직임에 있어서 유아들은 활동(74.0%)과 위치 이동(74.0%)하는 경우를 선호하였다. 캐릭터의 교육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캐릭터가 말을 하는 것(84.0%)과 고음(58.0%)을 사용하는 경우를 선호하였다. 유아들은 문자를 사용할 때 캐릭터가 함께 등장(85.0%)하는 것을 선호하고, 긍정(68.0%)의 표정과 표정변화가 있는 캐릭터(54.0%)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방법으로 설명(14.0%), 피드백(9.0%), 효과음(53.0%)을 모두 선호하였으며 이 중에서는 효과음(53.0%)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용 인터넷 사이트 상위10%와 하위 10%에서 사용되는 캐릭터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유아용 사이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캐릭터의 일반적 특성의 현황을 살펴보면 상위사이트에서는 성별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사이트(79.0%)가 많은 반면, 하위사이트에서는 성별을 구분할 수 없는 캐릭터(50.0%)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있어서 상위사이트는 유아 캐릭터를 전체 사이트(100.0%)에서 사용하고 유아와 성인 캐릭터의 중복 사용이 50%로 과반수를 차지했으며, 하위사이트에서는 연령 구분이 모호한 캐릭터(50.0%)를 많이 사용하였다. 숫자는 상위사이트에서 7개 이상인 캐릭터를 모두(100.0%) 사용하였고, 하위사이트에서도 60.0%의 사이트가 7개 이상의 캐릭터를 사용하였다. 캐릭터의 이름에 있어서 모든 상위사이트(100.0%)에 이름이 있었고, 모든 하위사이트(100.0%)에는 이름이 있었다. 조형적 특성의 현황을 살펴보면 상위 사이트에서는 동물(80.0%), 단순한 표현(90.0%), 파스텔톤(90.0%), 입체(70.0%), 가는 선(50.0%), 1등신(70.0%)의 캐릭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활동(100.0%)과 이동(70.0%)을 하는 캐릭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사이트에서는 동물(50.0%), 단순화(50.0%), 원색(40.0%), 평면(70.0%), 가는 선 (50.0%)을 사용하여 캐릭터를 표현하는 경우가 비교적 많았고, 활동하지 않고 (50.0%), 이동이 없는 캐릭터(60.0%)를 비교적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적인 특성의 현황을 살펴보면, 캐릭터의 역할에 있어서 모든 상위사이트 (100.0%)에서 장식, 안내, 흥미 역할을 복합적으로 하였고 교수역할도 90.0%의 사이트에서 사용되었다. 하위사이트는 장식(50.0%)과 안내(40.0%)의 역할을 하는 캐릭터가 비교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캐릭터의 문자사용에 있어서 모든 상위 (100.0%), 하위(90.0%) 사이트가 문자와 캐릭터를 동시에 사용하였다. 캐릭터의 말은 모든 상위사이트(100.0%)에서 말을 하였고 음색은 저음(70.0%)을, 어투는 존대 말(50.0%)을 비교적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정은 긍정이 모든 상위사이트(100.0%)와 비교적 많은 하위사이트(60.0%)에서 사용되었다. 표정 변화는 상위사이트가 60.0%로 많은데 비해 하위사이트에서는 변화 없는 캐릭터(70.0%)가 높게 나타났다. 캐릭터의 교수방법에 있어서 모든 상위사이트(100.0%)에서 설명, 칭찬, 효과음이 사용되었고 하위사이트는 효과음을 사용하는 캐릭터가 20.0%있을 뿐 다른 방법은 사용하지 알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