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아-
dc.creator김정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4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1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7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113-
dc.description.abstractWe have a lot of problem to be solved in our everyday life Especially, in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based society of the 21^(st) century, as information and knowledge are increased, people are faced with more problems to solve So ability of problem solv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learning abilities To improve this ability, discussion is effective learning method In particular, online-discussion has features to improve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a s interactions Therefore, to improve ability of problem solving, it is important that student-student interaction are promoted and discussion is activated in problem solving learning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student-student interaction has any effects discussion massages and problem solving outcomes in web-based problem solving The research question was as follow In the web-based problem solving, dos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affect the number of messages on online discussion? In the web-based problem solving, dos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affect contents of messages (each dimension of messages) that is exchanged by students? In the web-based problem solving, dos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affect problem solving outcomes? In order to explore answers to these question, 50 undergraduate students who took a web bases course at E University were involves in this study All the participants took the test about problem solving process levels arid were divided on 2 groups (one was offered som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other was not) before the experiment The students participated web-based discussion for 3 weeks and at the same time they took classes at classroom During the discussion, researcher offered student- 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to lone group and didn't offer that to the other After discussion, adopting Content Analysis Model (Henri, 19921, the number of posting messages in the discussion board was counted to measure the quantitative difference of discussion messages between 2 groups and the meaning of posting messages was analyzed to measure the qualitative amount of difference of discussion messages between 2 groups And reports as problem solving outcomes were assessed adopting Problem Solving Process Evaluation Model (Lim, 1998)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1) There was no statistically quantitative difference of discussion messages between 2 groups (t= 555, p> 05) That is, th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dose not affect the number of messages on online discussion The cause of this result is that th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only relate to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methods, roles of team members and so on So, these strategies can't affect quantitative amount of messages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and interactional dimension of online discussion messages (F=6 596, p< 05)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and metacoginitive dimension of online discussion messages (F=4 981, p<05) That is, th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affect interactional and metacoginitive dimension of messages The cause of this result is that th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were designed to be able to promote responses about messages made by other participants, and to improve ability of planning, reflection and making strategies So, th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affected the interactional and metacoginitive dimension of messages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and problem solving outcomes (F=6 266, p< 05) That is, th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affect problem solving outcomes The cause of this result can explain in connection with improving of metacognitive messages The standard of Problem Solving Outcome Evaluation involves identifying problem, classifying problem, finding the causes, finding the solutions and examining solutions These are similar to characters of metacognitive dimension, planning, reflection, examination So, the group that was offered student- 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made more metacognitive messages and theses should affect problem solving outcomes This study concludes with a set of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First, this study only clarified the effect of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about messages of interactioanl and metacognitive dimension Therefore, future studies need to examine more interaction strategies to improve other messages of dimension like social dimension or cognitive dimension on online discussion for effective discussion learning Second, in this study, to divide students into 2 groups, Problem Solving Process Level test was taken So, it is possible that student characters as experience of other online discussion or student cognitive style may affect the discussion messages Therefore, future studies need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effect of interaction strategies and student characters Third, this study only clarified the effect of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about problem solving outcomes But Moore and Kearsley (1996) classified interaction as "teacher-student interaction", "content-student interaction" and "student-student interaction" Therefore, future studies need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other 2 interactions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content-student interaction) and problem solving outcomes;현대사회에서는 정보와 자원의 증가로 인해, 사람들은 많은 문제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문제해결능력이 가장 필요한 학습능력 중 하나가 되었다. 이러한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해 학습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토론은 유용한 학습 방법이 될 수 있다. 즉, 학습자들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촉진시켜 토론을 활발하게 이끌게 가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의 상호작용이나 토론에 관한 연구들은 웹 기반 문제해결 학습에서 상호작용 전략과 온라인 토론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거나 온라인 토론 과정에서 상호작용 전략과 학습자들의 토론 메시지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거나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 제공 여부에 따라 토론 메시지의 양과 질, 문제해결성과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험 검증하여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의 효과성을 밝혀내, 그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 제공 여부에 따라 온 라인 토론의 메시지 양에 차이가 있는가? 2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 제공 여부에 따라 학습자들이 주고받은 메시지의 내용(각 차원들)에 영향을 미치는가? 3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 제공 여부에 따라 문제해결성과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2003년 1학기, E 대학교의 면대면 수업과 웹 기반 토론수업을 병행하는 H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학부생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절차는 첫째, 문제해결과정 수준 검사를 사용하여 학습자들을 상호작용 전략을 제공할 실험집단과 제공하지 않을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했다. 둘째, 문제해결을 위한 토론 주제와 토론에 관한 전반적인 공지 사항을 게시하면서 온라인 토론을 3주간 실시하였고, 토론 기간 동안, 실험집단에는 연구자가 설계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을 제공하였다. 셋째, 토론이 끝난 후, 토론방에 게시된 메시지의 수와 내용을 확인하고 Henri(1992)의 메시지 분석 도구를 사용하여 게시물의 수와 게시물 내의 진술문 수인 메시지와 양과 메시지의 사회적, 상호작용적, 인지적, 메타인지적 차원의 의미인 메시지의 질을 분석하였다. 또한 토론이 끝난 후, 각 팀별로 제출한 문제해결보고서를 임정훈(1998)의 문제해결성과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 제공 여부에 따라 온라인 토론의 메시지 양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전체 게시물 수에서는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을 제공한 집단과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을 제공하지 않은 집단이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555, p>05) 또한 진술문 수에서도 역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629, p> 05) 이는 제공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이 문제해결을 위한 토론 진행이나 팀원들의 토론 중 역할, 협력적인 문제해결 방법 등 토론의 내용이나 토론 진행과 관련된 것이었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생성한 메시지의 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못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실험집단 내 토론 팀들 사이의 메시지 양이 큰 차이가 없었고, 통제집단 내 토론 팀들 사이의 메시지 양은 서로 큰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을 제공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간 온라인 토론에서 전체 게시물 수는 통제적으로 큰 차이가 없게 나타났지만, 표준편차에 의해 나타난 분포를 살펴보게 되면 상호작용을 제공한 집단의 게시물 수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이 실험집단의 게시물 수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 제공 여부에 따라 학습자들이 주고받은 메시지의 내용 즉, 각 차원들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각 집단의 토론 메시지를 사회적 차원, 상호작용적 차원, 인지적 차원, 메타인지적 차원으로 분석해 내용적 측면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은 학습자들이 주고받은 토론 메시지의 상호작용적 차원(F=6.596, p<.05)과 메타인지적 차원 (F=4.981, p<.05)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본 연구에서 설계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이 문제해결을 위한 토론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생각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반응하도록 촉진시키는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또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이 토론 팀 내에서 팀원들의 협력적 활동에 대한 전략이나 팀원들의 역할수행에 대한 전략, 반성, 성찰 등의 대한 전략들을 포함하고 있어, 토론을 진행하고, 계획하고, 점검하는 등의 메타인지적 활동을 보다 촉진시켜 준다고 설명할 수 있다. 셋째.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 제공 여부에 따라 문제해결성과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각 토론 팀들의 문제해결성과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을 제공받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의 문제해결성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t=2.503, p<.05) 또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을 제공받은 집단이 문제해결성과 점수를 더 높게 받아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이 문제해결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F=6.266, p<.05)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이 온라인 토론에서 주고받은 메시지들 중 메타인지적 차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과 관련 지을 수 있다. 문제해결성과 평가는 학습자들이 토론을 통해 해결한 문제해결 과정을 정리한 보고서를 가지고 문제 확인, 명세화, 원인 상정 및 검증, 해결책 마련 및 검토 확인 과정을 논리적이고 합리적으로 정리하였는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이 때의 평가기준은 메타인지적 차원의 해당하는 토론 계획 수립이나, 점검과 유사한 것이다. 따라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을 제공받은 집단이 토론 과정에서 메타인지적 차원의 의미를 많이 생성하였고, 이것이 토론 종료 후 그 과정을 정리한 문제 해결성과 보고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이 토론 메시지의 상호작용적 차원과 메타인지적 차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따라서 문제해결을 위한 토론 학습에서 상호작용적 차원과 메타인지적 차원 뿐 아니라 사회적 차원, 인지적 차원 등을 활성화시켜 효과적인 토론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들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한 토론을 실시하기 위해, 학습자의 문제해결수준에만 초점을 두어 집단을 구성하였고, 학습자의 온라인 토론 경험 유무, 주제와 관련된 사전 지식 여부 및 인지양식 등과 같은 학습자 특성에 대해서는 살펴보지 않았다. 따라서, 문제해결과정에서 학습자의 문제해결수준 뿐 아니라 다양한 학습자 특성을 함께 고려하며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의 효과성과 관련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이 문제해결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Moore와 Kearsley(1996)의 상호작용 유형 분류 중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해당하는 전략만을 다루었고, "교수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이나 "내용과 학습자간 상호작용"과 관련된 전략들을 다루지 않았다. 따라서 문제해결을 위한 토론에서 문제해결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상호작용 전략들에 대 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학습자들의 문제해결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현대사회에서는 정보와 자원의 증가로 인해, 사람들은 많은 문제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문제해결능력이 가장 필요한 학습능력 중 하나가 되었다. 이러한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해 학습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토론은 유용한 학습 방법이 될 수 있다. 즉, 학습자들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촉진시켜 토론을 활발하게 이끌게 가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의 상호작용이나 토론에 관한 연구들은 웹 기반 문제해결 학습에서 상호작용 전략과 온라인 토론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거나 온라인 토론 과정에서 상호작용 전략과 학습자들의 토론 메시지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거나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 제공 여부에 따라 토론 메시지의 양과 질, 문제해결성과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험 검증하여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의 효과성을 밝혀내, 그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 제공 여부에 따라 온 라인 토론의 메시지 양에 차이가 있는가? 2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 제공 여부에 따라 학습자들이 주고받은 메시지의 내용(각 차원들)에 영향을 미치는가? 3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 제공 여부에 따라 문제해결성과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2003년 1학기, E 대학교의 면대면 수업과 웹 기반 토론수업을 병행하는 H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학부생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절차는 첫째, 문제해결과정 수준 검사를 사용하여 학습자들을 상호작용 전략을 제공할 실험집단과 제공하지 않을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했다. 둘째, 문제해결을 위한 토론 주제와 토론에 관한 전반적인 공지 사항을 게시하면서 온라인 토론을 3주간 실시하였고, 토론 기간 동안, 실험집단에는 연구자가 설계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을 제공하였다. 셋째, 토론이 끝난 후, 토론방에 게시된 메시지의 수와 내용을 확인하고 Henri(1992)의 메시지 분석 도구를 사용하여 게시물의 수와 게시물 내의 진술문 수인 메시지와 양과 메시지의 사회적, 상호작용적, 인지적, 메타인지적 차원의 의미인 메시지의 질을 분석하였다. 또한 토론이 끝난 후, 각 팀별로 제출한 문제해결보고서를 임정훈(1998)의 문제해결성과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 제공 여부에 따라 온라인 토론의 메시지 양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전체 게시물 수에서는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을 제공한 집단과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을 제공하지 않은 집단이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555, p>05) 또한 진술문 수에서도 역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629, p> 05) 이는 제공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이 문제해결을 위한 토론 진행이나 팀원들의 토론 중 역할, 협력적인 문제해결 방법 등 토론의 내용이나 토론 진행과 관련된 것이었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생성한 메시지의 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못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실험집단 내 토론 팀들 사이의 메시지 양이 큰 차이가 없었고, 통제집단 내 토론 팀들 사이의 메시지 양은 서로 큰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을 제공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간 온라인 토론에서 전체 게시물 수는 통제적으로 큰 차이가 없게 나타났지만, 표준편차에 의해 나타난 분포를 살펴보게 되면 상호작용을 제공한 집단의 게시물 수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이 실험집단의 게시물 수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 제공 여부에 따라 학습자들이 주고받은 메시지의 내용 즉, 각 차원들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각 집단의 토론 메시지를 사회적 차원, 상호작용적 차원, 인지적 차원, 메타인지적 차원으로 분석해 내용적 측면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은 학습자들이 주고받은 토론 메시지의 상호작용적 차원(F=6.596, p<.05)과 메타인지적 차원 (F=4.981, p<.05)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본 연구에서 설계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이 문제해결을 위한 토론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생각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반응하도록 촉진시키는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또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이 토론 팀 내에서 팀원들의 협력적 활동에 대한 전략이나 팀원들의 역할수행에 대한 전략, 반성, 성찰 등의 대한 전략들을 포함하고 있어, 토론을 진행하고, 계획하고, 점검하는 등의 메타인지적 활동을 보다 촉진시켜 준다고 설명할 수 있다. 셋째.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 제공 여부에 따라 문제해결성과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각 토론 팀들의 문제해결성과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을 제공받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의 문제해결성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t=2.503, p<.05) 또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을 제공받은 집단이 문제해결성과 점수를 더 높게 받아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이 문제해결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F=6.266, p<.05)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이 온라인 토론에서 주고받은 메시지들 중 메타인지적 차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과 관련 지을 수 있다. 문제해결성과 평가는 학습자들이 토론을 통해 해결한 문제해결 과정을 정리한 보고서를 가지고 문제 확인, 명세화, 원인 상정 및 검증, 해결책 마련 및 검토 확인 과정을 논리적이고 합리적으로 정리하였는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이 때의 평가기준은 메타인지적 차원의 해당하는 토론 계획 수립이나, 점검과 유사한 것이다. 따라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을 제공받은 집단이 토론 과정에서 메타인지적 차원의 의미를 많이 생성하였고, 이것이 토론 종료 후 그 과정을 정리한 문제 해결성과 보고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이 토론 메시지의 상호작용적 차원과 메타인지적 차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따라서 문제해결을 위한 토론 학습에서 상호작용적 차원과 메타인지적 차원 뿐 아니라 사회적 차원, 인지적 차원 등을 활성화시켜 효과적인 토론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들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한 토론을 실시하기 위해, 학습자의 문제해결수준에만 초점을 두어 집단을 구성하였고, 학습자의 온라인 토론 경험 유무, 주제와 관련된 사전 지식 여부 및 인지양식 등과 같은 학습자 특성에 대해서는 살펴보지 않았다. 따라서, 문제해결과정에서 학습자의 문제해결수준 뿐 아니라 다양한 학습자 특성을 함께 고려하며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의 효과성과 관련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 전략이 문제해결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Moore와 Kearsley(1996)의 상호작용 유형 분류 중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해당하는 전략만을 다루었고, "교수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이나 "내용과 학습자간 상호작용"과 관련된 전략들을 다루지 않았다. 따라서 문제해결을 위한 토론에서 문제해결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상호작용 전략들에 대 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학습자들의 문제해결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We have a lot of problem to be solved in our everyday life Especially, in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based society of the 21^(st) century, as information and knowledge are increased, people are faced with more problems to solve So ability of problem solv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learning abilities To improve this ability, discussion is effective learning method In particular, online-discussion has features to improve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a s interactions Therefore, to improve ability of problem solving, it is important that student-student interaction are promoted and discussion is activated in problem solving learning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student-student interaction has any effects discussion massages and problem solving outcomes in web-based problem solving The research question was as follow In the web-based problem solving, dos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affect the number of messages on online discussion? In the web-based problem solving, dos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affect contents of messages (each dimension of messages) that is exchanged by students? In the web-based problem solving, dos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affect problem solving outcomes? In order to explore answers to these question, 50 undergraduate students who took a web bases course at E University were involves in this study All the participants took the test about problem solving process levels arid were divided on 2 groups (one was offered som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other was not) before the experiment The students participated web-based discussion for 3 weeks and at the same time they took classes at classroom During the discussion, researcher offered student- 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to lone group and didn't offer that to the other After discussion, adopting Content Analysis Model (Henri, 19921, the number of posting messages in the discussion board was counted to measure the quantitative difference of discussion messages between 2 groups and the meaning of posting messages was analyzed to measure the qualitative amount of difference of discussion messages between 2 groups And reports as problem solving outcomes were assessed adopting Problem Solving Process Evaluation Model (Lim, 1998)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1) There was no statistically quantitative difference of discussion messages between 2 groups (t= 555, p> 05) That is, th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dose not affect the number of messages on online discussion The cause of this result is that th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only relate to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methods, roles of team members and so on So, these strategies can't affect quantitative amount of messages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and interactional dimension of online discussion messages (F=6 596, p< 05)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and metacoginitive dimension of online discussion messages (F=4 981, p<05) That is, th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affect interactional and metacoginitive dimension of messages The cause of this result is that th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were designed to be able to promote responses about messages made by other participants, and to improve ability of planning, reflection and making strategies So, th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affected the interactional and metacoginitive dimension of messages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and problem solving outcomes (F=6 266, p< 05) That is, the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affect problem solving outcomes The cause of this result can explain in connection with improving of metacognitive messages The standard of Problem Solving Outcome Evaluation involves identifying problem, classifying problem, finding the causes, finding the solutions and examining solutions These are similar to characters of metacognitive dimension, planning, reflection, examination So, the group that was offered student- 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made more metacognitive messages and theses should affect problem solving outcomes This study concludes with a set of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First, this study only clarified the effect of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about messages of interactioanl and metacognitive dimension Therefore, future studies need to examine more interaction strategies to improve other messages of dimension like social dimension or cognitive dimension on online discussion for effective discussion learning Second, in this study, to divide students into 2 groups, Problem Solving Process Level test was taken So, it is possible that student characters as experience of other online discussion or student cognitive style may affect the discussion messages Therefore, future studies need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effect of interaction strategies and student characters Third, this study only clarified the effect of student-student interaction strategies about problem solving outcomes But Moore and Kearsley (1996) classified interaction as "teacher-student interaction", "content-student interaction" and "student-student interaction" Therefore, future studies need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other 2 interactions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content-student interaction) and problem solving outcom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의 개요 = vi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문제 = 3 C. 용어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8 A. 웹 기반 문제해결 학습 = 8 B. 학습에서의 상호작용 전략 = 17 C. 온라인 토론 = 24 D. 관련 선행연구 = 34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39 A. 연구대상 = 39 B. 연구도구 = 41 C. 연구 절차 = 53 D. 자료 분석 = 59 Ⅳ. 연구 결과 = 61 Ⅴ. 결론 및 제언 = 68 A. 결론 및 논의 = 68 B. 연구의 제한점 = 72 C. 제언 = 73 참고문헌 = 75 부록 = 81 ABSTRACT = 97;목차 = Ⅰ 논문의 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문제 = 3 C. 용어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8 A. 웹 기반 문제해결 학습 = 8 B. 학습에서의 상호작용 전략 = 17 C. 온라인 토론 = 24 D. 관련 선행연구 = 34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39 A. 연구대상 = 39 B. 연구도구 = 41 C. 연구 절차 = 53 D. 자료 분석 = 59 Ⅳ. 연구 결과 = 61 Ⅴ. 결론 및 제언 = 68 A. 결론 및 논의 = 68 B. 연구의 제한점 = 72 C. 제언 = 73 참고문헌 = 75 부록 = 81 ABSTRACT =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012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웹기반-
dc.subject문제해결학습-
dc.subject상호작용-
dc.subject토론메시지-
dc.subject문제해결성과-
dc.title웹 기반 문제해결학습에서 상호작용 전략이 토론 메시지와 문제해결성과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