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승임-
dc.creator강승임-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0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0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6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6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636-
dc.description.abstractA feeling of anxiety has been recently recognized as one of the dangerous factors that can cause unusual and problematic behavior of juveniles although it is a natural feeling in this age group. More teenagers tend to often describe themselves as ‘being anxious.’ This phenomenon has necessitated a study of adolescent anxiety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examine how to educationally approach to the issues of the anxiety through analyzing its meanings and questions. Ultimately this research is aiming to clarify the educational meanings of anxiety of juveniles and to consider the role of school and educators in handling it in the process of education. This thesis consists of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outlines the research questions in detail, explaining why the educational perspective for the anxiety is needed. The second chapter introduces the conceptual and educational meaning of anxiety in the basis of the existing theories on it. The third chapter analyses the anxiety issues that can be raised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applying to the teen age group. Following this, the forth chapter explains what is the role of school and teachers in order to deal with the issues of adolescent anxiety in education. Finally, the last chapter conclude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nd proposes several ideas for further study with summary of all previous chapters. Scholars in psychology and existential philosophy have systematically theorized about the feeling of anxiety. While psychological researches are mostly focusing on the causes of anxiety and its defensive mechanism, existential philosophers are dealing with the relations between the anxiety and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Particularly, in the existential philosophy, the feeling of anxiety has been recognized as a necessary condition for human beings in order to be reborn as ‘being in it-self’, suggesting to face and get over it, not to avoid it. When it comes to applying the educational perspective on the anxiety discourse, its causes and roles need to be examined. In general, the feeling of anxiety occurs when the relations of educatees are threatened, so at the same time, the feeling is playing a role of generating the desire for recovering the relations. There are two ways for the educatees to cope with the situation; (1) showing escape behavior, and (2) shaping new relationship and maturing themselves. Educatees in a seriously unstable circumstance tend to choose the former method while the later one is usually utilized in a normal level of anxiousness. Among these two methods, the later one can be considered as an educational function of the unstable feeling because educatees can achieve educational growth by overcoming their feelings and changing the ways to shap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refore, school and educators have to create the environment that can prevent educatees from having an unstable feeling at a serious level for promoting more educational function of it. By doing so, they can be grown up, making new relations with others. Based on the discussed above, the differences of the unstable feeling in teens should be compared with that in childhoods, focusing on existential features of adolescents. Teens start to be aware of themselves along with the changeof their personal and environmental surroundings, which generate the feeling of anxiety. Thus, the feeling is general and natural for teens and most of them can overcome and build up themselves by standing against it. Related to how to establish relations with themselves, it can be seen from the concept of ‘love’ by Fromm and his comparison between ‘self-love’ and ‘selfishness.’ When people consciously begin to realize a real self after finding a several different aspects of them, they tend to accept it and optimize the surroundings. This is that their self-love has been recovered by combining themselves and the love, which means the educational function of the anxiety has been made. However, it would not be easy to unite a self with love in a real situation because people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circumstances where they have to confront against other’s judgment, expectation and comparison, which hinder them from looking inside of themselves. Under this circumsta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people have inferiority or superiority, a hatred for themselves and eventually self-centered mind due to a feeling of competition and jealousy. This means that the distorted relations have been made with themselves, which can generate more serious condition of the feelings of anxiety even if it is occurred due to minor threat from the outside. This is because the problems of the unstable feeling made in the relations of themselves has not solved yet. As the anxiety is becoming serious, people tend to show the behavior of escaping the situation. The more the behavior is restrained, the more the anxiety can occur. Thus eventually people try to hide even their natural feeling of anxiety. In this sense, it is important to balance the competitive circumstance around the teens and to encourage them to combine themselves with love by looking closely into their mind so as that the anxious feelings can function in educational ways. However, current education system is not properly working for handling the issues of adolescent anxiety due to its competitive and knowledge-centered environments. Competitive atmosphere of classrooms, triggering a strong sense of rivalry and jealousy among educatees, can cause a feeling of anxiety at a high level, and at the same time, the knowledge-centered education, just focusing on providing knowledge for wining competition, can prevent teens from overcoming their feelings. In this sense, school and educators have a duty to create more humane environments, facing against existing education system which is promoting competition. Educators have to lead this change of the atmosphere and to encourage teens to have a sense of independence by confronting their real anxiety and by optimizing themselves. This can be realized by the sincere conversation between the educators and the educatees. Educators with open-mind should try to understand educatees’ situation and the reason of their anxiety and to make them confront their inner self. By doing so, they can be encouraged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distorted and separated relations with themselves and to unite with their inner self by optimizing themselves. If adolescent anxiety is not taken into account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people might have to keep facing up the unstable life even after grown-up. Moreover, it is unlikely for them to manage their own life by themselves and to be in a state of self-realization. Therefore, when the anxiety is well managed in the age of 10s, the teens can have a good sense of self-love and self-reliance by facing the problems generated from the anxious feelings.;불안은 청소년기의 주된 정서이지만, 최근 문제 행동을 유발하는 위험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게다가 청소년들 스스로도 ‘불안하다’는 말을 자주 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청소년기 불안을 교육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보아야 하는지 연구할 것을 요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기 불안의 의미와 여러 문제들을 분석함으로써 이를 교육적으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규명해 본다.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청소년기 불안에 내재된 교육적 의미를 밝히고 그것을 다루기 위해 학교와 교사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 고찰해 보는 것이다. 각 장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청소년기 불안을 교육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아야 하는 이유와 필요성, 그리고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제시한다. 2장에서는 불안에 대한 기존 이론을 바탕으로 불안에 내재된 교육학적 의미를 살펴본다. 3장에서는 교육학적 관점에서 본 불안의 문제들을 청소년기에 적용하여 고찰해 본다. 4장에서는 청소년기 불안을 교육적으로 다룬다고 했을 때, 학교와 교사는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 알아본다. 5장에서는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를 밝히고 제안을 한다. 불안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은 심리학과 실존철학에서 발견된다. 심리학 연구들은 주로 불안의 원인 및 방어기제의 작동 원리를 규명하고 있으며, 실존철학에서는 인간 존재와 불안의 관계를 밝히고 있다. 특히 실존철학에서는 개인이 실존적 존재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불안이라는 정서가 필요조건이 되며 여기서 도피하지 말고 견뎌나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상의 두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교육학적인 관점에 불안을 본다고 했을 때, 불안의 원인과 그 역할을 밝힐 것이 요구된다. 이에 피교육자가 맺고 있는 관계들이 위협을 받았을 때 불안이 발생하며, 이때 다시 관계 맺고자 하는 욕구를 갖게 됨으로써 불안의 기능이 수행된다. 그런데 여기에는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하나는 도피 행동을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새로운 관계를 맺음으로써 성숙해진 자아를 정립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자의 경우는 심각한 수준의 불안이 발생했을 경우 선택하게 되는 행위이고, 후자는 본래적 불안일 경우에 가능한 행동이다. 이 중 불안의 교육적 기능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은 후자의 경우이다. 왜냐하면 불안을 견뎌나감으로써 관계 맺는 틀 자체를 바꾸고 교육적 성장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불안의 교육적 기능이 발휘되기 위해서 학교와 교사는 심각한 수준의 불안이 발생하지 않도록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하고, 새로운 관계를 맺음으로써 성장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청소년기 불안에 내재된 교육적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자 할 때, 먼저 청소년기의 존재론적 특성에 주목하여 청소년의 불안이 아동기와 다른 점은 무엇인지 파악해 보아야 한다. 청소년기는 개인적·환경적 변화로 인해 자아의식이 발달하는데, 이 과정에서 불안이 발생한다. 따라서 청소년기의 불안은 매우 자연스럽고 일반적인 현상이며, 여기서 도피하지 않고 견뎌나감으로써 자기와의 새로운 관계가 정립된다. 자기와의 관계가 어떻게 정립될 수 있는지 Fromm의 “사랑” 개념 중에서 “자기애”와 “이기주의”의 대비를 통해 알아본다. 자신의 여러 모습을 탐색하던 자아의식이 자신의 참된 모습을 발견하게 되면 자신을 받아들이고 긍정하게 된다. 이는 곧 자신과 사랑으로 결합함으로써 자기애를 회복한 것이며, 이때 비로소 청소년기 불안의 교육적 기능이 발휘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 자기 자신과 사랑으로 결합하는 일은 매우 요원하다. 이는 자신에 대한 외부의 평가와 기대, 타인과의 비교 등으로 인해 자신의 본모습을 찾기 힘든 환경에 자주 노출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경쟁심과 질투심이 유발되어 자신을 긍정하기보다는 열등감이나 우월감에 빠짐으로써 자신을 혐오하게 되고 결국 이기적인 태도를 갖게 된다. 이는 곧 자기 자신과 왜곡된 관계를 맺게 되었음을 뜻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자기와의 관계에서 발생한 불안 또한 왜곡되어 사소한 위협에도 심각한 수준의 불안으로 비화될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아직 자기 자신과의 관계에서 발생한 불안이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불안이 가중되면 여기서 도피하고자 하는 행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도피 행위는 그것이 제지당했을 때 더 큰 불안을 야기하고, 결과적으로 자기 자신과의 관계에서 발생한 자연스러운 불안을 은폐한다. 청소년기 불안이 교육적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심각한 수준의 불안이 발생하지 않도록 경쟁적 분위기에 균형을 잡아주어야 하고, 동시에 자기 자신을 살펴봄으로써 자신과 사랑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현행 교육환경은 경쟁적 분위기와 지식 중심 교육을 제공하는데, 이는 청소년기 불안을 다루기에 적합하지 않다. 경쟁적 분위기는 질투심과 경쟁심을 유발함으로써 청소년기 불안을 가중하고, 지식 교육은 경쟁에서 이기는 지식을 제공하는 데 치중하여 불안에서 벗어나는 데 도움이 되는 지식은 제공하지 않는다. 이에 경쟁을 조장하는 기존의 교육환경에 맞서 학교는 인간적인 분위기를 조성해야 할 의무가 생긴다. 그리고 교사는 이러한 분위기를 주도함과 동시에 청소년으로 하여금 불안에 직면함으로써 자기 자신을 긍정하고 나아가 주체적인 존재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는 진실한 대화를 나눔으로써 실현된다. 교사는 포용하는 자세로 청소년의 입장을 이해하고 그들이 무엇 때문에 불안해하는지 자신의 갈등을 돌아볼 수 있게 해야 한다. 여기서 자신과 자아와의 왜곡된 관계, 분리된 관계로 겪는 고통을 이해하고 자신을 긍정함으로써 사랑으로 자신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청소년기 불안이 교육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을 때, 성인이 되어서도 늘 불안한 삶을 살아야 한다. 게다가 더 큰 문제는 자기 자신으로서의 삶, 즉 자아를 실현한 삶을 살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기 불안이 제대로 다루어져야만 청소년 자신도 불안에 직면하여 스스로를 사랑하고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문제제기 = 1 1.2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 5 제2장 불안의 의미 = 7 2.1 불안에 대한 이론적 고찰 = 7 2.1.1 심리학적 고찰 = 8 2.1.1.1 Freud의 정신분석학적 해석 = 9 2.1.1.2 사회심리학적 해석 - Horney와 Fromm의 이론을 중심으로 = 13 2.1.2 철학적 고찰 = 20 2.1.2.1 Kierkegaard의 해석 = 21 2.1.2.2 Heidegger의 해석 = 25 2.2 교육학적 관점에서 본 불안의 문제들 = 30 제3장 청소년기 불안의 문제들 = 39 3.1 청소년기 불안의 본질과 교육적 성장 = 39 3.1.1 Erikson의 이론을 중심으로 본 청소년기 자아 발달의 특성 = 41 3.1.2 청소년기 자아의식과 불안과의 관계 = 45 3.1.3 청소년기 불안과 교육적 성장 = 48 3.2 청소년기의 심각한 불안과 도피 행위 = 52 3.2.1 청소년기 심각한 불안의 원인 및 발생 배경 = 53 3.2.2 청소년기 심각한 불안에서 도피하는 행위 = 60 제4장 청소년기 불안과 교육의 역할 = 70 4.1 청소년기 불안을 심화시키는 교육환경 = 70 4.2 청소년기 불안과 학교 및 교사의 역할 = 77 4.2.1 불안을 수용하는 인간적인 분위기 조성 = 78 4.2.2 불안을 다루는 경험으로서의 대화적 관계 맺음 = 83 제5장. 결론 = 90 5-1. 요약 및 논의 = 90 5-2. 의의 및 제안 = 93 참고 문헌 = 96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104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70-
dc.title청소년기 불안의 교육적 함의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Adolescent Anxiety-
dc.creator.othernameKang, Seung Im-
dc.format.pageⅷ, 10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