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현지-
dc.creator조현지-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9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3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4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308-
dc.description.abstract평생학습사회가 본격적으로 도래하면서 삶의 전 영역에서 일과 학습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다. 이제 평생교육은 전 생애에 걸쳐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지속적인 과정으로 이해되고 있다(UNESCO, 2005).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정부와 여러 관련 단체에서는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증진하고 있으며, 현장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평생교육을 시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결과, 우리 나라의 평생교육은 양적으로 매우 확대되었으며, 이제는 학습자 중심의 질 높은 평생교육을 실현하는 데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교육인적자원부, 2004). 평생교육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서 다양한 논의들 중에서 평생교육 담당자의 역할과 전문성은 학습자, 기관, 지역, 사회의 평생교육에 대한 요구를 이해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이를 충족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변종임, 2003). 이와 같은 맥락에서 2000년부터 평생교육법에 의거하여 양성되어온 평생교육사는 대표적인 평생교육 담당자로서 전국의 평생교육기관에서 평생교육에 관한 기획, 관리, 개발, 운영, 평가, 상담, 교수 등의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들의 전문성에 대한 기대가 점차 고조되고 있다. 특별히 앞으로의 평생교육의 환경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내용을 학습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e-평생학습환경으로 변화할 것으로 기대되면서 혁신적인 평생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평생교육사의 전문성과 기술 변화 활용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한국교육개발원, 2006c). 이와 같이 기술 및 사회 변화에 따라 평생교육사의 전문적인 활동이 기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생학습자로서 꾸준히 학습하여야 할 평생교육사에 대한 체계적인 재교육에 관한 요구분석과 실행에 대한 지원이 미비한 실정이다(양병찬, 김경희, 김진화, 이경아, 2005). 특히, 현재의 평생교육사 양성 과정은 평생학습자, 공동체, 지역사회 및 국가의 급변하는 요구를 감당하고 변화를 주도할 만큼 유연하거나 풍부하게 제공되고 있지 못 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뿐만 아니라 평생교육사가 학습자의 지속적인 사회ㆍ기술적 역량 계발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기획 및 운영할 수 있도록 직접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이에 앞서 현재의 평생교육사 현황에 대한 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한국교육개발원, 2006a). 이와 같은 이유에서 본 연구는 평생교육사의 전문성과 평생교육 환경에서 점차 더욱더 요구될 ICT 활용역량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평생교육사의 ICT 활용역량과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평생교육사의 ICT 학습경험, 종사기관과 업무 요인이 ICT 활용역량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ICT 학습경험, 종사기관, 업무, 그리고 ICT 활용역량이 평생교육사의 전문성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살펴봄으로써 평생교육사의 ICT 활용역량과 전문성의 수준과 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평생교육사의 ICT 학습경험, 종사기관, 업무는 ICT 활용역량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가? 1.1 평생교육사의 ICT 학습경험은 ICT 활용역량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가? 1.2 평생교육사의 종사기관은 ICT 활용역량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가? 1.3 평생교육사의 업무는 ICT 활용역량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가? 연구문제 2. 평생교육사의 ICT 학습경험, 종사기관, 업무, ICT 활용역량은 전문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가? 2.1 평생교육사의 ICT 학습경험은 전문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가? 2.2 평생교육사의 종사기관은 전문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가? 2.3 평생교육사의 업무는 전문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가? 2.4 평생교육사의 ICT 활용역량은 전문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가? 연구문제 3. 평생교육사의 ICT 학습경험, 종사기관, 업무와 전문성 간의 관계에서 ICT 활용역량은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3.1 평생교육사의 ICT 학습경험과 전문성 간의 관계에서 ICT 활용역량이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3.2 평생교육사의 종사기관과 전문성 간의 관계에서 ICT 활용역량이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3.3 평생교육사의 업무와 전문성 간의 관계에서 ICT 활용역량이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전국의 4만 여 명의 평생교육사를 모집단으로 하였다. 그 중 한국교육개발원 데이터베이스에 연락처가 공개되어 있는 498명의 평생교육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이메일, 그리고 fax를 통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회수 결과 총 498명의 설문 중 159부가 수집되었으며, 이 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공란이 있거나, 평생교육기관에 종사하지 않는 응답자의 설문 26부를 제외한 133부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다음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첫째, ICT 학습경험, 종사기관, 업무, ICT 활용 역량 및 전문성 간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종사기관 변인 중 명명척도로 제작된 (1) 종사기관 유형과 (2) 기관의 교육 지원 정도 변인의 경우, ICT 활용역량과 전문성에 대한 집단 간 평균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one-way ANOVA(일원분산분석: one-way analysis of variance)를 활용한 후, Scheffe 사후비교검증을 실시하였다. 셋째, 상관분석 통해 유의미한 상관관계 또는 평균차이검증을 통해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나타난 경우,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ICT 학습경험, 종사기관, 업무 특성이 ICT 활용역량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지, 그리고 ICT 학습경험, 종사기관, 업무 특성, ICT 활용역량이 전문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지 분석하였다. 특별히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통하여 ICT 활용역량이 ICT 학습경험, 종사기관, 업무 특성과 전문성 간에 매개효과로 작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인과 ICT 활용역량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1) ICT 학습경험과 ICT 활용역량의 상관관계에서는 원격교육활용론의 수강 여부, ICT 관련 과목 수강 여부, 그리고 최근 1년간 ICT 관련 교육 참여 여부가 ICT 활용역량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종사기관 변인 중에서는 연간 수강생 수와 ICT 활용역량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 종사 기관의 연간 수강생 수가 많을수록 ICT 활용역량이 높은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업무 변인 중에서는 평가 업무 비율과 ICT 활용역량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평가 업무의 비중이 높을수록 ICT 활용역량이 높은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4) ICT 학습경험과 전문성의 상관관계에서는 원격교육활용론 수강 여부와 최근 1년 간 ICT 관련 교육 참여 여부가 전문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반면, ICT 관련 과목 수강 여부와 ICT 관련 자격증 소지 여부는 전반적인 전문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5) 평생교육사의 종사기관 변인 중 연간 수강생 수와 전문성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이는 종사기간의 연간 수강생 수가 많을수록 전문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6) 평생교육사의 업무와 전문성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평가 업무 비율이 전문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전체 업무 시간 중 평가 업무에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을 소요하는 평생교육사의 전문성이 높은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7) ICT 활용역량과 전문성 합계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평생교육사의 ICT 활용역량이 높을수록 전문성이 높은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종사기관 변인 중 명명척도로 제작된 종사기관 유형과 기관의 연수 지원 정도에 대한 ICT 활용역량과 전문성의 평균 차이를 검증하고자 ANOVA를 실시하였다. (1) 종사기관 유형에 따른 ICT 활용역량과 전문성 총계에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나타났다. Scheffe 사후비교검증을 통하여 종사기관 유형별 ICT 활용역량 평균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① 공무원 및 공공교육연수기관, ② 기업체 연수원, ③ 연구기관, ④ 원격교육기관, ⑤ 직업훈련기관, ⑥ 평생학습관이 시민기관에 종사하는 평생교육사의 ICT 활용역량에 비하여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종사기관 유형별로 전문성에 차이가 있는지 Scheffe 사후비교검증을 실시하였으나, 집단별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2) 종사기관의 연수 지원 정도에 따른 종속 변인의 평균 차이를 검증한 결과 종사기관의 연수 지원 정도에 따라 ICT 활용역량과 전문성 총계에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집단별 차이를 Scheffe 사후비교검증을 통해 분석한 결과, ICT 활용역량과 전문성 모두에서 ① 교육에 대한 소극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기관과 ② 기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기관이 ③ 전혀 지원이 없는 기관에 대해 유의미한 평균 차이를 보였다. 이로서 기관의 교육에 대한 지원 정도에 따라 ICT 활용역량 및 전문성에 유의미한 평균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상관관계 및 평균차이 검증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문제에 기반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평생교육사의 ICT 학습경험, 종사기관, 업무는 ICT 활용역량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가? 첫째, ICT 학습 경험 중에서는 (1) ICT 관련 교과목 수강 여부와 (2) 최근 1년 간 ICT 관련 교육 참여 여부가 ICT 활용역량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사기관 변인 중에서는 (1) 시민기관, (2) 기관 차원의 적극적인 교육 지원, (3) 원격교육기관, (4) 직업훈련기관, (5) 주민자치센터, (6) 기관 차원의 교육지원이 전혀 없는 경우, (7) 연간 수강생 수, (8) 공무원 및 공공교육연수기관이 ICT 활용역량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업무 변인 중에서는 평가 업무의 상대적인 시간 소요 비율이 ICT 활용역량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2. 평생교육사의 ICT 학습경험, 종사기관, 업무, ICT 활용역량은 전문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가? 첫째, ICT 학습경험 변인 중 (1) 최근 1년간 ICT 관련 교육 참여 여부와 (2) 원격교육활용론 수강 여부가 전문성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사기관 변인 중 (1) 기관의 교육에 대한 지원이 전혀 없음, (2) 연구기관, (3) 연간 수강생 수, (4) 주민자치센터 요인이 전문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업무 변인 중 평가 업무의 상대적인 소요 시간 비율이 전문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ICT 활용역량이 전문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3. 평생교육사의 ICT 학습경험, 종사기관, 업무와 전문성 간의 관계에서 ICT 활용역량은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첫째, ICT 학습경험의 전문성에 대한 예측력에 ICT 활용역량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고자 위계적(hierarchical)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ICT 활용역량이 (1) 최근 1년 간 ICT 관련 교육 참여 여부의 전문성에 대한 예측력에 관해 완전매개, (2) 원격교육활용론 수강 여부의 전문성에 대한 예측력에 관하여 부분매개로 작용하였다. 둘째, 종사기관의 전문성에 대한 예측력에 ICT 활용역량이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ICT 활용역량이 (1) 기관의 교육 지원이 전혀 없는 경우, (2) 연구기관 (3) 연간 수강생 수의 전문성에 대한 예측력에 부분매개로, (4) 주민자치센터의 전문성에 대한 예측력에 ICT 활용역량이 완전매개로 작용하였다. 셋째, 업무의 전문성에 대한 예측력에 ICT 활용역량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본 결과 ICT 활용역량은 평가 업무의 전문성 예측에 대해 부분매개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ICT 활용역량과 전문성을 측정하기 위해 자가 평가 측정방법(self-rating method)을 활용하여 점수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실질적인 ICT 활용역량과 전문성을 측정하기 보다는 응답 대상자가 느끼는 바에 근거한 주관적인 답변일 가능성이 있다(이경아, 김경희, 2006). 이에 따라, 응답자가 유사한 수준의 ICT 활용역량과 전문성을 갖추었다 하더라도 본인 스스로가 본인의 역량을 어떻게 인지하느냐에 따라 응답 결과가 다를 수 있으며, 이러한 요인이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및 제한점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사의 ICT 학습경험, 종사기관, 업무에 따른 ICT 활용역량 및 전문성의 변인들의 차이만 살펴보았다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앞으로는 ICT 활용역량과 더불어 다양한 공통 역량과 전문성의 관계, 그리고 이를 예측하는 다양한 요인을 살펴보고,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역량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ICT 활용역량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ICT 학습경험, 종사기관, 업무와 ICT 활용역량의 관계를 통해 밝혀진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바탕으로 ICT 활용역량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에 관한 연구가 시행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종사기관별 전문성의 차이, 교육 지원 정도에 따른 전문성의 차이, ICT 활용역량에 따른 전문성의 차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전문성 향상을 위한 평생교육사 양성과 재훈련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연구 대상자의 ICT 활용역량과 전문성 측정에 관해 실제 관찰 결과를 포함한다면 자가 측정 방법에만 의존한 본 연구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As the society has been changing rapidly, learning consistently, called lifelong learning, through one’s whole life span with various forms has become critical to adapt such a chang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to develop people’s competencies, government and many related institutions have endeavoured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Due to enormous efforts and investments, frequencies of taking lifelong education courses have been rapidly increased as well as the scale of lifelong education market. However,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still remains in the question to support such a growth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mes. To solve this problem, it has raised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 lifelong education coordinators for professional lifelong practices in the field. For this reason, Lifelong Educator has been brought up since year 2000 via 20-credit training programme in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res, digital universities, universities, graduate schools, so on. Since they have played various roles in the area of planning, managing, developing, evaluating, counselling, teaching, in the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indicated by Lifelong Education Law, their professionalism has been a pivotal factor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Especially, as the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 has changed into ICT-friendly to support students learning, Lifelong Educator’s competency to adapt a change in the field of ICT has been critical. In spit of the necessity of ICT competency, Lifelong Educators’ training curriculum does not meet needs and change of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Moreover, Lifelong Educators’ICT competency has been rarely attempted to discuss by overlooking the importance of ICT competency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5).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ors’ICT competency to enhance professionalism with relevant variables such as ICT learning experiences,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and task experience. According to these purpos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the followings: 1. Do ICT learning experiences,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task experiences predict Lifelong Educators’ ICT competency? 2. Do ICT learning experiences,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task experiencespredict Lifelong Educators’ professionalism? 3. Does ICT competency act as an intermediary variable between ICT learning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task experience, and professionalism? In order to test these research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by 498 Lifelong Educators via online survey platform, email, and facsimile. The survey was consisted of six sections: (1) general characteristics, (2) ICT learning experiences, (3)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s, (4) task experiences, (5) ICT competency, and (6) professionalism. As a result of survey, there were 159 respondents out of 498 Lifelong Educators; the rate of returned survey was 31.9%. Then, survey responses which include insincere answer(s), blanks(s), and which are from the respondents not working at the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 were excluded for the proper research analysis. Finally, 133 responses out of 159 were used for this research.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thods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the case that the variable is a nominal scale, the variable was converted into dummy variable for the regression analysis.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out among ICT learning experiences,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task experiences, ICT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1) Lifelong Educators who took the course Distance Education, or who participated in ICT seminar within the latest year tend to have both higher ICT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scores. Furthermore, Lifelong Educators who took the course related to ICT tend to have higher ICT competency. On the other hand, Lifelong Educators who earned certificate, related to IC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neither ICT competency nor professionalism score. (2) Lifelong Educators, who work for larger number of annual registered students, tend to have both higher ICT competency and higher professionalism scores. (3) Lifelong Educators, who spend relatively longer time in evaluation tasks, tend to have both higher ICT competency and higher professionalism scores. Second, the difference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ICT competency were analyzed via one way ANOVA. (1)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ut between type of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 and ICT competency score as well as between type of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 and professionalism score. Via post-hoc tests, it was verified that public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 corporate education centre, research institute, distance education centr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 lifelong education centre, and civil education cent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ICT competency score. However, none of organiza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on professionalism via post-hoc tests. (2) Types of organizational support for Lifelong Educators’ education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ICT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scores. Post-hoc tests verified that the organizations which supports passively and active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gainst the organization rarely supports. Third, the predictors of ICT competency were found out. (1) Among of ICT learning experience variables, participating seminar related ICT within a latest year, and taking course related to IC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ICT competency. (2) Among of types of organisations, civil education centre, distance education centr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 community centre, and public education institut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ICT competency. Also, number of annual registered students and lack of educational support of organisa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ICT competency. (3) Portion of evaluation task was also a significant predictor of ICT competency. Fourth, the predictors of professionalism were also found out. (1) Among of ICT learning experience variables, participating seminar related ICT within a latest year and taking distance education course werepredictors of professionalism. (2) Also, lack of organizational support, research institute, number of annual registered students, and community centre were predictors of professionalism. (3) ICT competency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professionalism. Fifth, it wasfound out that ICT competency acted as intermediary variable between some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professionalism. (1) ICT competency acted as intermediary variables between some independent variables and professionalism: participating ICT seminar within a latest year, and taking distance education course, These findings support the notion that significant Lifelong Educators’ICT education experiences,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and task experiences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ICT competency. Also, ICT education experiences,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task experiences, and ICT competency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professionalism. Although this research attempted to cover the issues related Lifelong Educators’ ICT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it showed somewhat limitations. As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hrough self-rating method, ICT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scores would potentially reflect subjectivity of Lifelong Educators. Since the respondents answered on the survey subjectively, how he/she perceived his/her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might affect on his/her score. Basis on the result of this study and limitation discussed above, further researche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as this research has only investigated variables, ICT learning experiences,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task experiences, and further research needs to investigate other variables and other core competencies of Lifelong Educators to discuss professionalism. Second, basis on the variables found out through this research, the specific strategies to enhance ICT competency need to be discussed. Third, also further researches need to discuss specific strategies such as re-training and reward programmes to enhance professionalism. Fourth, it would be more meaningful research if qualitative behavioural observation research is added to make up the weak point of self-rating method surve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9 A. 평생교육의 변화 = 9 1. 평생교육과 패러다임 전환 = 9 2. 평생교육을 위한 ICT 활용 = 12 B. 평생교육사의 육성 = 16 1. 평생교육사의 개념과 역할 = 16 2. 평생교육사 양성 프로그램 = 23 3. 평생교육사의 ICT 활용 = 30 C. 관련 선행연구 = 35 1. 평생교육 분야와 담당자의 ICT 활용 = 35 2. 평생교육사 양성 프로그램 효과와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41 Ⅲ. 연구방법 = 46 A. 연구대상 = 46 B. 연구도구 = 47 C. 연구설계 = 51 D. 연구절차 = 52 Ⅳ. 연구결과 = 54 A. 연구대상자의 특성 = 54 B. 변인 간 관계 분석 = 61 C. ICT 학습경험, 종사기관, 업무, ICT 활용역량의 관계 검증 = 67 D. ICT 학습경험, 종사기관, 업무, ICT 활용역량, 전문성의 관계 검증 = 71 E. 전문성에 대한 ICT 활용역량의 매개효과 검증 = 75 Ⅴ. 결론 및 제언 = 81 A. 결론 및 논의 = 81 B.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87 참고문헌 = 89 부록 = 97 ABSTRACT =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96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71-
dc.title평생교육사의 ICT 학습경험, 종사기관, 업무와 ICT 활용역량, 전문성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Educators' ICT Learning Experiences,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and Task Experiences, and ICT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dc.creator.othernameCho, Hyun-Ji-
dc.format.pagexvi, 11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