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7 Download: 0

캐나다 거주 한인 어머니의 부모신념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Title
캐나다 거주 한인 어머니의 부모신념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lief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of Korean-Canadian Family living in Korean Community Located in Toronto, Canada
Authors
김민정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 of maternal parenting beliefs and social competence of the children of Korean-Canadian family living in Korean community located in Toronto, Canada. Additionally, it was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beliefs and the child's social competence in minority families by the immigration of the family and the length of stay in Canada. The research questions for investigating the research objectives were as follows: 1. What are the parenting beliefs of Korean-Canadian mothers living in Canada? 1-1. What are the parenting beliefs of Korean-Canadian mothers by family's immigration? 1-2. What are the parenting beliefs of Korean-Canadian mothers by the length of family's stay in Canada? 2. What are the child's social competence of Korean-Canadian family in Canada? 2-1. What are the child's social competence of Korean-Canadian family in Canada related to family's immigration? 2-2. What are the child's social competence of Korean-Canadian family in Canada related to the length of family's stay in Canada? 3. What a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ing belief of Korean-Canadian mother and their child's social competence? The target population of the study was the 187 Korean-Canadian mothers who were rearing their children aged between 2 and 5 years old. The instruments measuring research variables were P-BALFS (Sheinberg, 2003) and Iowa Social Competency Scale: Preschool form (Pease, Clark, & Crase, 1979), and their Cronbach's Alpha in this study were 0.72 and 0.78 respectively. Statistical methods using for this study were descriptive analysis, Cronbach Alpha coefficients,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mong the sub-types of parenting beliefs of Korean-Canadian mothers, the most high ranked parenting beliefs were identified as child-centered beliefs, parent-centered beliefs, and cultural transformation beliefs in this ord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mother's parenting beliefs and immigration and the length of the family's stay in Canada by groups. Secondly, Among the sub-types of the child's social competence of Korean-Canadian mothers, the most high ranked social competence factors were identified as social activity, cooperation, affection toward their parents, sensitivity, and stability in this ord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immigration and the length of the family's stay in Canada by groups. Thirdly,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is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liefs and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 this study. That is, child-centered beliefs was related positively with social activity, cooperation, and the child's affection toward their parents. Parent centered beliefs were related positively with social activity and the child's affection toward their parents. Cultural-transformation beliefs were related positively with the child's sensitivity and stability. Three sub-types of Korean-Canadian mother's parenting beliefs in immigration family were related positively with the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also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se finding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parenting beliefs and the child's social competence in non-immigration family. Among the all types of the parenting beliefs of Korean-Canadian mother staying for less than 5 years in Canada, it was found that only child-centered beliefs had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relationships with the child's social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among the Korean-Canadian mothers staying for over than 5 years in Canada, all sub-types of the parenting beliefs had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relationships with the child's social competence.;본 연구의 목적은 다른 문화권인 캐나다 사회에서 소수민족으로서 살아가는 한국 어머니들이 자녀를 양육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부모신념을 가지고 있으며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에 있다. 또한 이민여부와 캐나다 거주기간에 따라 부모신념과 사회적 유능감은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부모신념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부모신념과 사회적 유능감 발달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1. 캐나다 거주 한인 어머니의 부모신념은 어떠한가? 1-1. 캐나다 거주 한인 어머니의 이민여부에 따른 부모신념은 어떠한가? 1-2. 캐나다 거주 한인 어머니의 거주기간에 따른 부모신념은 어떠한가? 2. 캐나다 거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어떠한가? 2-1. 캐나다 거주 한인 어머니의 이민여부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어떠한가? 2-2. 캐나다 거주 한인 어머니의 거주기간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어떠한가? 3. 캐나다 거주 한인 어머니의 부모신념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캐나다 토론토에 거주하고 있는 만 2세∼만 5세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한인 어머니 187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어머니의 부모신념을 알아보기 위해 Sheinberg(2003)의 P-BALFS 부모신념척도를 번안,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Pease, Clark과 Crase(1979)의 Iowa 사회적 능력 척도(Iowa Social Competency Scale: Preschool Form)를 번안, 수정하고 아동용(School Form)의 필요 문항을 발췌하여 재구성하여 신뢰도 검증을 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Cronbach α계수, t검정,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캐나다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 어머니들의 부모신념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부모신념 각 하위요인 중 아동중심신념, 부모중심신념, 문화변용신념 순으로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민여부와 거주기간에 따른 집단 간의 부모신념의 차이를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캐나다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각 하위요인 중 사회적 활동성, 협동성, 부모에 대한 애정, 과민성, 안정성 순으로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민여부와 거주기간에 따른 집단 간의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차이를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유아기 사회적 유능감과 부모신념은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부모신념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부모신념의 관계분석을 통하여 부모신념의 각 하위변인이 유아기 사회적 유능감 하위변인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아동중심신념은 사회적 활동성, 협동성, 부모에 대한 애정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중심신념은 사회적 활동성, 부모에 대한 애정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변용신념은 과민성, 안정성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민여부에 따른 부모신념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각 하위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산출하였다. 이민가정 어머니의 부모신념의 각 하위 변인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를 보면 모두 정적 상관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이민가정의 부모신념의 각 하위 변인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를 보면 모두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위 변인의 각 영역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나는 부분도 있었다. 거주기간에 따른 부모신념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각 하위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산출하였다. 거주 기간이 1~5년인 어머니들의 부모신념의 각 하위 변인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를 보면 아동중심신념만이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거주 기간이 6년 이상인 어머니들의 부모신념의 각 하위 변인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를 보면 모두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