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7 Download: 0

좋은 수업 사례에 나타난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쟁점 분석

Title
좋은 수업 사례에 나타난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쟁점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ssues of Teachers' Curriculum Adaptation in Good Teaching Cases
Authors
이한영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능력이 강조되면서 교육과정 재구성의 실태 및 교사들의 재구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 등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교육과정 재구성의 실태를 재구성의 유형이나 우수한 재구성 사례, 재구성 절차 등으로 파악하려는 기존의 연구는 당위적이고 기술적인 차원의 지원 방안만을 제시하였다는 한계를 지닌다. 즉, 교육과정 재구성이라는 교사에 의한 공식적 교육과정의 변형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그와 동시에 연구에서 예시로 제시된 재구성 사례나 절차를 교사로 하여금 그대로 실천하도록 이야기하는 것이 되기 쉬우며, 수업이 이루어지는 각각의 맥락에 따라 그 맥락에 가장 적합한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가 존재한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나는 교육과정 재구성의 구체적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해오던 기존의 접근을 바꿀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수업한다는 것은 교사가 만나는 학습자와 그가 처한 상황에 적합하게 수업 내용을 결정하고 수업 방법 및 수업 자료를 선택하는 등 매순간 교사들이 판단하고 결정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교육과정 재구성을 하면서 교사들이 어떤 문제들을 고민하고 있는지 문헌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고, 실제 현장에서 이러한 쟁점을 교사들이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지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과정에서 제기되는 쟁점은 무엇인가? 둘째, 각 쟁점에 대해 교사들은 실제로 어떻게 대응하는가? 셋째, 각 쟁점에 대해 교사들이 대응하는 사례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먼저 교육과정 재구성은 ‘교사’가 ‘교과’와 ‘학습자’의 유의미한 만남을 돕는 작업이라는 점에서 ‘학습자’, ‘교과’, ‘교사’의 세 영역에서 구체적인 쟁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는 학습자가 지닌 능력과 적성의 다양한 개인차에 반응해야 하나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문서에서 처방한 권장안은 학습자 개개인의 다양성을 다루기에 역부족이다. 학습자의 ‘다양성’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고민할 수밖에 없다. 둘째,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과는 외부에서 부과된 것으로 학생들이 처음부터 교과 내용에 흥미를 가지고 학습하기란 쉽지 않기 때문에 ‘실용성’을 고민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고민은 수업 내용을 잘 드러내는 소재를 학생들의 생활 경험에서 가지고 오는 재구성, 학생들이 직접 체험하여 습득하게 하는 활동 중심의 재구성, 생활 경험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중심으로 교과 통합 형태의 재구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셋째, 이러한 쟁점을 다루는 방식에 있어서 교사들에게는 이전과는 다른 자율성이 주어졌다. 즉, 국가에서 고시한 교육과정만을 가지고 다양한 교육과정을 만들어간다는 큰 원칙만 있을 뿐,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지원은 충분하지 않고 교사의 ‘자율성’에만 맡겨졌다. 이상에서 도출된 다양성, 실용성, 자율성의 세 가지 쟁점을 실제 교사들이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실시한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Ⅱ):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연구’에서 좋은 수업으로 선정된 7개 교과 43개 수업 사례를 2차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다양성은 학업 성취 능력의 다양성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는가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개인차에 효율적으로 반응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를 하고 수준별 수업을 하였지만, 수준별로 나뉘어진 집단 속에서도 학생들의 다양성이나 학습자의 동기 문제로 인해 여전히 고민하고 있었다. 이에 오랜 고민 끝에 협동 학습으로 전환하거나 협동학습을 병행하여 학생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다양성의 문제를 자연스럽게 다루려고 하는 사례도 있었다. 둘째, 수업 내용을 잘 드러내는 소재를 학생들의 생활 경험에서 가지고 오는 재구성 사례와 학생들이 직접 체험하면서 학습할 수 있는 활동 중심의 재구성 사례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나 이 경우에는 실생활 속에서 소재만 빌려오거나 전체 수업 내용과는 무관한 내용을 도입부에 제시하는 수준에서 그치거나 교과 내용과 관련 없는 활동 위주의 수업 사례도 적지 않았다. 한편, 일상 생활의 문제를 중심으로 교과를 통합하는 형태의 재구성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셋째, 교사들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문서, 지도서, 교과서만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지 않았다. 오히려 자율적으로 형성된 다양한 교사 학습공동체에서 개발한 자료나 함께 공유하고 있는 자료들을 바탕으로 하여 자신이 만나게 되는 상황에 맞게 재구성하는 사례가 많았다. 이 때 이용되는 자료는 교사들이 문제의식을 가지고 개발에 직접 참여한 자료였기에 시간이 지나고 경험이 많아질수록 자료의 내용 또한 풍부해졌고, 어떠한 수업 맥락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교육과정 재구성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교육과정 재구성이 7차 교육과정이 의도한 가치를 구현하기란 쉽지 않다. 다양성을 존중하고, 실용성을 존중한다는 의도를 가지고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수업하였지만, 제한적인 의미의 다양성, 잘못된 방향의 실천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교육과정 재구성을 함에 있어 학습자와 교과를 깊이 이해하려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다양한 자료를 개발하고 공유해야 한다. 이 때 자료는 고민 없이 모방할 수 있는 성격의 것이라기보다는 교사가 재구성을 하면서 하게 되는 고민을 돕는 자료여야 할 것이다. 특히, 교육과정 재구성 자료의 개발과 공유에 있어 교사 학습 공동체의 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교사 학습 공동체에 대한 지원이 요구된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issues when teachers organize and implement their own class curriculum and how they deal with these issu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s of issues are there during teachers' curriculum adaptation? Second, how do teachers deal with these issues? Third, what are the implications for curriculum adaptation? To answe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 analyzed the preceding research literature on curriculum adaptation. First, teachers have to deal with those differentiations of individual students such as ability, aptitude, needs, and interest. However, differentiated curriculum, which is prescribed on 7th national curriculum, is not enough to cover students' diversity. Naturally, teachers consider student 'diversity' through organizing and implementing their own class curriculum. Second, since subject matter is isolated from students, it is not easy for students to generate interest in subject matter. Therefore, teachers consider 'practicality' of subject matter in organizing and implementing their own class curriculum. Third, broader autonomy of individual schools and teachers in organizing and implementing their own curriculum is provided. However, there is not sufficient support to organize and implement independent curriculum. To examine how teachers deal with these issues, I reanalyzed 43 teaching cases which were chosen as good teaching cas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n Korea(II): A Qualitative Case Study on Good Teaching in Secondary Schools". The results of reanalyzing are as follow. First, teachers mainly considered students' academic ability level through organizing and implementing independent curriculum in most cases. In some cases, teachers try level-differentiated teaching due to their expectations that it would solve problems caused by differences in students, but they still have trouble with students' differences in ability or motivation, even in the homogeneous ability grouping. So, there were some cases that tried to use collaborative learning as an alternative solution. Second, in most of those cases, the teachers used students' everyday experiences that have some relevance with subject matter, or they organize and implement class curriculum focused on students' activities. However, some of those everyday experiences and activities were unconnected with subject matter. Also, it was hard to find cases that tried to develop and use integrated curriculum. Third, teachers mainly used instructional materials, alternative textbooks and instructional manuals which were developed and shared in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rather than national curriculum, authorized instruction manuals or authorized textbooks when they organized and implemented their own class curriculum. These instructional materials were mainly developed by teachers and provided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context with which they were applied, along with giving opportunities for teacher learning. These research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teachers' curriculum adaptation. First, embodying intention of curriculum adaptation is not easy. In some cases, teachers organized class curriculum concerning students' diversity or practicality of subject matter, but the actual implementation aspects were limited or wrong. Teachers need to learn expert knowledge about students and subject matter. Second, various instruction materials, which are helpful for curriculum adaptation, have to be developed and shared. Also, since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for developing and sharing instructional materials are so important, more support for them is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