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지숙-
dc.creator김지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4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0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2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025-
dc.description.abstractThe developments of various computer based technologies and communications in the informationized society where knowledge and information has been representative resources have changed the paradigm and behavior pattern of human life, and even the communication action. Which has been achieved by the storing and rapid processing of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and by the sharing of information beyond time and space. In particular, the advances of technology have changed the tearcher's role from simple information provider to guide, collaborator, and facilitator. In these new role of teachers,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becomes useful tool which is able to provide the cost- effective communication for teachers. In spite of the infinite potentiality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the amount of tearchers' usage of the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and their instructional gratifications depend heavily on us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ir environment, and perceived attributes for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However, most existing researches were focused on analysis of actual state or effect of the instructional course using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and in relation to the use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they were limited to the fractional comparitive analysis of the affective factors. Therefore, in-depth research is necessary for complementing these researches. Now, the Korean Government authorities have encouraged the usage of teachers'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with the construction of super highway communication network, establishment of research center, increment of teachers' training, and so on. Considered these conditions, systematic and practical research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research information for promotion of the amount of usage and improvement of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by surveying and analyzing of the factors to affect the amount of teachers' usage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and their instructional gratific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ariables to affect on the the amount of usage and the instructional gratifications among all the 10 variables- location of device, memory of computer hardware, access, cost, time, support and assistance, training, relative advantage, complexity, and electronic interactivity.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to select the variables, and the variables consisted of 7 environmental conditions of usage and 3 recognized characteristics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This study includes the following contents. First, what may predict the amount of teacher's usage among the variables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location of device, memory of computer hardware, access, cost, time, support and assistance, training, relative advantage, complexity, and electronic interactivity ? Second, what may predict teachers' instructional gratifications among the variables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location of device, memory of computer hardware, access, cost, time, support and assistance, training, complexity, and electronic interactivity ? The target population of this study is all the 165 teachers who use Edunet or domestic commercial networks- Nownuri, Unitel, Chollian, Hitel. For this survey, two sampling method were used, (1) sampling method to search for the network ID of teachers (2) sampling method to use the periodical meeting of lovers' society of teachers. Total 8 days were required for this survey from October 8, 1997 to October 15. And 87 out of 165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aire (52.7%). But 5 out of 87 responses are excluded because their data files are not readable, and only the 82 responses are analyzed. This study used the questionaire which was constructed based on Anderson and Harris(1997)'s precedent research and modified by variable related literature review. The questionaire has all the 49 items which are consisted of 8 items about the general description of respondents, 28 items on the 10 variables, 3 items about the amount of usage, and 10 items about the instructional gratifications. The content validity of responded questionaire was checked by one Educational Technology professor and one related expert. Reliablity level of preliminary survey results(total 29 person) targeted to the teachers using Edunet analyzed by the Cronbach's Alpha, and it showed high value ranging from .7433 to .9099. Also, the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the questionaire reflect the concept of this survey well, a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all the 36 items were clarified and unsutible 2 items were excluded. Collected final data were analyzed to frequency and percent ratio according to the item, and for analysis of predictor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mputer networks- Nownuri, Edunet, Unitel, Chollian, Hitel - in the recognized characteristics related 3 varibales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at the 5% significance level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mputer networks was not exist in the relative advantage(Sig F = .0733), complexity(Sig F = .2468), electronic interactivity(Sig F = .1048)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The predictors of the amount of teachers' usage and the instructional gratifications for the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dictors of the amount of teachers' usage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among the related variables of the usage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relative advantage(Sig T = .0000), memory of compute hardware(Sig T = .0059), complexity(Sig T = .0095), and time(Sig T = ,0486) are significant predictors. But, electronic interactivity(Sig T = .5501), support and assistance(Sig T = .5593), cost(Sig T = .6497), location of device(Sig T = .7262), training(Sig T = .8097), and access(Sig T = .8682) are not significant predictors. Second, the predictors of teachers' instructional gratifications for the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mong the related variables of the usage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complexity(Sig T = .0018) and electronic interactivity(Sig T = .02 16) are significant predictors. But, cost(Sig T = .0518), memory of computer hardware(Sig T = .1428), time(Sig T = .1460), training(Sig T = .2344), location of device(Sig T = .3847), access(Sig T = .4405), and support and assistance(Sig T = ,733 1) are not significant predicto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First, the research design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based on linear model has limits in the analysis of interactiv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technolog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communication flows between users or groups, and these researches should be performed by the analysis of communication networks than by a fractional survey research. Second, this survey research is a very useful method in the study of correlation or predictor between various variables, but is not in the understanding of individual's motive and meaning. Hence, in the following studies, qualitative researches for this items should be included. Third, in relation to the complexity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which affects amount of usage and instructional gratifications, immediate and sustained assistances are necessary to improve teachers' understanding for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and to solve their facing problems, and phase trainings suitable to users' ability and level are also necessary for their learning the more useful way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s usage in their environment. Forth, in relation to the electronic interactivity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which affects instructional gratifications, various training programs for the increase of social contact between teacheres, and concrete strategies for the promotion of communication are necessary. Therefore, assistance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system for teachers' collaboration, training of various communication techniques, and role of the able moderator who promotes discussion are emphasized.;지식과 정보가 대표적인 자원이 되는 정보화사회에서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각종 테크놀로지와 통신분야의 발달은 거대한 정보의 저장과 신속한 처리, 그리고 시공간을 초월한 정보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여 인류생활의 패러다임과 행동양식, 커뮤니케이션 행위까지도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테크놀로지의 발달은 교사들의 역할을 단순한 정보제공자의 역할에서 안내자, 협력자, 촉진자의 역할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새로운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지원으로 혁신적인 방안이 마련되고 각종 테크놀로지가 이용되는 가운데 컴퓨터 매개 통신은 교사에게 비용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 유용한 도구가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컴퓨터 매개 통신의 무한한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컴퓨터 매개 통신이 소개되어 그 이점을 인식한 교사가 이를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혹은 제반여건에 따라, 그리고 이용자가 인지하는 컴퓨터 매개 통신의 특성에 따라 교사의 컴퓨터 매개 통신 이용량과 만족감은 크게 달라 질 수 있다. 이와 연관된 문제에 있어서 기존의 연구들은 컴퓨터 매개 통신을 이용한 교육과정의 활용실태와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컴퓨터 매개 통신의 이용에 관련되어서도 이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단편적으로 비교·분석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보완하기 위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특히, 우리나라는 초고속통신망 구축과 관련 센터의 설립, 교사 연수의 확대 등과 같은 지원을 계속 마련하여 교사의 컴퓨터 활용을 촉진하고 있는 상황에 있는바, 이와 관련된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연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컴퓨터 매개 통신을 이용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컴퓨터 매개 통신 "이용량"과 "교수적 만족도"에 영향은 주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교사의 컴퓨터 매개 통신 이용을 촉진시키고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자료를 제공하는데 근본적인 목적이 있다. 위의 목적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매개 통신의 이용과 관련된 10개의 요인(장비의 위치, 컴퓨터 하드웨어 메모리, 접속, 비용, 시간, 지원과 도움, 훈련, 상대적 이점, 복잡성, 사회성)을 선정하여 이용량과 교수적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용과 관련된 요인을 선정하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와 문헌이 검토되었으며 10개의 요인은 7개의 컴퓨터 매개 통신 이용 환경 조건과 3개의 컴퓨터 매개 통신의 인지된 특성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터 매개 통신의 이용과 관련된 요인들(장비의 위치, 컴퓨터 하드웨어 메모리, 접속, 비용, 시간, 지원과 도움, 훈련, 상대적 이점, 복잡성, 사회성) 중 교사의 컴퓨터 매개 통신 "이용량"을 예측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컴퓨터 매개 통신의 이용과 관련된 요인들(장비의 위치, 컴퓨터 하드웨어 메모리, 접속, 비용, 시간, 지원과 도움, 훈련, 복잡성, 사회성)중 교사의 컴퓨터 매개 통신에 대한 "교수적 만족도"를 예측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컴퓨터 매개 통신을 이용하는 교사로서, 표집이 가능한 에듀넷 및 4개 국내 상용통신망(나우누리, 유니텔, 천리안, 하이텔)을 이용하는 16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조사를 위한 대상의 표집은 (1) 통신망에서 교사의 ID를 검색하여 표집하는 방법과 (2) 교사동호회의 정기모임을 통해 표집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조사는 1997년 10월 8일부터 10월 15일까지 8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충 87개가 회수되어 52.7%의 회수율을 보였다. 또한 회수된 87개의 설문 중 설문화일이 깨져 응답내용을 알아볼 수 없는 5개 설문을 제외한 82개의 설문자료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컴퓨터 매개 통신 이용과 만족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작성하여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선행연구인 Anderson과 Harris(1997)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기초로 작성된 후 요인에 관련된 문헌의 검토를 통해 수정되었다. 설문지의 세부적인 구성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에 대한 8개 항목, 10개의 요인에 대한 28개 항목과 이용량에 대한 3개 항목, 그리고 교수적 만족도에 대한 10개 항목으로 총 49개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작성된 설문지는 교육공학 교수 1인, 관련 전문가 1인에 의해 내용 타당도를 검토받았으며 에듀넷을 이용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예비조사(총 29명)를 통해 Cronbach's Alpha를 이용하여 신뢰도를 측정한 결과,.7433부터 .9099까지의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또한 설문지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그리고 설문지의 항목들 중에서 부적합한 항목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한 결과, 본 연구에서 의도했던 개념으로 충 36개 항목이 분류되었으며 부적합한 항목 2개(상대적 이점에서 1개 항목, 접속에서 1개 항목)는 자료분석에서 제외하여 처리하였다. 회수된 최종자료는 항목에 따라 빈도수와 백분율로 분석되었고 예측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으며 연구결과 분석시 컴퓨터 매개 통신의 인지된 특성에 관련된 3개 요인에 대한 대상자들의 의견이 이용하고 있는 컴퓨터 매개 통신별(나우누리, 에듀넷, 유니텔, 천리안, 하이텔)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보았으나, 분석결과 5% 유의수준에서 상대적 이점(Sig F=.0733), 복잡성(Sig F=.2468), 사회성(Sig F=.1048)에 있어서 컴퓨터 매개 통신별 대상자들 간의 의견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컴퓨터 매개 통신 이용량과 교수적 만족도의 예측요인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컴퓨터 매개 통신의 이용과 관련된 요인들 중 교사의 컴퓨터 매개 통신 이용량의 예측요인을 분석한 결과, 상대적 이점(Sig T=.0000), 컴퓨터 하드웨어 메모리(Sig T=.0059), 복잡성(Sig T=.0095), 시간(Sig T=.0486)은 교사의 컴퓨터 매개 통신 이용량에 대한 유의미한 예측요인이었다. 반면, 사회성(Sig T=.5501), 지원과 도움(Sig T=.5593), 비용(Sig T=.6497), 장비의 위치(Sig T=.7262), 훈련(Sig T=.8097), 그리고 접속(Sig T=.8682)은 유의미한 예측요인이 아니었다. 둘째, 컴퓨터 매개 통신의 이용과 관련된 요인들 중 교사의 컴퓨터 매개 통신에 대한 교수적 만족도의 예측요인을 분석한 결과, 복잡성(Sig T=.0018), 사회성(Sig T=.0216)은 교사의 컴퓨터 매개 통신에 대한 교수적 만족도에 대한 유의미한 예측요인이었다. 반면, 비용(Sig T=.O5l8), 컴퓨터 하드웨어 메모리(Sig T=.1428), 시간(Sig T=.1460), 훈련(Sig T=.2344), 장비의 위치(Sig T=.3847), 접속(Sig T=.4405), 지원과 도움(Sig T=.7331)은 유의미한 예측 요인이 아니었다. 이상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컴퓨터 매개 통신은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로서, 본 연구와 같이 선형적인 모델에 기초한 연구설계는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의 상호작용적인 특성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대상자와 대상자간 혹은 집단간의 커뮤니케이션의 흐름을 조사,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는 단편적인 조사연구보다는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분석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은 다양한 요인간의 상관관계나 예측요인을 밝히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이나 각 개인의 숨은 동기나 의미를 알아낼 수 없으므로 결과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매우 미흡하였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충하기 위한 질적 연구가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이용량과 교수적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컴퓨터 매개 통신의 복잡성과 관련하여 교사들의 컴퓨터 매개 통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당면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도움과 이용자들이 주어진 환경 속에서 좀더 유용하게 컴퓨터 매개 통신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하기 위한 능력과 수준에 맞는 단계별 훈련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넷째, 본 연구의 교수적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컴퓨터 매개 통신의 사회성과 관련하여 교사간의 사회적 접촉을 늘릴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계획되고 커뮤니케이션을 촉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즉, 교사간의 공동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컴퓨터 매개 통신 시스템의 지원과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테크닉에 대한 훈련, 그리고 토론을 촉진시키기 위한 유능한 중재자의 역할이 강조되는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4 D.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컴퓨터 매개 통신 = 7 1. 컴퓨터 매개 통신의 개념 = 7 2. 컴퓨터 매개 통신 시스템의 형태 = 8 3. 컴퓨터 매개 통신의 특성과 기능 = 10 B. 컴퓨터 매개 통신의 이용과 만족 = 16 1. 컴퓨터 매개 통신의 이용 = 16 2. 컴퓨터 매개 통신의 이용에 따른 만족 = 20 C. 컴퓨터 매개 통신의 이용과 관련된 요인 = 22 D. 관련 선행 연구 분석 = 28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32 A. 연구설계 = 32 B. 연구문제 = 34 C. 연구대상 = 34 D. 연구도구 = 36 E. 연구의 절차 = 40 F. 자료분석 = 42 G. 외적타당도에 대한 분석 = 43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44 A. 연구결과 = 44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 = 44 2. 교사의 컹퓨터 매개 통신 이용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조사결과 = 49 3. 교사의 컴퓨터 매개 통신 이용량에 관한 조사결과 = 58 4. 교사의 컴퓨터 매개 통신 교수적 만족도에 관한 조사결과 = 61 5 교사의 컴퓨터 매개 통신 이용량과 교수적 만족도의 예측요인 분석 결과 = 64 B. 논의 = 72 Ⅴ. 결론 및 제언 = 77 참고문헌 = 80 부록 = 89 ABSTRACT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679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교사-
dc.subject컴퓨터 매개 통신-
dc.subject통신 이용량-
dc.subject교수적 만족도-
dc.title교사의 컴퓨터 매개 통신 이용량과 교수적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조사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Amount of Teacher's Usage and Instructional Gratifications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dc.format.pagexii, 102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