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고은님-
dc.creator고은님-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2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0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1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01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이야기 이해도와 이야기 구성력과 관계를 살펴보고, 이야기 구성 검사의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자발적인 이야기 구성력과 이야기 이해도 및 성별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1-1. 유아의 자발적인 이야기 구성력에 있어서 이야기 이해도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1-2. 유아의 자발적인 이야기 구성력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유도되어진 이야기 구성력과 이야기 이해도 및 성별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유아의 유도되어진 이야기 구성력에 있어서 이야기 이해도에 따른 차이는 있는가? 2-2. 유아의 유도되어진 이야기 구성력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C 유치원과 H 유치원의 만 4세아, 남아 14명, 여아 16명으로, 총 30명이었다. 5주간에 걸친 연구기간동안 예비검사, 실내자유놀이 참여, 본 검사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이야기 이해도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Morrow(1984)의 이론에 의해 만들어지고 Rand에 의해 사용되어진 '이야기 이해도 검사 도구' 내의 이야기 구조 이해에 관한 질문에 바탕을 두고 본 연구자가 작성·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야기 구성력을 검사하기 위해서 Kraayenoord와 Paris(1996)가 제작·사용한 'Story Construction from A Picture Book'을 번역·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이 검사지는 1단계(자발적인 의미구성)와 2단계(유도되어진 이해)로 나누어서 다음과 같은 6가지 항목-①초기 탐색, ②그림에 대한 언급, ③정교화와 개인적 연관, ④메타언어, ⑤전략수정, ⑥주제/교훈-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검사용으로 사용된 동화책을 연구 대상 유아들이 사전에 경험하지 않은 것으로, 이야기 이해도 검사용으로는 「사자와 할아버지」(사계절, 1997)가, 이야기 구성력 검사용으로는 「왜?」(현암사, 1997)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들은 집단간 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통한 이야기 구성 검사의 1단계, 자발적인 의미구성에서 이야기 이해도의 상위 집단의 유아들과, 하위 집단의 유아들간에 그림에 대한 언급, 전략수정과 총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그림책을 통한 이야기 구성 검사의 1단계의 정교화와 개인적 연관, 전략수정과 총점에서 여아들이 남아들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을 통한 이야기 구성 검사의 2단계, 유도되어진 이해에서 이야기 이해도의 상위 집단의 유아들과, 하위 집단의 유아들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별간의 유의한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story construction from a picture book and, story comprehension, to present story construction test. For the above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 1.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children's Spontaneous story construction and story comprehension and sex? 1-1.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Spontaneous story construction in accordance with story comprehension? 1-2.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Spontaneous story construction in accordance with sex? 2.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children's Prompted story construction and story comprehension and sex? 2-1.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Prompted story construction in accordance with story Comprehension? 2-2.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Prompted story construction in accordance with sex?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irty(l4 boys and 16 girls), four-year-old children from C and H kindergarten in Seoul, Corea. For 5 weeks, the study was proceeded in order to pilot-test, paticipation of activity-time, main-test. Story comprehension was examined the test which made and completed. It. was based on Rand's story comprehension test(story structure comprehension), made to Morrow's theory. For the test of story construction, 'story construction from a picture book' which was made by Kraayenoord & Paris, was modified, used. It was divided into phase Ⅰ (Spontaneous meaning construction) and Ⅱ (Prompted comprehension). They consisted of 6 items-①Initial examination, ②Comments about pictures, ③Elaboration and personal involvement, ④Metalinguistics, ⑤Revision strategies, ⑥Theme/Moral. 「Lion and Grandpa」 was used for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test and new 「Why ?」, a wordless picture book, was used. They were for subject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 1. There was the difference in phase Ⅰ (Comments about pictures, Revision strategies, total score) of story construction from a picture book test between high-level one and, low-level group of story comprehension. And, There was the difference in phase Ⅰ (Elaboration and personal involvement, Revision strategies, total score) of story construction from a picture book test according to sex, girl's scores were higher than boy's. 2. There was no difference in phase Ⅱ of story construction from a picture book test between high-level one and, low-level group of story comprehension.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hase Ⅱ of story construction from a picture book test between sex.-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이야기 이해 = 5 B. 이야기 구성 = 9 C. 관련연구 = 19 Ⅲ. 연구 방법 = 24 A. 연구 대상 = 24 B. 연구 도구 = 25 C. 연구절차 = 30 D. 자료분석 방법 = 33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35 A. 유아의 이야기 구성의 1단계, 자발적인 이야기 구성력과 성별 및 이야기 이해도와의 관계 = 35 B. 유아의 이야기 구성의 2단계, 유도되어진 이야기 구성력과 성별 및 이야기 이해도와의 관계 = 39 Ⅴ. 논의 및 결론 = 43 A. 논의 = 43 B. 결론 및 제언 = 45 참고문헌 = 48 부록 = 55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241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아-
dc.subject이야기-
dc.subject구성력-
dc.subject관계-
dc.title유아의 이야기 이해도와 이야기 구성력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and story construction-
dc.format.pagevii, 74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