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문정-
dc.creator이문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1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1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0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17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arental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literacy development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written language awareness and parental perceptions of young children's emergent literacy. For this purpose, these questions have been set up in this study: 1. How are parental perceptions of home literacy environment? 2. How are parental perceptions of the factors of early literacy development? 3. How are parental perceptions of adult roles in promoting early literacy development? 4. Are ther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written language awareness and parental perceptions of home literacy environment? The subjects were 81 children aged 4 years old from 1 public and 4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their parents. Children's home background were various. Questionnaire were given out to the parents and the children were tested of written language awareness.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percentage, chi-square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as follows : 1. On the whole, parental perceptions of home literacy environment were high. Simple literacy artifacts, such as book, pencils, and paper were as the most important kinds of materials to have in home for developing literacy. Natural interactions with books were viewed as the most important kind of activity. Though both were perceived important, children's participation in the activity was more important than seeing adults doing the literacy activity. 2. Parents tended to see the child's own aptitude or disposition towards literacy learning and the formal literacy instructions as the most central feature of early literacy development. 3. Regarding what parents can do to help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parents focused on books they could read to children and formal literacy instruction. 4.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written language awareness and parental perceptions of importance of home literacy environment. Especiall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etalinguistic awareness and parental perceptions.;본 연구의 목적을 유아의 문해 발달을 위한 가정 환경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유아의 문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그리고 유아의 문해 발달을 위한 성인의 역할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그러한 부모 인식의 정도에 따라 유아의 문어 인식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가정의 문해 환경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1-a. 유아가 가정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는 문해를 위한 자료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1-b. 문해 발달을 위해 장려할 수 있는 유아의 활동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1-c. 유아의 문해발달을 위한 성인의 모델 행동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아의 문해 발달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2-a. 유아의 문해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2-b. 가정의 문해 환경에 대한 부모 인식에 따라 유아의 문해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문해 발달을 위한 부모 역할에 대한 부모 인식은 어떠한가? 3-a. 유아의 문해 발달을 도울 수 있는 부모의 역할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3-b. 가정의 문해 환경에 대한 부모 인식에 따라 유아의 문해 발달을 위한 부모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4. 가정의 문해 환경에 대한 부모인식에 따라 유아의 문어 인식도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에 위치한 5개의 공·사립 유치원에 다니는 가정 배경이 다양한 만 4세 유아 81명이었다. 부모에게는 질문지를 배부하여 유아의 문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고 유아에게 Evans와 Taylor가 개발한 도구를 기초로 수정한 문어 인식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a. 부모들의 「문해를 위한 자료」, 「문해를 위한 유아의 활동」, 「문해를 위한 성인 모델 행동」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문해 자료에서는 책이나 연필, 종이와 같은 간단한 문해자료가 유아의 문해발달을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1-b. 문해를 위한 유아 활동에 대해서 부모들은 책과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1-c. 문해를 위한 성인 모델 행동에서도 부모들은 책이나 신문, 잡지를 읽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성인의 모델 행동보다는 유아의 활동을 더 중요시 하였다. 2-a. 유아의 문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는 유아 자신의 흥미나 발달적 행동 특징, 그리고 형식적인 읽기, 쓰기 교수를 가장 중요하게 지각하였다. 2-b. 위와 같은 현상은 가정의 문해 환경에 대한 부모 인식이 높은「상」집단과 「하」집단에서 모두 나타났지만 「상」집단이 「하」집단 보다 다양한 요인에 대해서 언급을 하였다. 3-a. 유아의 분해 발달을 위한 부모의 역할로는 책을 많이 읽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지적하였고 다음으로 형식적인 읽기, 쓰기 교육을 따로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하였다. 3-b. 위와 같은 현상은 가정의 문해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은 「상」집단과 「하」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지만 「상」집단에서는 성인의 상호작용이나 모델 행동, 아동의 흥미와 발달 촉진 등 부모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더 다양하고 강하게 나타났다. 4. 가정의 문해 환경에 대한 부모 인식이 높은 「상」집단이 「하」집단보다 유아의 문어 인식도 점수가 높았고 그 중에서 특히 메타 언어적인 인식이 높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목적 및 문제 = 5 Ⅱ. 이론적배경 = 7 A. 유아의 문해 발달에 대한 관점의 변화 = 7 B. 유아의 문어 인식의 발달 = 11 C. 풍부한 문해 환경으로서의 가정 환경 = 16 D. 관련 연구 = 22 Ⅲ. 연구 방법 = 26 A. 연구 대상 = 26 B. 연구 도구 = 27 C. 연구 절차 = 30 D. 자료 분석 = 31 Ⅳ. 결과 및 해석 = 33 A. 가정의 문해 환경에 대한 부모의 인식 = 33 B. 유아의 문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부모 인식 = 39 C. 유아의 문해 발달을 위한 부모의 역할에 대한 인식 = 44 D. 집단에 따른 유아의 문어 인식도의 차이 = 50 Ⅴ. 논의 및 결론 = 52 A. 논의 = 52 B. 결론 = 55 참고문헌 = 57 부록 = 62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074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문해환경-
dc.title문해 환경과 발달에 대한 부모 인식과 유아의 문해 인식도-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4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