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秀美-
dc.creator李秀美-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4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4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9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482-
dc.description.abstractBecause of limitations within schooling itself and social structure, the ideology about th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by the existing schooling does not realize the Ultimate object that brings equality to all men. Today, ideology about th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has intended the equality of results as well as the mer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Therefore, comparing with the sociological paradigms of funcional theory & conflicting theory, this study has considered the causes that have not realized by the existing schooling that has regarded as the only educational agency. And this study has considered two sociological views of the significances and perspectives that social education having been on the rise as the new interest field in th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has as the educational alternatives for the equality of opportunity. Finally, the study ha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ducation in the context of these paradigms. The object of social education includes all men with no age limit regardless of intellectual ability and socio-economic status. The content is considered the various needs of learners on the base of their characters, and the method must consider their spontaneity, activity, and variety. These characters of social education in object, content, and method have important meanings that realize th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through the social education by the guarantee of individual right being able to receive the education. In functional theory, the social education which intended to realize th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takes the position to fill up the individual needs in the center of social needs. In conflicting theory, the social education put emphasis on the raising individual consciousness for social reform searches for human liberation and substantial equality as the results of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In the light of these sociological paradigms, social education in Korea emphasizes the social goals for social stability , order, development and meets individual needs to the extent of realization of social goal and maintenance of existing social order. Conclusionally, this study has emphasized that social education must strengthen the conflicting character that facilitating individual consciousness raizing in social education in order to search for th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as the results of social equality and humanization of all men.;기존의 학교교육에 의한 교육기회균등이념은 학교교육자체내의 한계와 사회구조적 한계로 말미암아 모든 인간의 평등이라는 그 궁극적인 목표를 충분히 실현하고 있지 못하다. 본 연구는 단순한 교육기회의 균등뿐만 아니라 결과의 균등까지를 지향하는 오늘날의 교육기회균등이념이, 교육의 유일한 매개체로 여겨지던 학교교육을 통해 구현되지 못하는 원인을 기능주의와 갈등주의라는 양 사회학적 패러다임에 비추어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평생교육의 맥락속에서 새로운 관심영역으로 대두된 사회교육이 교육기회균등실현을 위한 교육적 대안으로서 갖는 의의와 그 전망에 대한 사회학적 견해를 각각 고찰해 보았다. 마지막으로는 이와 같은 사회학적 패러다임에 비추어 한국의 사회 교육의 성격을 규명해 보고자 했다. 사회교육은 그 대상에 있어 지적 능력 및 사회·경제적 지위에 상관없이 교육받기를 원하는 모든 연령층의 사람을 포함한다. 그 내용에 있어서는 학습자들의 특성에 기초하여 다양한 요구가 신축성있게 고려된다. 또한 교육방법에 있어서는 자발성과 능동성을 중시하며 다양성을 지닌다. 대상, 내용, 방법면에서 사회교육이 갖는 이와 같은 특성들은 개인의 교육받을 권리를 보다 적극적으로 보장해줌으로써 사회교육을 통해 교육의 기회균등을 실현하는데 큰 의의를 지닌다.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교육기회균등을 실현하기 위한 사회교육은 사회적 필요를 중심으로 하여 개인적 요구를 충족시키고자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는 형태를 취한다. 갈등주의적 관점에서의 사회교육은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서 오는 교육기회의 불균등을 해소시키고자 사회의 개혁을 위한 개인의 의식함양에 역점을 두고 교육기회균등의 결과로서의 인간의 해방 및 실질적 평등화를 추구한다. 이러한 사회학적 패러다임에 비추어 보았을때 한국의 사회교육은 사회의 안정, 질서, 발전을 위한 사회적 목표를 강조하고 이러한 사회적 목표의 실현과 기존 사회질서유지의 범위내에서 개인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사회교육이 모든 인간의 사회적 평등및 인간화라는 결과로서의 교육기회균등을 추구하기 위하여 개인의식함양을 촉진하는 갈등주의적 사회교육의 성격이 강화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의 문제 = 5 C. 연구의 방법및 제한점 = 6 Ⅱ. 학교교육에 의한 교육의 기회균등 = 8 A. 교육기회균등의 개념 = 8 B. 학교교육에 의한 교육기회균등의 한계 = 21 Ⅲ. 교육기회균등의 대안으로서의 사회교육 = 40 A. 사회교육의 개념 및 목적 = 40 B. 사회교육에 의한 교육기회균등의 의의 = 49 C. 교육기회균등의 대안으로서의 사회교육의 전망 = 58 Ⅳ. 요약 및 결론 = 77 A. 요약 = 77 B. 결론 = 80 참고문헌 = 83 ABSTRACT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866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교육-
dc.subject기회균등-
dc.subject사회교육-
dc.title교육의 기회균등을 위한 사회교육-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ocial Education for th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dc.format.pagevii, 9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8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