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주혜영-
dc.creator주혜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8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1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8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125-
dc.description.abstractEngish education in the Korean kindergartens has been wide spread according to several surveys until 1997 even though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against English education of kindergarten. Unsystematic planing of Engish education has causesd many prblems but there has not been any concrete study on English education in the Korean kindergarten.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esent status of English education in the kindergartens through direct observing and qustioning teachers in charge of Engilsh education. The qustionnaires used are as follows; 1. What kinds of English education prgram are and how do teachers take a class in kindergartens? 1-1. What are general background and kinds for the English education in kindergartens? 1-2. What is teaching method of English education in kindergartens? 1-3. What is teaching media and surroundings of English education in kindergartens? 1-4. What are the percentages and the language behaviors of Korean and English in English education in kindergartens? 2. How does the English classes in kindergartens connect with the kindergarten lessons? 3. How about the teachers who charge the English classes? This subjects of these study were 45 kindergartens which are perfoming English education in Seoul. This study was performed by the observation and questionnaires including interviews with teachers made by this reseacher, a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kinds and procedure are as follows. In most kindergartens, the English education has been performing 3 times a week and it takes 20-30 munites at a time. Most kindergarten make monthy plans. During the peroid of observing 90 classes items are not goven as sentences with context but simple nouns or adjectives, 62.2%. To make children understood, teacher has to give some context but 66.7% of teachers do not give context. It means this education is just cramming education. The percentage of large grouping in, English education is 77.3%, individual is 15.5%. The percentage of silence activity is 86.0% and higher than dynamic activity. So it means during Enlish education, children are sitting, listening and repeationg after teacher without any physical movement. The numbers of media is 2(44.5%), 3(34.5%) and 1(12.2%) and the most popular one is cassette player and tape(20.5%) that has the great merit of being listening to accurate pronunciation by native speakers but it is only used 25.0%. And the other media are letter card and text book but these are used for studying written English words and letters that don't teach elementary students even though. During English class, the percentage of Korean usage is 52.7% and it is higher than English usage. But 12 classes of 90 classes were using only English so the Korean usage would be higher if the 12 classes were substracted. And the percentage of a teacher talk(65.7%) is higher than children talk. In teacher talk, Gives directions is the highest and lectures and Asks questions is next. And in children talk, the highest is Response to teacher. And in all classes, any teacher doesn't reinforce children ideas in extending and amplifying student and they don't accept and enlarge student feelings. Whereas in English usage the highest percentage of teacher talk is Giving directions, the percentage of tacher talk in Korean usuage is Explantion. Whereas in English usage the highest percentage of chilren talk is Response to teacher,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Response to teacher(54.2%) and children initiation(47.8%) in Koean usage. 2. How does the English classes in kindergartens connect with the kinder gar ten lessons? 77.8% of classes has no connection with kindergarten lessons. And the percentage that English education teacher does not discuss class with kindergarten teacher is 71.1%. The percentage 'of words which are included in elemantary curriculum of English is 81.2% and the average words a class is 52.8 words. 3. How about the teachers who charge the English classes? Most teachers are not English 01: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at university. Due to the limits on the time and teacher's qualification for English education, the English education result in bad effect on children. 80.0% of teacher's think that the evaluation is important. The highest one of teacher reflection in evaluation is checking children's understanding(62.1%) and the highest one of ways for evaluation is question(54.2%), and the highest one of period for evaluation is everyday (77.5%), and the highest one of times for evaluation is during class (67.5%).;1997년까지 유치원에서의 영어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보면 영어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비율은 매우 높다. 유아기 영어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만 높을 뿐 실제 유치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어교육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유치원 영어교육의 실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종류와 실시는 어떠한가? 1-1. 유치원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일반적인 배경과 그 종류는 어떠한가? 1-2. 유치원 영어수업의 교수방법은 어떠한가? 1-3. 유치원 영어수업의 교수매체와 환경은 어떠한가? 1-4. 유치원 영어수업에서 영어와 한국어의 언어비율과 각각의 언어형태는 어떠한가? 2. 유치원 교육활동과 영어수업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유치원 영어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으며 영어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 45곳이다.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작성한 관찰지이며 유치원 영어교사와의 면담과 유치원 영어수업의 관찰을 통해 연구방법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종류와 실시는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유치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어수업은 주 3회, 한 회당 20-30 분이다. 영어수업의 주제는 상황이 있는 문장보다는 단순단어, 즉 사물의 명칭(명사)이나 형용사인 경우가 62.2%로 아동들에게 단순단어를 암기시키는 식의 수업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영어 수업시간의 활동구성은 아동이 대집단으로(79.3%) 앉아 신체의 움직임없는 정적활동(86.0%)이 대부분이었다. 영어수업에서 사용되어지는 매체의 수는 2가지가 제일 많았다. 이중 가장 많이 사용되어지는 매체는 테이프인데 이는 아동에게 정확한 원어민의 발음을 듣게 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위해서는 다만 25.0% 만이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사용되어지는 매체 중에 낱말카드, 교재가 있었는데 이들은 각각 10.5%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의 용도는 영어단어를 익히기 위한 것으로 이는 초등학교에서도 자제하고 있는 항목이다. 전체 영어수업시간에 나타나는 언어를 영어와 한국어로 나누어서 비교해 보면, 한국어가 52.7%로 영어(47.3%)보다 더 많이 쓰였다. 유치원의 영어수업 전반적으로, 영어로 말할 때는 교사의 말을 아동이 따라하는 부분이 많고 한국어로 말할 때는 수업의 내용에 관한 부분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영어수업에 나타나는 전체 언어형태 중에서 교사가 아동의 생각이나 진술을 확장하는 부분은 0.0%임에 반해 교사가 아동에 대해 비평적인 부분은 12.6%이었다. 둘째, 유치원 교육활동과 영어수업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영어수업과 유치원 교육활동과의 연계를 알아본 결과 77.8%가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영어 담당교사의 71.1%가 아동이나 수업에 대해서 유치원 교사와 토의를 전혀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의 영어과 기본어휘와 비교해 본 바에 의하면 유치원의 영어수업에서 관찰한 442개의 단어중에서 그 안에 포함되는 것은 81.2%이고 그렇지 않은 것은 18.8%이다. 평균적으로 유치원 영어 수업시간에 나타나는 단어의 수는 52.8 단어이다. 초등학교 3학년 1년 동안 아동에게 제시되는 단어가 100개임을 감안해 본다면 이는 유치원의 아동들에게 많은 수의 단어가 제시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유치원 영어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는 다음과 같다. 관찰대상 유치원에서 영어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는 전부 한국인 여성이었다. 이들은 유아교육이나 영어와 관련이 없는 비전공교사(46.7%)가 많았고 영어교육을 대학에서 전공한 교사는 4명(8.9%)에 그치고 있었다. 영어교사는 대부분 아동이해도 측정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영어 교사가 아동이해도를 측정하는 유형은 매일 수업시간동안 관찰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조기 외국어 교육의 제이론 = 6 B. 유아의 특성과 관련된 외국어(영어) 교수법 = 10 C. 초등학교 영어의 교육내용 = 15 D. 외국어(영어)교육에서의 교사 = 16 Ⅲ. 연구방법 = 21 A. 연구 대상 및 표집 = 21 B. 연구 도구 = 21 C. 연구절차 = 23 D. 자료 분석 = 24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26 A. 유치원의 영어수업 프로그램 = 26 B. 유치원 교육활동과 영어수업과의 관계 = 43 C. 유치원의 영어교사 = 45 Ⅴ. 논의 및 결론 = 53 A. 논의 = 53 B. 결론 = 59 참고문헌 = 61 부록 = 67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570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치원-
dc.subject영어-
dc.subject실태-
dc.subject교육-
dc.title유치원에서의 영어교육에 대한 실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English Class in Korean Kindergarten-
dc.format.pageix, 75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