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7 Download: 0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Title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Other Titles
(A) Critical study about the hidden curriculum
Authors
송용화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잠재적교육과정비판적교육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ize the hidden curriculum and to try to find a way to overcome the negative aspects of it. During the school years, the child not only Learns formal curriculum but also Learns much more through hidden curriculum. To raise and teach a child as a whole Person, we must be aware of hidden curriculum and try to look at the problems more closely. This study was done by analyzing the Literature and studies on hidden curriculum. In the second chapter, the concepts of hidden curriculum by different scholars were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licit curriculum and hidden curriculum was analyized, and the two contrasting theories, functional and conflict, which explain hidden curriculum were contrasted. In the third chapter, the conflict theory was seen to explain and develop hidden curriculum better. Therefore we analyized hidden curriculum in light of reproduction and resistance theory. In the fourth chapter, the ways to overcome the negative effects of hidden curriculum were discussed.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definition of hidden curriculum define a part of hidden curriculum but not entirely. Most of the definition are too descriptive in nature that it does not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hidden curriculum. Conflict theory and functional theory which proposed different perspective on schooling and society was decided to be more useful in analyzing hidden curriculum. Second, the functional perspective explains hidden curriculum from a socialization aspect which emphasizes needs of the society and its values. From the conflict theory, it looks at hidden curriculum in the context of the society at large and focuses on the negative aspects of hidden curriculum. Third, In the reproductional theory, criticizes schooling for reinforcing and maintaining the present socioeconomic and cultural situation. In resistance theory, it emphasized the fact that students and teachers do not necessarily internalize the content given by the social structure, It explains hidden curriculum form the perspective that students and teachers resist against repressive structures, try to create the meaning of it on their own, and construct their own view of the world. Fourth, in overcoming the obstacles of hidden curriculum,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change the education in a student centered way, implication was taken from Freire's problem-posing education method.;본 연구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문제를 분석하고 잠재적 교육과정의 부정적 측면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아동들이 학교에서 생활하는 동안 공식적인 교육과정만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그 이면의 잠재적 교육과정으로부터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전인적인 발달을 도모하는 교육 본연의 임무를 다하기 위해서는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을 분명히 하고 문제점들을 제거하고자 하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국내외의 관련 문헌을 고찰하는 문헌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을 여러 학자들의 정의에 비추어 분석하고, 표면적 교육과정과의 관계를 파악해본 후, 잠재적 교육과정을 설명하는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대립되는 관점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갈등론적 관점에서의 설명이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를 좀 더 발전시키고 있다고 보아 재생산 이론과 저항 이론의 두 관점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이제까지의 논의에서 도출된 잠재적 교육과정의 부정적인 영향을 극복할 수 있는 방향을 찾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여러 정의들은 잠재적 교육과정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내주고 있지만 이렇게 서술적으로 개념을 파악하는데 그친다면 이해의 폭을 넓혀주지 못한다. 따라서 학교 교육과 사회의 관계에 대해 다론 견해를 제시하는 기능론적 관점과 갈등론적 관점이 잠재적 교육과정을 분석하는데 유용하므로 각각의 이론적 관점에서 검토,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둘째, 기능론적 관점에서는 잠재적 교육과정을 사회가 요구하는 규범이나 가치를 배우는 사회화의 측면에서 설명한다. 학교 내부에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사회와의 관계는 고려하지 않는다. 갈등론적 관점에서는 보다 큰 사회와의 관련 하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이 끼치는 부정적인 측면을 주로 다룬다. 세째, 재생산 이론에서는 학교 교육이 사회의 경제적, 문화적 지배기반을 유지, 강화하는데 이용되고 있음을 비판하면서, 잠재적 교육과정이 이러한 효과를 촉진시키는 데 작용한다고 하였다. 저항 이론에서는 교사와 학생이 사회 구조가 부과하는 내용들을 그대로 받아들여 내면화 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기능 이론, 재생산 이론의 설명을 비판한다. 억압적인 구조에 대항하고 그들 나름대로 의미를 구성해 나간다는 측면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을 설명한다. 네째, 잠재적 교육과정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함에 있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되어야 한다고 보고 Freire의 문제 제기식 교육 방법에서 시사점을 얻어내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