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미경-
dc.creator김미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5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4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8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40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hilosophically analyze the objectivistic educational evaulation, in epistemology and axiology. It is presented not as the ramifications but rather as a reflection on certain philosophical issues in evaluation, of considerable educational importance. For these analyses,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the rise of the objectivistic evaluation which is the large part of the educational evaluation. There are three major factors in the background of forming objectivistic evaulation. One is the Tylerian curriculum theory, another is the measurement and statistical method, and the third is the requirement of the objectivity from society. Through such history, people have taken for granted that evauluation consists of constructed steps, using statistical skill with quantitative data. This form of evaluation includes the faith of scientism which people are all so imbued with the tenet of. The aussumption of the objectivistic evaluation which is taken for granted is the one of 'the unified science' such as the value-free, and the verificability. When these assumptions are considered, it is possible that dominant evaluation is named positivistic one. In the respect of epistemology, the positivistic evaluation premises single reality of the knowledge and the process of knowing in education. The Knowledge is supposed to be 'out there', so it can be seperated, accumulated, and measured, regardless of any student and any situation. Students are regarded as passive ones who are given the solid knowledge from teachers. Numbers are considered as best symbolic system for educational information in positivistic evaluation. But, virtually knowledge is connected with the life-world of each student and he actively and creatively constructs his own knowledge. The positivistic evaluation cannot deal with the knowledge from the life-world and even limits the process of knowing of the student. It is not enough for quantitated data used in positivistic evaluation to express the complexity of education. Numbers can inform just the part, not the whole of education. In the respect of axiology, the positivistic evaluation does not admit that it has its own value system. It is argued that the evaluation can proceed without any value premise. But in the practice of ,education, the positivistic evaluation has an educational value in itself so it is necessary to be exposed the relationship the evaluation and value in education. Because of these limitations which the poitivistic evaluation is of, alternative evaluation is needed. It has existed from 1960s that many views suggest the alternative one for overcoming and making up the positivistic evaluation. This thesis represents a swing away from the purely theoretical and toward the practice of alternative evaluation. Alternative evaluation does not mean a single evaluation which takes place of the positivistic one. It is possible for the evaluation to take as its foundation phnomenology, hermenutics, critical theory and theories in another field. It is also possible to reconceptualize the positivistic term in evaluation. More over, it can include the efforts that is presented for overcoming positivistic evaluation in practical side. When evaluation uses the various foundations and makes the concepts of evaluation deeper and richer, evaluation can functionate for better education.;본 연구는 평가에 대한 철학적인 접근으로, 교육평가 중 객관주의 평가에 대하여 인식론적이고 가치론적인 측면에서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어떠한 연구의 결과물을 제시하려 하기보다는, 평가에 있어서 철학적인 고찰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교육적으로 중요한 주제들에 대하여 반성(反省)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한 분석을 위하여 우선, 지금의 교육적 평가분야에서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는 객관주의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를 조망하였다. 이러한 평가가 형성된 배경에는 세가지 요인이 작용하였다. 객관주의 평가는 첫째, 이론적으로는 Tyler의 교육과정이론에 의하여, 둘째, 방법적으로는 측정과 통계에 의하여, 셋째, 사회적으로는 객관성의 요구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객관적 평가가 주도적인 시기에서는 일반적인 평가란 구조화된 절차로 수량화된 자료를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결과를 처리하는 활동이라고 인식되었다. 이러한 평가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스며들어 있는 과학주의적인 신념을 그 바탕으로 한다. 가치중립성과 검증가능성의 기반을 이루는 통일과학 개념은 객관주의 평가에 있어서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가정이다. 이러한 객관주의 평가의 실증적 전제들을 고려할 때 객관주의 평가를 또한 '실증적' 평가라고 칭할 수 있다. 인식론적으로, 실증적 평가는 교육에 있어서 지식과 인식과정에 대한 단일한 실제를 가정한다. 지식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그러기에 학생이나 상황에 관계없이 분리, 누적, 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상정된다. 이러한 지식관은 학생의 위치를 적극적이고 창조적인 지식의 주체로서 놓기보다는 수동적인 지식의 담지자로서 놓게 되기 쉽다. 또한 숫자는 실증적 교육평가에 있어서 교육적인 정보를 가장 잘 전달할 수 있는 표현형식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지식은 각 학생의 생활세계와 연관되어 있고 학생은 능동적이고 창조적으로 자신의 지식을 구성하는 존재이다. 실증적 평가는 생활세계로부터 생성되는 지식을 다루지 못할 뿐 아니라 평가의 그러한 인식론적인 전젠가 고정화 될 때는 학생의 인식과정을 제한하는 결과를 가정할 수 있다. 실증적 평가에서 쓰이는 양적인 자료는 교육의 복잡성을 표현하기에는 미흡하며 숫자는 단지 교육의 어느 한 측면만을 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가치론적인 측면에서 실증적 평가는 나름대로의 가치체계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어떠한 가치론적인 전제 없이 중립적으로 평가활동이 진행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 실증적 교육평가는 그 자체가 교육적인 가치에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평가가 어떠한 가치를 매개하고 있는지가 정립되어야 한다. 실증적 평가가 내포하는 이러한 한계로 말미암아, 대안적 평가의 등장이 요청된다. 이러한 요청은 실증적인 평가를 보완하고 또 극복하려는 여러 가지 입장에서 1960년대부터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앞서 진행한 인식론적이고 가치론적인 분석을 토대로 대안적인 교육평가의 이론적인 기반부터 그 실제까지를 대략적으로 전개하였다. 대안적 평가란 실증적 평가를 대치할 단일한 평가모델만으로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는 실증적 토대 외에도 현상학, 해석학, 비판철학 그리고 그 외의 다른 영역의 이론을 이용할 수 있고, 이러한 토대 위에서 지금까지 실증적으로 정의되었던 평가용어를 재개념화 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평가의 실제적인 영역에서 전개된 노력들을 차용할 수 있다. 평가가 다양만 철학과 이론들을 기반으로 사용하고 평가의 구체적인 개념들을 더욱 깊고 풍부히 한다면, 평가는 교육의 의미를 더욱 풍성히 하는 데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교육평가의 발달배경 = 4 A. 평가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 = 4 1. 교육과정 이론과 교육평가의 발달 = 5 2. 측정이론의 발달과 교육평가 = 8 3. 객관화에 대한 사회의 요구 = 10 B. 평가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에 대한 고찰 = 13 Ⅲ. 객관주의 교육평가의 형태와 특성 = 15 A. 객관주의 교육평가의 형태 = 15 1 .구조화된 절차 = 15 2. 평가자료의 수량화 = 17 3. 통계적 방법의 이용 = 19 B. 객관주의 교육평가의 특성 = 20 Ⅳ. 객관주의 평가의 실증적 특성 = 24 A. 객관주의 평가에서의 실증적 기본전제 = 24 1. 교육과 통일과학 개념 = 25 2. 객관주의 평가에 나타나는 통일과학 개념 = 29 B. 실증적 평가철학 = 34 1. 실증주의 학파와 그 영향력 = 35 2. 실증주의와 교육평가와의 관련성 = 38 Ⅴ. 실증적 교육평가에 대한 인식론적, 가치론적 비판 = 43 A. 인식론적 비판 = 44 1. 실증적 평가가 전제하는 지식관과 문제점 = 45 2. 실증적 평가가 전제하는 학생의 인식작용과 문제점 = 53 3. 실증적 평가의 표현양식에 대한 문제 = 59 B. 가치론적 비판 = 63 1. 교육평가와 가치와의 관계 = 64 2. 평가가 전제하는 가지의 성격과 문제점 = 67 C. 종합 = 74 Ⅵ. 대안적 교육평가의 방향 = 77 A. 평가에 이용될 수 있는 대안적 기반 = 78 1. 현상학과 해석학 = 79 2. 비판철학 = 81 3. 탈실증주의 (post-positivism) = 83 4. 그 외의 관점들 = 86 B. 실증적 평가용어의 재개념화 = 88 1. 객관성 = 88 2. 타당성 = 90 3. 평가자의 위치 = 92 C. 통합적 평가를 위한 노력 = 93 Ⅶ. 결론 = 97 참고문헌 = 100 ABSTRACT =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937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객관주의-
dc.subject교육평가-
dc.subject전제-
dc.subject인식론-
dc.subject가치론-
dc.title객관주의 교육평가의 전제에 대한 인식론적, 가치론적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n the Assumptions of Objectivistic Educational Evauluation in Epistemology and Axiology-
dc.format.pagevi, 10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