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경-
dc.creator이은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4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4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8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402-
dc.description.abstractPhenomenalistic approaches are the kind of research to recover the uniform and closed, cramming educational reality of today. Phenomenalistic viewpoint, with a recognition that this crisis of education has arisen from positivistic premises, is a movement to doubt those premises and open up an alternative view of educational reality. This research is an effort to seek how to solve educational problems by comparing positivistic approaches and phenomenalistic approaches to research in their methods and content, with its specail focus on curriculum research that is a real field of education. The two kinds of approaches have remarkable distinctions in following sectors: the nature and a man, education and curriculum, focus and methods of research, position and role of researcher and so on. First of all, phenomenology depicts most of entities as unbalanced, varied, and unsteady, while positivism describes the universe as an orderly stablized and balanced existance. Phenomenology assumes a subjective man while posivism supposes a controlable man. Positivistic educationalists attempt an education to draw out a series of consistent educational objectives and to get children ready for them through an analysis of activities and occupations of able adults. Furthermore they make an effort to fomulate systematical curriculum theories to serve this educaion. In contrast, phenomenology concieves a participant curriculum which encourages individual potentials and intends transcendence. Phenomenalists emphasize the uncertainty of curriculum project that curriculum theory can not be definately established. Phenomenology is interested in the experience the individuals are having and the meanings the actions have, while positivism puts more focus on the behaviors of the individuals or group studied. As for research methods, phenomenology is based on holistic view, while positivism depends on reductionistic view. In addition, phenomenology tries to describe, understand the meaning of, and make an inductive analysis of an event, while positivism attempts to control, predict, produce a deductive analysis of every event. According positivism, what is studied is an entity differentiated from a researcher, and its ideal is an objective description. By comparison, phenomenology put a researcher in a position of seeing through a meaning in a direct context, as a participant observer rather than as an objective one. Phenomenalistic view provides a curriculum research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with messages as followed. First, phenomenalistic approaches give a new understanding of curriculum research in a light. that the nature and the man are becoming, dynamic systems. The nature is on its way of changes toward complexity, and the man is not a mere existence which has to get knowing, but an agent that intends something and creates a meaning through constant thinking. Curriculum is made by the medium of such a man, and therefore, the closed, cramming education has to be corrected. Curriculum should be disccussed and practiced as such a dynamic and open kind that a man plays his part in composing and creating the meanings of. Secondly, by discovering a life world as the basis of scientific thoughts and emphasizing the variety of life world, phenomenalistic approaches urge to amend the uniform curriculum of today. They insist upon the necessity of curriculum in which particularity of individuals is taken into consideration. Phenomenology attempts to accept an educational event as it is, or "its isness", without any prejudice, rather than under any "ought" standard. Yet, phenomenalistic approaches are said to have resulted in a problem of relativity in a field of theory and practice in curriculum research. It is said that phenomenalistic approaches, in their objection to seeing curriculum previously organized and objectified and in their conception of curriculum participated by individuals, have baffled a scholary curriculum research, and such curriculum is difficult to apply to practice. At this point, phenomenalist Langeveld defines the study of education as a practice-oriented, practical science and says that a practical science would be irrational without positive and theoretical research composing educational situations. In other words, he presents a possibility to solve the problem of relativity by mentioning that in phenomenalistic approaches it is possible to develop curriculum applicable to practice. By that he means phenomenalistic approaches and positivistic approaches need to be complemented by each other. Now, phenomenalists who seek an improved quality of education should pay their effort mainly to a research applicable to practice, that is to say, research to serve as an operational guide.;교육에 있어서의 현상학적 접근을 획일적이고 폐쇄적인 주입식의 교육현실을 극복하고자 하는 하나의 연구이다. 현상학적 시각은 이러한 교육의 문제상황은 실증주의의 전제들로부터 비롯되었다고 보고, 실증주의적 전제들을 의심하고 교육실제에 대한 대안적 시각을 열어 보려는 움직임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교육의 실제 영역인 교육과정 연구에 촛점을 두고, 실증주의적 접근과 현상학적 접근의 연구방법 및 내용의 대비를 통해 교육문제의 해결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두 접근은 다음의 영역-자연 및 인간 그리고 교육 및 교육과정, 연구의 초점, 연구의 방법, 연구자의 위치 및 역할-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먼저 실증주의에 따르면 우주는 질서있게 안정되고 평형을 이루고 있는 반면 현상학에 따르면 대부분의 실재는 불평형, 다양성 그리고 불안정하게 존재한다. 또한 실증주의는 조작적인 인간을 가정한 반면 현상학은 주체적인 인간을 가정하였다. 실증주의 교육학자는 유능한 성인의 활동 및 직업을 분석함으로서 일련의 동일한 교육의 목표를 도출해 내고 여기에 아동을 준비시키는 교육을 시도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정 이론의 공식화에 주력하였다. 반면 현상학은 각자의 가능성을 진작시키고 초월을 지향하는 참여적인 교육과정을 구상하였다. 현상학자는 교육사태의 불안정하고 불확실한 성격때문에 교육과정 이론은 확실하게 정립될 수 없다는 교육과정 개혁의 불확실성을 강조하였다. 실증주의 연구대상이 되는 개인이나 단체의 행동에 더 많은 초점을 두는 반면 현상학은 개개인이 갖는 경험과 행동의 의미에 관심을 둔다. 실증주의는 연구방법에 있어 환원주의적 시각을, 현상학은 전체적인 시각을 기초로 하였다. 또한 실증주의는 모든 사태를 통제하고 예측하며 연역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반면 현상학은 사태를 기술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며 귀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주의에 따르면 연구대상은 연구자와 분리된 실제로서, .객관적인 기술은 그 이상이었다. 반면 현상학에 따르면 연구자는 개관적인 관찰자라기 보다는 참여적인 관찰자로서 직접적인 맥락에서 의미를 통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현상학적 시각은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교육과정 연구에 다음과 같은 점에서 시사를 주었다. 첫째, 현상학적 접근은 자연과 인간을 되어가는(becoming) 역동적인 체계로 봄으로써 교육과정 연구에 새로운 이해를 제공하였다. 자연은 복잡성을 향해 변화하고 있고, 인간은 단순히 알아가야 하는 존재가 아니라 계속적인 의식활동을 통해 무엇인가를 지향하고 의미를 창조하는 주체자이다. 교육과정은 이러한 인간을 매개로 하여 생성되는 것인 바, 따라서 폐쇄적인 주입식 교육을 시정되어야 한다. 교육과정은 인간이 참여하여 의미를 구성하고 창조하는 역동적이고 개방적 차원의 것으로 논의되고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현상학적 접근은 과학적 사고의 기반으로서 생활세계를 발견하고 생활경험이 가지는 다양성을 강조함으로써 획일적인 현 교육과정의 시정을 촉구하였다. 각 개인의 개별적인 독특성이 고려되는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현상학은 교육사태에 대해 이상적인(ought) 기준보다는 어떤 선입견도 배제한 채 먼저 있는 그대로(isness)를 인정하고자 한다. 그런데 현상학적 접근은 교육과정 연구에 있어 이론과 실제의 측면에서 상대주의의 문제를 낳는다고 지적되었다. 즉 현상학적 접근은 교육과정을 미리 구조화되고 객관적인 것으로 보는 견해에 반대하고 개개인이 참여하는 교육과정을 구상함으로써 지식의 상대화와 더불어 학문적인 교육과정 연구의 불가능을 초래하였으며 또한 그러한 교육과정은 실제에 적용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여기에 현상학자인 Langeveld는 교육학을 실천지향적 실천과학이라 규명하고, 교육적 상황을 구성하는 실증적이고 이론적인 연구없는 실천과학의 존립은 불합리하다고 밝혔다. 즉, 그는 현상학적 접근은 실제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연구 및 개발이 가능하다고 지적함으로써 상대주의의 문제를 해소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현상학적 접근과 실증주의적 접근은 보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제 교육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현상학자는 교육실제에 적용할 수 있는 즉, 작동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연구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및 제한점 = 2 Ⅱ. 교육과정 연구에 있어서의 실증주의적 접근 = 4 A. 기본 방법론 = 4 B. 자연 및 인간에 대한 설명 = 8 C. 교육 및 교육과정에 대한 설명 = 11 Ⅲ. 교육과정 연구에 있어서의 현상학적 접근 = 18 A. 기본 방법론 = 18 B. 자연 및 인간에 대한 이해 = 21 C. 교육 및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 26 가. 실존적 유형 = 27 나. 교육인간학적 유형 = 33 다. 포스트모던적 유헝 = 38 Ⅳ. 교육과정 연구에 있어 실증주의적 접근과 현상학적 접근의 비교 = 47 A. 두 접근의 비교 : 실증주의적 접근에 대한 연상학적 관점에서의 비판을 중심으로 = 47 1. 기본 가정 = 47 가. 자연과 인간에 대한 관점 = 47 나. 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관점 = 49 2. 연구의 촛점 = 51 3. 연구의 방법 = 52 가. 환원주의 대 전체적인(holistic) 시각 = 52 나. 통제, 예측, 연역적 설명 대 기술, 이해, 귀납적 분석 = 55 4. 연구자의 위치 및 역할 = 57 B. 현상학적 접근의 문제점 = 59 1. 현상학의 상대주의 문제 = 59 2. 실증주의적 접근차의 보완 필요성 = 61 Ⅴ. 요약 및 결론 = 72 참고문헌 = 75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3010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교육과정연구-
dc.subject실증주의-
dc.subject접근-
dc.subject현상학-
dc.title교육과정연구에 있어 실증주의적 접근과 현상학적 접근의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ISON OF POSITIVISTIC APPROACHES WITH PHENOMENALISTIC APPROACHES IN CURRICULUM RESEARCH-
dc.format.pagevii,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