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6 Download: 0

원격영상강의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의 빈도와 유형이 학습자의 동기유발에 미치는 영향

Title
원격영상강의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의 빈도와 유형이 학습자의 동기유발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Interaction Frequency and Pattern on Student Motivation in Viedo Conferencing
Authors
김서영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Keywords
원격영상강의상호작용학습자동기유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tremendous growth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field has brought numerous changes in the educational system. One most of the significant changes can be especially witnessed in the area of distance education. In the past, most forms of distance education was limited to a non-interactive one-way orientation, however through advances in comput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now possible to implement an interactive two-way educational environment. Interactive TV, satellite, audio conferencing systems have been the media used for distance education. Recently, a Video Conferencing System(VCS) which enables the users to transmit video and audio signals in real time has been the most widely used and popular medium. VCS enables the teachers and students to freely interact in real time, and therefore provides a more effectiv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both the teacher and student.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have been viewed as the most crucial aspect in order to improve learning attitude and satisfaction of students(Garrison, 1990; Klinger & Connect, 1992 Richie & Newby, 1989). However, most studies on video conferencing system have been focused on the methods and evaluations of VCS implementation and not on the teacher-student interaction aspect. Furthermore, Korea has only recently started to pursue VCS. Through the video conferencing being implemented at Korea Open University from the 1995 fall semester, it is this study's goal to focus on the frequencies and various patterns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gain insight on this effect on the student motivation.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purpuse, the following questions will be addressed.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interaction frequency and pattern between lecture K of social science and lecture M of cultural science?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in student motivation between the two lectures? Third, is there a difference in interaction frequency and pattern between the on-site and remote- site? Forth, is there a difference in student motivation between the on-site and remote- site? Fifth, does the interaction frequency and pattern have influence on student motivation in video conferencing? The lecture K and M through VCS between the Kangwon regional study center and Kanglung local study center were the stages of this stud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78 freshmans of department A (57 from Kangwon, 21 from Kanglung) and 62 freshmans of department B (Kangwon 37,125 from Kanglung) of KNOU were the basis of this study. The Interaction analysis tool used in this study was largely based on the studies of Amidon & Hunter (1967) and Farr & Muscarella. To evaluate student motivation levels a modified version of the Course Interest Survey, which focuses on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was used. To observe and analyze the verbal interaction in the identical situations, the video conferencing of September 5 and 6 (1996) of lecture K and September 19 and 20 (1996) of lecture M at Kangwon and Kanglung were video taped and analyzed through the Falnders interaction analysis method by the researcher and another observer. The interactions were classified in the following patterns: Teacher-Student interaction(T-S), Student-Teacher interaction(S-T), and Student-Student interactions(S-S), and the interaction frequency of each pattern was computed. The differences in interaction patterns of the each lecture and site were evaluated by chi-square. To evaluate student motivation, at the end of September 5 and 20 lectures of K and M, surveys were passed out at Kangwon site and Kanglung site. The collection rate of the surveys of lecture K at the Kangwon site was 79% and Kanglung site was 95%. For lecture M, the collection rate was 68% for the Kangwon site and 100% at the Kanglung site. The following is the list of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First, the results of the interaction frequency and pattern analysis revealed lecture K had much more interaction frequency than lecture M. Through analysis of the patterns of interaction, in lecture K which had a high interaction frequency the Teacher-Student pattern was the most abundant, and in lecture M which had a lower interaction frequency, the Student-Teacher aspect was the most prevalent.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in video conferencing with high interaction frequencies the Teacher-Student pattern is prevalent, and in video conferencing with low interaction frequencies the Student-Teacher pattern is abundant. Second, the results of the interaction frequency and pattern analysis depending on the sites showed in both lectures(K, M), the on-site location showed a much higher interaction frequency than remote-site. Further analysis revealed that, in the on-site, which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interaction, the Teacher-Student pattern was prevalent, and in the remote-site, which had low interaction frequency, the Student-Teacher pattern was prevalent. One of the interpretations for these results is that the on-site have a higher interaction rate due to the face to face educational environment. However, in the remote-site the students not only feel physically removed but also psychologically removed from the teacher therefore inhibiting the students from freely participating and interacting with teacher and other students in the video conferencing. Third, analysis of student motivation reveal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action frequency and motivation cannot be made. Student motivation levels did not differ between high and low interaction levels, and even between the on and remote site. One of the reasons for these results is believed that both lectures(lecture K and M) oriented one-way communication from the teacher to students, there(ore the limited amount and patterns of interaction could not play a role in student motivation. Forth, analysis of the interaction patterns on student motivation also revealed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interaction pattern and student motivation. All patterns of interaction could not be directly correlated with overall students motivation, however it was elucidated that the Teacher-Student pattern enhanced attention of the students, and the Student-Teacher pattern positively influenced confidence of the students. Therefore, questions specifically designed to increase Teacher-Student interaction can enhance attention levels, and feedbacks to the students questions or interactions are able to increase confidence levels. From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 First, although there is sufficient technology to support an interactive VCS session, due to the lack of experience and know-how in video conferencing by the teachers, most video conferencing are limited to a lecture type, one-way communicationfrom a teacher to students.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effectiveness of video conferencing, it is proposed here to start a program to train and orientate teachers to VCS. Second, through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minor interactive activities occured during video conferencing, therefore interaction frequency and pattern were not able to have influence on student motivation. This was believed to be largely due to the instructional methods used. In order to increase frequencies of interactions and diverse patterns of interactions in video conferencing, specific instructional strategies such as the way of organizing content, displaying learning materials, and increasing interactions, should be studied in depth. Third, there were many instances in which the video conferencing were interrupted due to communication technical difficulties. These technical difficulties not only disrupted the video conferencing but also hindered all patterns of interaction.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video conferencing , it is recommended here not only the training of teachers but also the system operators with respect to VCS. Finally, due to the fact that this was a field study, it was almost impossible to restrict and control teacher, subject, and student factor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pply this study to all cases and is recommended that similar studies like this one must be conducted to gain further insight.;현대사회의 정보통신공학의 발달은 교육 체제에 구조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이러한 교육 구조의 변화는 원격교육의 형태에 있어서도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과거의 원격교육은 인쇄매체나 대중매체를 중심으로 일방향적(One-way)인 교육이 이루어졌으나 현대의 발달된 컴퓨터와 정보기술의 교육적 적용은 교사와 원격지에 있는 학습자가 서로 양방향 통신(Two-way Communication)을 할 수 있는 학습환경을 구축하였고, 이것은 기존 원격교육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원격교육에서 양방향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매체로는 상호작용 텔레비젼(Interactive TV), 통신위성(Satellite), 원격음성강의 시스템(Audio Conferencing System) 등이 있는데, 최근에는 실시간에 양방향으로 영상과 음성 모두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는 원격영상강의 시스템(Video Conferencing System)이 많이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원격영상강의 시스템은 교사와 학습자가 자유롭게 의사를 교환함으로써 교수-학습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원격교육에서의 상호작용은 수업의 참여도가 낮아질 수 있는 원격지 학습자들에게 참여의 기회를 최대한 제공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원격교육을 위해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고 있다(Garrison, 1990; Klinger & Connet, 1992; Richie & Newby,1989). 그러나 종래의 원격영상강의 시스템에 관한 연구들은 시스템의 활용방안이나 활용효과에 치중되어 있을 뿐 상호작용 요소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들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고, 우리나라는 원격영상강의 시스템의 실시초기 단계에 있기 때문에 이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물이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사업'과 관련하여 1995년 2학기부터 원격영상 강의를 시범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한국방송대학교'의 실제사례를 통해 원격교육에서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는 상호작용이 어떠한 빈도와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것이 학습자의 동기유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구체적인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학 계열의 K 과목과 인문과학 계열의 M 과목 사이에는 상호작용의 빈도와 유형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두 과목간에 학습자의 동기유발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모국과 자국 사이에는 상호작용의 빈도와 유형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넷째, 모국과 자국간에 학습자의 동기유발에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원격영상강의시, 상호작용의 빈도와 유형이 학습자의 동기유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1996년 9월에 강원(춘천) 지역학습관과 강릉 시군학습관을 연결하여 실시하였던 개강 교과목 중 논문진행 기간동안 관찰 가능한 사회과학 계열의 K 과목과 인문과학 계열의 M 과목을 연구대상 과목으로 선정하고, 해당 과목의 수강생 방송대 A학과 1학년 78명(강원 57명, 강릉 21명)과 B학과 1학년 62명(강원 37명, 강릉 15명)을 연구대상 학습자로 선정하였다. 학습과정에서 일어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한 상호작용 분석도구는 Amidon and Hunter(1967)와 Farr and Muscarella(1991)가 제작하였던 도구를 참조하여 연구자가 작성하였고, 학습자 동기유발 측정 검사지는 주의력,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의 네가지 영역을 측정하는 Keller(1987)의 The Course Interest Survey를 번안하여 수정한 후 활용하였다. 언어적 상호작용의 관찰 및 분석은 강원과 강릉에서 진행된 영상강의를 동일한 상황에서 관찰 하기 위해 96년 9월 5일, 6일에 실시된 K 과목과 9월 19일, 20일에 실시된 M 과목을 Video Tape으로 모두 녹화한 후, 본 연구자와 관찰자 1명이 Flanders의 상호작용 분석법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상호작용은 거시적으로 교사 대 학습자(T-S: Teacher-Student), 학습자 대 교사(S-T: Student-Teacher), 학습자 대 학습자(S-S: Student-Student)유형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빈도를 계산하였고, 각 과목과 모·자국간에 따른 상호작용 유형의 차이는 카이 검증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학습자의 동기유발 측정은 각 과목의 영상강의가 마치는 9월 6일과 9월 20일에 강원과 강릉 지역학습관에서 설문지를 통하여 실시하였는데, 이 때 설문지 회수율은 K 과목이 강원 79%, 강릉 95%였고, M 과목은 강원 68%, 강릉 100%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영상강의로 이루어진 두 과목의 학습과정을 분석한 결과, K 과목과 M과목은 상호작용의 빈도와 유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사회과학 계열의 K 과목은 인문과학계열의 M과목보다 전체 학습 과정동안 상호작용이 훨씬 많은 횟수로 기록되었고, 각 유형별 상호작용의 빈도도 보다 많은 횟수로 나타났다. 이 두 과목에서 발생한 상호작용을 유형별로 분석하면, 상호작용의 빈도가 많았던 K 과목은 전체 상호작용 활동 중 교사 대 학습자(T-S)유형의 상호작용이 많은 빈도를 차지하였고, 상호작용 빈도가 적었던 M 과목은 학습자 대 교사(S-T)유형의 상호작용이 많은 횟수로 기록되었다. 따라서, 상호작용의 빈도가 많은 영상강의에서는 T-S유형의 상호작용이 주로 발생하고, 상호작용빈도가 적은 영상강의에서는 S-T유형의 상호작용이 많이 발생한다고 말할 수 있다. 둘째, 모국과 자국에 따른 상호작용의 빈도와 유형을 비교·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두 과목 모두 자국보다 모국에서 상호작용 빈도가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유형별로 살펴보면, 상호작용의 빈도가 많은 모국은 T-S유형이 주를 이룬 반면 상호작용의 빈도가 적은 자국은 S-T유형이 주를 이루었다. 이처럼 모국과 자국이 상호작용의 빈도와 유형에 차이를 보인 것은 모국은 면대면 수업과 같은 학습환경을 갖추고 있어서 교사와 학습자간에 상호작용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반면, 자국은 학습자들이 단지 스크린을 통해서 교사와 대화를 나눌 수 있기 때문에 물리적인 거리감 뿐 아니라 심리적인 거리감을 많이 느끼게 되어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셋째, 학습 대상자들의 동기유발을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의 빈도가 많았던 과목과 빈도가 적었던 과목의 학습자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모국과 자국의 학습자 사이에도 동기유발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 활동의 많고 적음이 학습자의 동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나게 된 원인은 본 연구에서 관찰된 두 과목의 모두가 교사의 일방적인 강의위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적은 빈도로 발생한 상호작용 요인이 학습자의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상호작용의 유형이 학습자의 동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 유형이 학습자의 전반적인 동기유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T-S, S-T, S-S유형중 어떤 유형이 학습자의 동기유발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지을 수는 없으나, 동기를 하위요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T-S유형은 학습자의 주의력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S-T유형은 학습자의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 대 학습자 상호작용(T-S)에 포함될 수 있는 교사의 유도적인 질문, 지시나 주의통제를 위한 질문 등은 학습자의 주의력을 보다 잘 이끌 수 있고, 학습자가 답한 내용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학습자의 자진적인 질문에 교사가 답을 해주는 등의 학습자대 교사의 상호작용 (S-T)은 학습자의 자신감을 높일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영상강의들은 상호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충분히 할 수 있는 양방향 데크놀로지를 구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상강의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교사들의 미숙함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강의가 일방적인 교사의 강의 형태로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영상강의의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우수한 교사연수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능력과 자질을 갖춘 원격교사의 양성이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하여 살펴본 원격영상강의가 소수의 상호작용 활동만을 함으로써 상호작용의 빈도와 유형이 학습자의 동기유발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끼치지 못한 결과를 얻게 되었다. 이것은 무엇보다 현재 원격교육에서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 방법론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여겨지기 때문에, 차후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학습전략이나 학습내용 조직방법, 학습자료 제시방법과 같은 학습과정에 적합한 효과적인 교수-학습전략들이 심층적으로 연구되어야 하겠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 영상강의시 통신 장애로 인하여 수업이 중단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러한 통신 장애 또한 상호작용의 기회를 감소시키는 원인중 하나였기 때문에 영상강의의 무리없는 진행을 통해 학습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기 위해서는 교사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현장연구였기 때문에 교사변인, 과목변인, 그리고 학습 대상자 등의 여러 변인들을 통제할 수 없었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일반적인 모든 경우로 해석하기에 무리가 있으므로, 원격교육이 점차 확대, 보급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본 연구의 미흡한 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유사연구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