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3 Download: 0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서의 교사의 자율성

Title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서의 교사의 자율성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er's autonomy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Authors
이혜원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교육과정실행교사자율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데올로기적 국가 장치로서의 교육의 기능에 대한 강조는, 교육내용의 정치성을 의미한다. 그러나, 교육내용의 정치성의 지나친 강조는 교육에 대한 패배주의적 사고를 초래할 뿐이다. 이에, 최근 들어 외부 수준에서 주어진 교육내용과 학급내 교사 수준에서의 실행 간에 존재하는 차이의 본질에 대한 인식이 요청되고 있다. 이는 하나의 예술로서, 전개 과정에서 스스로를 변형시킬 잠재력을 지니는 교육과정의 무제약성(Unconditionedness)에 대한 주장이다. 또, 교육과정을 예술가적인 감각으로써 '해석'하고, 나아가 해방적 관심으로써 '저항'하기도 하는 교사 변인에 대한 강조이다. 본 논문은 바로 이 교육내용의 정치성, 교육과정의 무제약성 및 교사의 상대적 자율성의 개념에 기초하고 있다. 특히 '80년대 이후 한국의 교육 민주화 운동은 교육과정의 재개념 주의의 논의에 대한 검증을 요청하는 충분한 배경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현행 고등학교 국사과와 중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을 의도·인지·실행 수준 별로 분석, 국가 수준의 의도와 교사 수준의 실행 간의 차이를 밝히려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연구 문제를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내용의 정치성과 관련하여, 한국의 현행 〈교육과정〉에 나타나고 있는 국가 수준의 의도는 무엇인가? 둘째, 교육과정의 무제약성과 관련하여 그러한 의도는 교사의 인지 및 실행 수준을 통해 어떤 모습으로 전개되고 있는가? 세째, 교사의 상대적 자율성과 관련하여, 그 의도와 교사의 실행간의 차이는 어느 정도 나타나고 있는가? 이와 같은 문제의 특성으로 보아, 본 연구에서는 수량적 연구보다 면접 및 현장 참여관찰을 통한 질적 연구에 중점을 두었다. 즉, 국사과와 도덕과의 〈교육과정〉, 교사용 지도서, 교과서 등 문서화된 자료를 분석하고, 중·고등학교 교사 17명을 면접하였으며, 교사 4명의 수업 을 참여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교육과정〉에 나타나고 있는 의도는 크게 '국민정신 교육의 강화' 및 '5공화국의 국정지표'였다. 그리고 이 의도들은 국사과나 도덕과 같은 소위 국책 교과의 교과별 목표 및 내용에까지 일관성있게 반영되고 있었다. 둘째, 국사과의 경우 교과서의 의도는 교사에 의해 비판적으로 인지되고 재구성된 후, 수업 장면에서의 실행 과정을 거치면서 철저히 거부되고 있으며 나아가 그 의도에 대한 전면적인 비판으로까지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도덕과의 경우에는 교과서 의도는 교사의 인지 수준에서는 철저하게 거부되거나 비판되지만, 실행 수준에서는 애초의 의도를 지지하는 형태와 비판하는 형태가 동시에 보여지고 있었다. 세째, 국사과의 경우 교육과정의 의도와 실행 간에는 완전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반면, 도덕과의 경우에는 일부 의도와 부합되는 실행 형태도 나타남으로써, 완전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결국 교과 모두에 내재되어 있는 국가 수준의 의도는, 교사에 의해 전혀 실행되고 있지 않거나, 일부만이 실행되고 있었다.;Accounts of schools as part of a ideological state apparatus implies the politics of the curriculum. But, the state control of the curriculum is likely to result in disabling pessimism in education at the cost of teacher's autonomy which is believed to be critical in curriculum operation. Lately, we are called upon to cognize the substance of difference between the curriculum imposed by external level and in-class operation. There has been an emphasis on 'the un-conditionedness of the curriculum as art', and also on the factor of teacher interpreting the curriculum by an artist sense, or further resisting with an interest in libera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ncepts such as the politics in curriculum, the unconditionedness of the curriculum and teacher's relative autonomy. Especially, the educational democratization movement of Korea in the eighties is regarded as enought background to request verification of the argument of the reconceptualists of the curriculum. Accordingly, the study is to elucidate a difference between the intent in national level and the operation in teacher level, on the ground of analyzing the current curricular of Korean history and morality subject by levels such as intent, perception and operation. The following questions are investigated in the study: First, what is the intent in national level shown in the curricular of Korea? Second, what feature is the intent developed with, through level of perception and operation by teacher? Third, what is a difference between the intent and teacher's operation and how wide? For the sake of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is study attached to qualitative study throug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in attendance at the field, rather than quantitative study. Namely, analyzed are such written materials as curricular of Korean history and morality subjects, the guidebooks for teacher, the authorized textbooks, had are interviews with seventeen teachers, and observed are, in attendance, classworks of four teach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nt of the curricular was the intensification of the national spiritual education and the index of national administration in the Fifth Republic. And this intent was reflected consistently in so-called national policy subject such as Korean history and morality, up to a goal and content of the subjects. Second, in the case of Korean history subject, the intent was rejected throughly through operational process in teaching context after perceived critically and reconstructed by teachers, and further was known as linked up to all-out criticism against the inten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orality subject, even though the intent of text was rejected or criticized thoroughly in level of teachers' perception, in level of operation the forms coincident with, and confronted with the primary intent were shown at the same time. Third, in the case of Korean history subject, discovered was an absolute difference between intent an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morality subject, an absolute difference was not found. This may be because the operational form coincident with the primary intent appear-ed in part. In conclusion, the intent in national level immanent in both the subjects was not operated as intended, or was partly operated by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