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8 Download: 0

학령기아동 대상 방과후 프로그램 모형 정립

Title
학령기아동 대상 방과후 프로그램 모형 정립
Other Titles
(The) model building of after-school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Authors
김선미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Keywords
학령기아동방과후 프로그램school-aged childrenafter-school program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t the phase of institutionally beginning after-school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this study aims to build the model which can help to understand and guide the educational practice of it. The study questions raised under this study-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viewpoints of after-school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and the program purposes and activities based on them? 2. In the cases operating in present, how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viewpoints, program purposes and program activities? 3. How can the model of after-school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be built on the basis of the aboves? To accomplish these study-purpose and questions, Beauchamp's principles of model building was applied to specific study methodology. First of all, the below matters were investigated through review of literatures on after-school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 1. the backgrounds of appearance ; 2. the viewpoints headed by literatures ; 3. the comprehensive conception, features and program purposes and activities ; 4. the precedent study ; 5. the present status of facilities located in Seoul. Second, program purposes and activities were categorized based on each viewpoint and made into tables. According to these things, theoretical pre-model of after-school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was built. Third, to evaluate the pre-model in the light of educational practice, case study was carried out with 8 facilities' programs located in Seoul. Finally, with realized and justified intrinsic value matrix and their relationship, the model of after-school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was buil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viewpoints of after-school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were categorized into welfare, educational and local community movemental viewpoint. According to welfare viewpoint, program purposes were belows : 1. caring, supervision and prevention ; 2. complement of family and school life ; 3. family support. Program purposes headed educational viewpoint were belows : 1.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 2. esthetic and motor development ; 3. cognitive and skill development ; 4. developmental purposes for special needs. And program purposes according to local community movemental viewpoint were belows : 1. socialization ; 2. community center ; 3. community support.. Second,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pre-model of after-school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was built linearly and separately according to each veiwpont. Because the above three viewpoints were different from starting points of the problem concerning school-aged children and program purposes and activities emphasized. Third,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pre-model throughout case study, two or more viewpoints were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Other viewpoints or program purposes were not found, and educational viewpoint was essential in all the cases. Forth, the intrinsic value matrix and their relationship were realized and justified throughout the pre-model building and case study. Therefore, finally, the model of after-school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was built three-dimensionally. The model built throughout this study conceptualized and showed clearly the necessities of after-school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viewpoints headed by the program, program purposes and activities based on each viewpoint and the relationship of all of them.;이 연구는 학령기아동을 위한 방과후 프로그램이 제도적으로 시행되는 단계에서, 그것을 보는 관점을 범주화하여 이론적 모형을 만들고 사례를 통해 평가, 수정함으로써, 각 관점에 따른 프로그램의 목적과 내용의 관계가 구체화되고 정당화되어, 교육실제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안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학령기아동 대상 방과후 프로그램의 모형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목적 아래 제기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령기아동 대상 방과후 프로그램을 보는 관점은 무엇이며, 각 관점에 기초한 프로그램 목적과 활동내용은 무엇인가? 2. 현재 운영되고 있는 학령기아동 대상 방과후 프로그램 사례에서 각 관점과 프로그램 목적은 어떤 관련성을 지니는가? 3. 학령기아동 대상 방과후 프로그램의 모형은 어떤 방식으로 정립될 수 있는가? 이상의 연구목적과 연구문제를 위해, 연구방법과 절차로는 뷰챔프(Beauchamp, 1981)의 모형개발 원리를 적용하였다. 먼저, 문헌고찰을 하였다. 이를 통해, 학령기아동 대상 방과후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등장배경, 문헌에 나타나 있는 관점을 정리하여 방과후 프로그램에 내재되어 있는 관점을 범주화하였고, 방과후 프로그램의 포괄적 개념, 특성과 목적을 파악하고, 일반적인 프로그램의 목적과 활동내용을 관점에 따라 분류하여 이원도표를 만들었다. 또한 선행연구와 서울시내 현황을 파악하였다. 둘째, 문헌고찰결과를 바탕으로 예비 모형을 구성하고, 예비 모형을 교육실제에 비추어 평가해 보기 위해 사례연구를 하였다. 서울시내에서 방과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기관 형태별 현황을 표집틀로 하여 8개 기관을 비확률표집하고, 해당 기관의 프로그램 사례를 문서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이원도표 형태의 체크리스트를 이용해서 사례가 지향하는 관점들과 그 관점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헌고찰을 통해 구성된 예비 모형을 실제 사례에 비추어 본 결과로 학령기아동 대상 방과후 프로그램에 내재되어 있는 관점을 구체화 정당화함으로써, 학령기아동 대상 방과후 프로그램의 모형을 정립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학령기아동 대상 방과후 프로그램에 내재되어 있는 관점을 범주화한 결과, 복지적 관점, 교육적 관점, 지역 사회운동적 관점으로 정리되었다. 학령기아동 대상 방과후 프로그램에 내재되어 있는 복지적 관점은, 방과후 프로그램이 아동복지 차원에서 아동의 기본권과 복지권을 보장하여 그들에게 안전한 보호와 예방, 보상을 제공해 주며 약화된 가족의 아동보육기능을 지원해 주는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이 관점은 궁극적으로 가족 구성원과 가정생활 전반의 요구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원 및 지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는 가치를 내포하고 있었다. 교육적 관점에서, 방과후 프로그램은 학교교육과 사교육이 아동의 발달을 저해하고 있는 현실을 변화시키기 위해 학령기아동이 모든 발달영역에서 온전하고 조화로운 발달을 이룩하는 것을 지향하였다. 이는 또한 아동의 개성을 신장시키고 전인적인 인성을 기를 수 있도록 하며, 교육의 수요자에게 자발성과 선택권을 준다는 취지를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지역사회운동적 관점에서는, 방과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관이 지역사회기관으로서 지역사회와 주고 받는 상호작용을 하면서 지역사회의 요구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학령기아동들에게 지역사회적 유대감, 공동체의식, 민주시민의식 등을 느끼도록 하여 이를 통해 지역사회에 봉사하고 공헌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가치를 갖고 있었다. 문헌고찰에서 파악된 방과후 프로그램의 일반적인 프로그램 목적과 내용에서 각 관점에 따른 목적과 활동내용을 분류한 결과, 복지적 관점에 따른 프로그램 목적은 보호감독 및 예방, 보완, 가족지원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목적에 따라 하위활동내용 또한 분류되었다. 교육적 관점에 따른 프로그램 목적은 정서사회적 발달, 심미운동적 발달, 인지 및 기능의 발달, 특수요구적 발달로 분류되었으며, 지역사회적 관점에 따른 프로그램 목적은 사회화, 지역센터, 지역지원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문헌고찰에 근거하여 학령기아동 대상 방과후 프로그램의 예비 모형을 구성한 결과, 복지적 관점, 교육적 관점, 지역사회적 관점이 독립적으로 확장되거나 축소되는 일차원적 단선적인 형태로 구성되었다. 방과후 프로그램이 지향하는 위의 세 관점은 문제의 출발점, 강조하는 목적이나 그 목적에 따른 활동내용에 있어서 분명한 차이를 보였기 때문이다. 셋째, 사례연구를 통해 예비 모형을 평가해 본 결과, 8개 사례 중 한 개의 기관을 제외하고 모든 기관의 프로그램 사례에 두 가지 이상의 관점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었다. 기관별 방과후 프로그램 담당자들은 각 관점들이 서로를 보완하고 상승시키는 상호작용을 하며, 다양한 관점을 적절히 수용함으로써 교육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와 같이 실제에서는 복지적 관점, 교육적 관점, 지역사회운동적 관점이 특수하게 동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관점들과 상호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사례에서 교육적 관점이 필수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넷째, 예비 모형 구성과 사례연구를 통해, 학령기아동 대상 방과후 프로그램에 내재되어 있는 관점들이 현실화, 구체화되었고, 그들 간의 상호관련 형태가 드러났다. 이에 근거하여 방과후 프로그램의 모형은 삼차원적으로 정립되었다. 이 모형은 방과후 프로그램을 왜 설립 운영하며, 어떤 목적과 내용에 촛점을 두는가를 개념화시켜 시각적으로 보여주었다. 학령기아동 대상 방과후 프로그램의 모형을 정립한 이 연구는, 이론적으로 학령기아동 대상 방과후 프로그램이 왜 필요하고 어떤 목적 아래서 어떤 내용을 제공해야 하는가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안내할 수 있게 하였으며, 아동을 중심으로 가족구성원, 가정, 방과후 프로그램 운영기관, 지역사회가 생태학적으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 요소들 간의 상호관계 또한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연구해야 함을 시사해 주었다. 실제적으로는 학령기아동 대상 방과후 프로그램에 내재되어 있는 관점들이 상호관련되어 있어서 정부부처의 행정체계가 다원화된 상태에서는 일관되고 통합적인 정책과 제도의 마련이나 행정감독이 불가능하므로, 관련업무를 일원화하거나 조정기구를 둘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해 주었다. 또한 기관의 설립 및 운영방식과 교육과정 구성요소 간의 관계에 있어서, 관점의 상호작용 형태를 다양하게 드러내 줌으로써 기관 형태 별로 독특하고 다양하게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방식을 정당화시켜 주었으며,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교육과정 관련자 간에 관점을 공유한 후 교육적 관점과 그에 따른 프로그램 목적을 중심으로 개발해야 함을 시사해 주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