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현정-
dc.creator이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6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2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6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20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5세 유아의 어머니들의 자녀 양육 행동에서 나타나는 스트레스와 유아 스트레스 행동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 변인들인 유아 특성, 어머니 특성과 생활 스트레스는 유아 스트레스 행동과 어떤 관계를 가지며, 그 중 어느 변인이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에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지는 지를 살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가 인식하는 자녀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2.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의 하위 변인들과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2-1. 유아 특성과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2-2. 어머니 특성과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2-3. 생활 스트레스와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3.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의 하위 변인들 중 어느 변인이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에 가장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중류층 유아들이 취원하고 있는 서울시 목동 K유치원의 5세아반 두 학급 총 71명의 유아의 어머니에게 자녀 양육 스트레스 질문지를 배부하여 선정된 60명(남아 32명, 여아 28명)의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이다. 연구 도구로서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박해미(1994)가 Abidin(1983)에 의해서 개발된 PSI(Parenting Stress Index)를 번안ㆍ수정한 82문항을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을 관찰하기 위해서 Burts와 그의 동료들(1990)에 의해서 제작된 교실에서의 유아 스트레스 행동 (CCSB ; Classroom Child Stress Behavior Instrument)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의 각 하위 변인인 육아 특성, 어머니 특성과 생활 스트레스는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과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의 하위 변인인 유아 특성, 어머니 특성의 하위 변인들과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간의 상관을 알아본 결과, 유아 특성의 6개 하위변인인 과다활동성, 부모강화, 감정, 수용성, 적응성, 요구성 모두 유아의 전체 스트레스 행동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어머니 특성은 7개의 하위 변인 중 억압성과 배우자 관계 변인을 제외한 유능성, 애착, 우울감, 사회적 고립, 건강 변인이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생활 스트레스와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간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의 하위 변인들인 육아 특성, 어머니 특성, 생활 스트레스 중에서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에 가장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유아 특성이었으며 그 중 유아 특성의 하위 변인인 감정 변인이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에 대해 50%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감정 변인에 유아 특성의 하위 변인인 수용성 변인이 부가되었을 때 9%의 설명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간에는 많은 관련이 있으며,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변인들 중에서 유아의 특성과 관련된 변인이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을 가장 많이 설명해 준다는 것이다. 특히 어머니에게 자녀 양육 스트레스를 느끼게 하는 유아의 감정 변인과 수용성 변인이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에 대해 많은 부분을 설명해 준다고 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 between stress of mothers who have five-year-old children and stress behaviors- of their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stress behaviors of children and three maternal stress subscalel-child characteristics domain, mother characteristics domain and life stress scale, and especially to find out which one may predict stress behaviors of children better. For the above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1.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maternal stress and stress behaviors of children? 2.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maternal stress subscales and stress behaviors of children? 2-1.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child characteristics domain and stress behaviors of children? 2-2.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mother characteristics domain and stress behaviors of children? 2-3.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stress behaviors of children? 3. Which one of the maternal stress subscale is the best predictor of stress behaviors of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 children of five-year-old and their mothers in a kindergarten located in Mok-dong, Seoul, Korea. Maternal stress assessed through the questionnaire which was a modified version of PSI(Parenting Stress Index) structured by Abidin(1983). And the stress behaviors of children were observed through CCSBI(Classroom Child Stress Behavior of Children) which was created by Burts et al(1990).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shown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stress and stress behaviors of children. 2.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ress behaviors of children and three maternal stress subscales-child characteristics domain, mother characteristics domain, and life stress. Also,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subscales which one child characteristics domain, mother characteristics domain, and life stress scale of maternal stress subscales and stress behaviors of children,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ll of six subscales, hyperactivity/distractibility variable: mood variable, adaptability variable, demandingness variable, child reinforces the parent variable, acceptability variable of child characteristics domain and stress behaviors of children. Also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nly five subscales,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variable, parental attachment variable, depression variable, social isolation variable, parental health variable except restrictions of role variable and relationship with spouse variable of mother characteristics and stress behaviors of children. A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life stress and stress behaviors of children 3. In the maternal stress subscale, stress behaviors of children was mostly predicted by child characteristics domain, comparing to other variables. Especially, Stress behaviors of children(50%) was mostly predicted by mood variable of child characteristics domain and showed 9% increase of explanation power as acceptability variable of child characteristics domain was added to mood variable of child characteristics domain. This study was concluded that maternal stress has strongest relation to stress behaviors of children and the variable of child characteristics domain explains stress behaviors of children better than others. Especially, the mood variable and acceptability variable of child characteristics domain which make mothers feel the maternal stress explain stress behaviors of children better than oth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스트레스의 정의 = 5 B.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 = 8 C. 유아기 스트레스 행동 = 15 Ⅲ. 연구 방법 = 23 A. 연구 대상 = 23 B. 연구 도구 = 25 C. 연구 절차 = 33 D. 자료 분석 = 35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37 A.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 = 37 B.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하위 변인들과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과의 관계 = 39 C.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의 하위 변인들이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에 미치는 영향 = 44 Ⅴ. 논의 및 결론 = 49 A. 논의 = 49 B. 결론 = 52 참고문헌 = 56 부록 = 62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570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어머니-
dc.subject자녀양육-
dc.subject스트레스-
dc.subject유아-
dc.title어머니가 인식하는 자녀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 between perceived maternal stress and stress behaviors of their children-
dc.format.pageix, 8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