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8 Download: 0

학교교육 참여에 관한 서울지역 학부모의 의견 조사

Title
학교교육 참여에 관한 서울지역 학부모의 의견 조사
Other Titles
(A) SURVEY OF PARENTS' OPINIONS ABOUT PARTICIPATION IN SCHOOLING
Authors
원순식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학교교육서울지역학부모의견 조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Schooling is a important means for future life and has a great effect on Korean. Nevertheless the diverse groups are concerned in schooling, only State and school have the right and responsibility for schooling by this time. The parents are liable to the educational expenditure but have no voice in schooling.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reform bill announced in May 1995, Korean public school must construct the school council. School council consist of a principal, teachers, parents, local citizenry and discuss the main matters related to school management. The construction of school council purposes that the school organization turn to decentralization and openness. It also aims at extension the autonomy of site-based school and realization of school based management. This study will clear that it is necessary to decentralize school structure and for parents to involve in schooling.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ing is founded on the right of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and the principles of local self-government. The parents share the common responsibility with the schooling of their children to the school. More important matter is that school organization needs the decentralized structure and involvement of the groups which consist of schooling. This study investigated questions as follows. 1. It is checked on the parents' opinions about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ing. 2. It is examined into the parents' opinions about school council. 3. It is investigated that there are different opinion of parents in line with participation experience, parents' spontaneity, principal' attitudes, acknowledgment of school council. This study is carried out the survey. The subject of the survey is the parents whose children attend elementary or secondary school in Seoul. The sample covered 350 selected through a random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This study employed descriptive statistics as frequency, percent,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and analyzed the finding though reasoning statistics as chi-square, t-test. According the survey finding, parents show the positive attitudes in participation in schoolin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al' attitudes to parents and the information of school council. So that there are problems in communicating between school and parents. And the school organization is not open. It is necessary that the principal needs to exercise transformative leadership for changes of school structure decentralization and culture. And the school affords an opportunity of education for parents.;한국인에게 학교교육은 미래 생활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며 커다란 영향력을 갖는다. 학교교육은 교장, 교사를 비롯하여 학부모와 지역 주민, 학생까지 많은 집단이 관여하고 있음에도 지금까지 학교교육에 대한 권한과 책임은 국가와 학교만이 가지고 있었다. 학부모는 자녀의 교육에 대한 의무를 가지고, 공ㆍ사교육비를 전담하고 있었음에도 자녀가 받는 학교교육에 대한 발언권을 가지지 못해 왔다. 1995년 5월 발표된 교육 개혁안에 의해, 한국의 학교에는 '학교운영위원회'라는 제도가 마련되었다. 학교운영위원회는 교장, 교사, 학부모, 지역 인사 등으로 구성되어 학교 운영에 관련된 주요한 사안들을 심의한다. 단위학교에 학교운영위원회를 구성하는 것은 기존의 중앙집권적이며 권위적인 학교교육 조직을 분권화 하고 개방적으로 변화시키려는 의도이다. 교육부에서는 교육개혁안의 발표를 통해, 단위학교의 자율성을 신장하고, 그에 대한 책임을 부여하여 단위학교 책임 경영을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교육에 공동의 책임을 공유하는 학부모가 학교교육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한 일인가, 학부모들은 학교교육에 대한 참여 의식을 가지고 있는가를 밝혀보고자 한다. 자녀 교육에 대한 책임을 공유함은 부모가 자녀에 대해 지닌 교육권에 기초하며, 학교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은 교육자치제가 실시되고 있는 시점에서 지역 주민으로서의 권리이기도 하다. 더 중요한 일은 학교는 그 특성상 분권화된 구조와 학교교육을 구성하는 집단의 참여를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부모가 학교교육 참여에 대해 지닌 의견을 조사한다. 2. 학부모가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해 지닌 의견을 조사한다. 3.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경험 유무와 학부모의 자발성, 학교장의 태도,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인지도에 따라 학교교육 참여와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의견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힌다. 본 연구 문제를 다루기 위해 학교교육 참여와 학교운영위원회에 관한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서울시의 초ㆍ중ㆍ고등학교에 자녀를 둔 학부모이며, 무선 표집을 통해 500부의 질문지를 배부하여 383부를 회수, 77%의 회수율을 보였다. 조사 결과는 학부모들이 지닌 일반적인 의견을 파악하기 위해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를 이용하고, 집단과 변인에 따라 차이를 밝히기 위해 t 검증과 x^(2) 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학교는 목적, 일반적인 조직으로서의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학교만의 독특한 특성을 보인다. 학교는 전문적인 관료조직으로서의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조직화된 무정부 상태, 느슨한 구조를 지닌 체제로서의 특성을 나타낸다. 학교조직이 전문적이며, 불명료한 목적, 유동적인 참여, 이완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이해만으로는 학교를 이해하기에는 부족하다. 여기에 대안으로 등장한 개념이 공동체 개념이다. 공동체는 헌신에 의한 인간관계에 기초하며, 구성원들은 서로를 성숙시킬 상호의존성을 가진다. 공동체 구성원의 공유된 이념구조는 공동의 감정과 전통으로 구성원을 묶어 준다. 집합적인 '우리'는 의미 있는 관계망을 가지며, 공동의 장소를 공유하고 공동의 가치ㆍ감정ㆍ신념 가진다. 학교 조직에서는 조직 구성원의 전문성에 근거한 독립적인 활동이 일어나며, 학교의 느슨한 구조는 각 하부 단위의 자율적인 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학교조직의 특성은 상급자는 자신이 지닌 권한과 책임을 전문성을 지닌 하급자에게 위임하는 분권화를 필요로 한다. 분권화는 권력의 공유를 통해 실현될 수 있는데 권력공유는 조직 구성원 하나하나가 자기 자신이 될 수 있는 힘을 갖는 것에서 시작한다. 이 때, 권력은 '누구'에 대해 행사하는 힘이라기보다는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는 존재하는 힘과 행동하는 힘이다. 조직의 권력을 개인에게 다시 부여하면, 개인은 자기 정체성을 찾게 되고, 궁극적으로 공동체로서의 조직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중앙집권적인 조직 구조와 풍토를 가진 한국의 학교교육에서 분권화는 교육부가 현재 가진 권한을 단위학교로 이양해 실현하여야 한다. 분권화를 통한 권력의 공유는 조직 구성원의 적극적인 참여를 전제로 한다. 느슨한 구조로 폭 있는 학교가 공동의 목적을 지향하기 위해서는 개별 단위 협력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된다. 조직에서의 참여는 누가, 무엇에 대해, 어떻게 참여할 것인가라는 문제와 결정과정에의 참여라는 문제로 요약된다. 참여의 이슈를 다룰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참여가 단순히 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심리적인 만족과 관계된다는 점이다. 참여는 모든 문제가 모든 사람이 똑같은 비중으로 관여하는 것을 가리키지는 않는다. 실제적인 영향력과 함께 참여자의 만족을 가져올 수 있는 참여의 단계, 정도, 내용을 고려해야 한다. 교육에 있어 주민 참여의 근거는 교육권의 주체가 국민이란 점과 국민의 교육권 행사와 지방간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 교육 자치제가 요청된다는 점이다. 주민 본위의 민주적 교육 행정의 정착은 주민의 직접적인 참여로 이루어지며, 주민의 통합적인 의사를 기초로 교육정책을 결정할 때 원만한 정책 집행을 할 수 있다. 지방분권의 실현은 교육자치제의 기본적인 원리이다. 중앙정부의 권한을 분산, 이양하여, 각 지방의 특수성을 살릴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지방분권의 실현을 통해 지역 주민은 자율과 자치정신을 배우고 훈련할 수 있다는 점이다. 교육에 대한 지역 주민의 참여와 통제는 교육에 대한 부담과 학교의 책무성, 학교교육의 적절성을 고려할 때 더욱 요청된다. 학교가 학부모의 권리와 의무를 위임받은 기관이라 할 때,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공교육은 교육과 관련되는 집단의 의견을 반영하는 공공성을 지녀야 한다.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는 지역 주민으로서의 교육권리 행사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자녀의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일이다. 지금까지는 학부모들이 자신들이 가진 의견을 학교에 표현할 통로를 갖지 못해 왔지만, 학교운영위원회가 실시되는 지금은 제도적인 보장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조사 결과, 학부모들은 자신들이 지닌 교육권에 대해 높은 인식을 갖고 있으며, 학교교육 참여를 통해 자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부모의 위치를 자각하는 등의 효과를 경험하였다. 또한, 학부모들은 교사의 전문성을 인정하고 있었으며, 학교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학교가 학부모에게 교육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학부모들은 특히, 학교운영위원회의 기능에 대해 잘 알고 있지 못하였으며, 학교운영위원회와 육성회와의 차이를 인식하지 하여 운영위원으로 참여할 의사를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 또한, 학교장의 태도와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 사실에 대한 인지 여부에 따라 학부모가 지닌 학교교육 참여와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의견에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조사 결과 나타난 문제는 한국의 학교가 개방적이지 못하며, 분권화할 의사가 충분하지 못하다는 점이다. 중앙집권적이던 한국의 학교에 단기간 동안 정반대의 조직풍토가 형성될 수는 없다. 학교운영위원회의 정착과 같은 문제는 단순히 구조적인 변화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학교교육 구성집단이 학교교육에 대해 개방하고, 권력을 공유하겠다는 의식을 갖는 문제이기 때문에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는 학교의 문화가 달라지고 인간의 의식이 바뀌는 문제인데, 이러한 변화의 과정에서 교장의 지도력이 더욱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학교장은 학교교육과 미래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고, 협동과 참여를 허용하는 구조와 과정을 발전시키며 변화를 촉진하고 시도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학교장이 의식을 포함한 문화적인 변화를 꾀하며 발휘하는 지도력을 변환적 지도력이라 한다. 또한, 교육자치와 단위학교경영을 위한 기본적인 태도를 지닌 학부모가 실제로 단위학교경영의 정착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부모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교사와 학부모, 지역 주민이 동료 의식을 가지고 참여를 위한 학습과 훈련을 해야 참여정책이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참여와 주인의식의 행사라는 민주주의의 원리를 체험을 통해 습득하고, 내면화하는 과정은 교육의 기회 제공을 필요로 한다. 학교는 학부모에게 건강한 의식을 소유하고 행동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책임이 있으며, 학교교육 발전을 위해서도 부모교육은 필요한 일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