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9 Download: 0

포스트모던 교육의 위상

Title
포스트모던 교육의 위상
Other Titles
(The) educational phase in the postmodern perspective
Authors
박경민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포스트모던교육위상연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thesis on the permise that the modem and its perspective are on the decline in the late 20th century of science technological and imformation society of relativity and pluralism, and that such a atrophy of the modem contains the crisis of school system whose educational aims practice are based on it. This is to consider the ever-serious educational problems and to study educational phase in the postmodern perspective of the initiative contemporary thought: relativity and pluralism. In general,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modem are a trust of the eteral truth, a confidence in human cognitive faculties of that, and rational project for ideal social oder. It seemed to be that continued developments of science and industry proved that this confidence was true, but against its optimistic expectations, the prospects of modernity are in critical situation on account of occurrence of unhoped-for troubles: World War of two times, international disputes without a break, and ecological disruption caused by enviromental pollution, etc. These critiques of the modern get joined on critiques of education of which Enlightment made a plan and the modern formulate a system. The physical and epistemological changes which represented by the Einstein theory and the uncertainty principle, give emphasis to relativity and uncertainty of truth against absolutism of the modern, like elitism, authority, and scripturalism. These tendency coming out a new trend 'Postmodernism'. A current of the postmodern making no mention of education at first-hand and systematically, but including critiques of educational aims, curriculum and system as parts of philosophy and social system. In these comment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scrib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modern education, and to present the Postmodern perspective about thes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Mordernism. And this is to make overture that is needed for the new educational phase in the late 20th century of science technological and imformation society. To begin with, in chapter 11, this research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sm that had grew out of .influence of Enlightment, and indicates relation between the modern education is built in the same way, for studies educational problems which maybe the limitation of the modern itself. Chapter 111 introduces Postmodernism in scientific, cultural, and philosophical terms, and explains these limitations of the modern in the postmodern perspective and studies what effect the view of poststructualism as philosophical terms of Postmodernism would have on education. Postmodernism in cultural and social side has been describing the changes of the late 20th century, on the contrary poststructualism has deep influence on education because it has been presenting theoretical flamework with critique of the modern perspective and reconversion of epistemelogy. Accordingly, this is to find out what educational character this flamework shows up. Lost of all, Chapter Ⅳ in which point the postmodem has been criticizing the modem education, and makes alternative measure under the postmodern influence it is a possibility that school can include heterogeneous parts of postmordern peculiarity. Though Postmodernism gave rise to much controversy and which has going on, already it has been a part of our everyday life, and has got in our dominant social and cultural theory. Therefore, independently of these disputes, it needs to clear about the meaning of Postmodernism and carefully examin the proposal of the postmodern education. Postmodernism and its perspective need a whole investigation of actual conditions and educational curriculums in every educational sides, and disclose the fabrication and impracticality of education's epistemological and metaphysical presmise. Renunciation of knowledge that has a precondition of singularity contains the various opinions and plural views. Accordingly, education is concerned about new sides of recognition: Imagination, Intuition, Inspiration for the subjectivity and aesthetic sensitivity of personalilty.;이 글은 현재의 교육이념과 제도가 바탕을 두고 있는 근대사상과 그 세계관이 20세기 후반에 들어 많은 부분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이러한 비판을 근거로 한 근대성의 한계와 문제점들이 교육의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고 본다. 상대적이고 다원적인 성격이 지배적인 20세기 말의 상황에서 한층 두드러지며 심화되고 있는 교육의 문제점들을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근대성을 비판하고 있는 포스트모던의 관점에서 교육이 어떤 위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인지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대사상은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진리, 그것을 인식할 수 있는 인간 이성에 대한 확신, 이상적 사회질서에 대한 합리적 계획, 지식과 생산의 표준화에 대한 믿음 등으로 특징지워진다. 계속되는 과학적·산업적 발달은 그러한 믿음을 증명하는 듯 했으나, 두 차례의 세계대전과 끊이지 않는 민족 분쟁들, 환경오염으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 등, 합리적 측면에서는 예상치 못했던 문제들이 생겨남에 따라 낙관적이던 근대의 전망은 많은 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근대교육은 계몽주의에 기초하여 근대사상에 의해서 체계가 잡힌 것으로서, 근대성에 대한 비판은 많은 부분 교육에 대한 비판을 내포하고 있다. 상대성 이론, 불확정성 이론 등으로 대표되는 금세기 초의 물리학적·인식론적 변화는 엘리트주의, 권위주의, 경전주의와 같은 근대의 절대주의에 반하여 이러한 보편적 가치를 부정하고 진리의 다원성과 상대성, 불확실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새로운 사조로 나타나고 있다. 포스트모던 사상은 교육에 대한 직접적이고 체계적인 언급은 하고 있지 않지만, 근대성에 대한 다각적인 비판 속에서 철학으로서의 교육이념과 사회제도로서의 교육제도에 관한 비판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한 비판 속에서 근대성에 입각한 교육의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포스트모더니즘의 논리 안에서 도출될 수 있는 교육의 모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같은 작업을 위해서 먼저 계몽사상의 영향 아래서 발달한 근대성의 특징을 서술하고, 교육의 성격과 발생에서 보이는 근대성과의 관련점을 지적함으로써 근대성의 한계가 교육에서의 문제점으로 나타남을 밝혔다. 그리고 이러한 근대성의 한계를 포스트모더니즘이라고 하는 새로운 세계관에서 찾아보고, 철학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이라고 할 수 있는 포스트구조주의 이론들에서 교육적 시사점을 찾아 보았다. 문화적인 포스트모더니즘이 20세기 후반의 변화상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는 반면, 포스트구조주의자들은 근대적 세계관에 대한 비판과 포스트모던적인 인식의 전환에 대해 이론적인 틀을 제시하고 있어 교육학과의 관련성이 크다. 이에 기초하여 마지막으로 근대적 교육에 대한 포스트모던적 관점과, 근대적 교육에 대한 비판에 기초한 교육학적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급격한 과학·기술·정보사회로의 변화는 새로운 사회·문화적 욕구를 창출하였고, 이러한 포스트모던한 상황에서의 교육은 이제까지의 근대적 교육에서 소홀히 해왔던 실용적인 측면과 내용의 다양화, 단순한 지식의 습득보다는 창의성과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교육의 실제적 조건과 교육과정 문제들을 검토하게 한다. 20세기 후반의 지배적인 사회·문화논리로 대두되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은 그것이 포함하고 있는 여러가지 논란이 아직 계속되고 있지만, 그러한 논란만을 계속하기에는 이미 우리의 사회·문화 속에 깊숙히 들어와 생활의 일부분이 되어있다. 그러므로 그러한 논쟁과는 별도로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과 그것이 함의하고 있는 바를 명확히 하여 그것이 제안하는 바를 신중하게 검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글은 교육의 근원적 문제들을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기본적인 관점의 변화를 통해서 확인하려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