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숙영-
dc.creator김숙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7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5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1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59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모의 사회적 지원체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인지 발달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함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의 크기와 구조, 기능은 어떠한가? 1-1.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의 크기는 어떠한가? 1-2.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의 구조인 '대화'와 '사귄기간'은 어떠한가? 1-3.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의 기능인 '도움정도', '도움의 만족도', '필요시 도움청하기', '갈등'등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는 상관이 있는가? 2-2.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의 크기, 구조, 기능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는가? 3.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와 유아의 인지발달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와 유아의 인지발달과는 상관이 있는가? 3-2.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의 크기, 구조, 기능은 유아의 인지발달에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특별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3곳에 재원 중인 연구 당시 연령이 3년 9개월에서 4년 3개월 사이의 유아 57명과 그 취업모들이다. 연구 도구는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의 측정으로는 Melson과 Ladd와 Hsu(1993)가 사용한 'Maternal support network'을 번안하여 사용하였고,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인지 발달의 측정은 이은화·이상금·이정환·이경우·이기숙(1992)이 '한국 4세 유아의 발달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 중 해당되는 발달 부분의 검사를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Pearson의 상관 계수와 사회적 지원체계의 크기, 구조, 기능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서 요인 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의 상태에서 지원체계의 '크기'인 지지제공자의 평균 6명으로 열명이라고 응답한 어머니가 전체 21%로 가장 많았으며, 지원 체계의 구조인 '대화정도'는 일주일에 한번 정도가 25명으로 전체 43.8%로 가장 많은 비율을 보였고, '사귄기간'은 11년 이상 14년 미만이 20명으로 전체 35.1%의 가장 많은 비율을 보이고 있고 평균 11.6년이었다. 지원체계의 기능인 '도움정도'는 '보통'이 전체 56.1%로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도움의 만족도'는 '보통'이 전체 47.4%이고 '만족'이 45.6%로 '보통'과 '만족'이 1명 차이로 근사한 비율을 나타냈다. '필요시 도움청하기'는 정도는 '보통'이 전체 49.1%로, '갈등'은 '약간 있다'가 전체 56.0%로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냈다. 즉 '도움정도'나 '도움의 만족도', '필요시 도움청하기'는 모두 '보통' 정도가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갈등'은 '약간 있다'가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냈다. 2.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상관관계는 유아의 사회적 기술 점수가 지원체계의 기능인 '도움정도'에서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사회적 사고의 '자아와 가족에 대한 지식'과 '타인의 역할에 대한 지식'의 점수는 지원체계의 기능인 '갈등'과 유의한 부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시간과 성장에 대한 지식'의 점수는 지원체계의 '크기'와 유의한 부적인 상관을 보이면서 지원체계의 구조인 '사귄기간'과는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이와같이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하위 영역들과 상관을 나타내고 있으며,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어머니가 지지제공자로 부터 도움을 많이 받고 이들과 자녀양육에 대한 갈등이 없으며, 또한 적은 인원의 지지제공자와 지속적으로 오랜 기간 관계를 유지할수록 그들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발달되어 있다고 하겠다.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의 크기, 구조, 기능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볼 때, 사회적 기술의 점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4%의 영향력을 미쳤고, 사회적 사고의 하위 영역인 '자아와 가족에 대한 지식'의 점수에 미약한 2%의 영향력을, 그리고 '타인의 역할에 대한 지식'에는 6%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둘 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반면 '시간과 성장에 대한 지식'에는 지원체계의 크기가 영향에 가장 많은 설명력을 나타내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16%의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3.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와 유아의 인지 발달간의 상관관계는 유아의 '공간관계'에 대한 점수가 지원체계의 '크기'와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면서 지원체계의 기능인 '갈등'과는 유의한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양'의 점수는 지원체계의 기능인 '도움정도'와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보였고, '시간'의 점수는 지원체계의 '갈등'과 유의한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이처럼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와 유아의 인지 발달의 하위 영역간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린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어머니에게 지지제공자가 많고 이들의 도움을 많이 받으면서 자녀 양육에 대한 갈등이 없는 어머니일수록 그들 유아의 인지는 발달되어 있다고 하겠다. 어머니의 지원체계의 크기, 구조, 기능이 유아의 인지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볼 때, 인지 발달의 하위 영역인 '공간관계'의 점수에는 지원체계의 크기가 영향에 가장 많은 설명력을 나타내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14%의 영향력을 나타냈고, '양'의 점수에는 5%, '시간'의 점수에는 2%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두 점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지 못하였다.;This study eximines the relations between employed mother's social support networks and young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cognitive development.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selected: 1. How are the size, structure, and function of maternal social networks? 1-1. How is the size of maternal social networks? 1-2. How is the structure of maternal social networks? 1-3. How is the function of maternal social networks? 2. What relations exist between maternal social networks and child's social competence? 2-1.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social networks and child's social competence? 2-2. How much do the size, structure and function of maternal social networks influence on the child's social competence? 3. What relations exist between maternal social networks and child's cognitive development? 3-1.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social networks and child's cognitive development? 3-2. How much do the size, structure and function of maternal social networks influence on the child's cognitive development?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57 four-year old children from 3 Children's Houses in Seoul, and their employed mothers. Two kinds of instruments are used. One is Maternal support networks by Melson, Ladd, and Hsu for mothers, the other is Children's development rating scales for social competence and cognitive development by Eun-wha, See, Sang-keem, Lee, Joung-whan, Lee, Koung-woo, Lee, Kee-sook, Lee for children. The analyzing methods of datum were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percentag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1. Most of mothers, 'size' was about six, 'frequency of contact' was one time a week, 'contact duration' was about 11.6 years, 'helpfulness of support' was normal, 'satisticfation with support' was normal, 'willingness to seek support' was normal, 'conflict with members' was a little. 2.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maternal social networks and child's social competence. The more the helpfulness of support was, the less conflict with members was, the more duration contact with small members, the much child's social competence was developed The size, structure, and function of maternal social networks influenced on the child's social competence. Especially The knowledge about time and growing' had been significantly influenced by maternal social networks. 3.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maternal social networks and child's cognitive development. The more the helpfulness of support was, the less conflict with members was, the much child's cognitive development was developed. The size, structure, and function of maternal social networks influenced on the child's cognitive development. Especially 'The knowledge about space' had been significantly influenced by maternal social network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사회적 지원체계의 개념 및 측정방법 = 6 1. 사회적 지원체계의 개념 = 6 2. 사회적 지원체계의 측정방법 = 8 B.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인지 발달 = 10 1. 유아의 사회적 능력 = 10 2. 유아의 인지 발달 = 18 C.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와 유아 발달 = 22 D. 취업모의 자녀양육에 대한 지지 실태 = 26 E. 선행 연구 = 29 Ⅲ. 연구 방법 = 32 A. 연구 대상 = 32 B. 연구 도구 = 34 C. 연구 절차 = 36 D. 자료 분석 = 38 Ⅳ. 결과 및 해석 = 40 A.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의 상태 = 40 1.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의 크기의 상태 = 40 2.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의 구조인 '대화'와 '사귄기간'의 상태 = 41 3.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의 기능인 '도움 정도', '만족도', '필요시 도움청하기', '갈등'의 상태 = 43 B.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 45 1.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상관관계 = 45 2.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의 크기, 구조, 기능이 유아의 사회적능력에 미치는 영향력 = 47 C.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와 유아의 인지 발달의 관계 = 51 1.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와 유아의 인지 발달의 상관관계 = 51 2.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체계의 크기, 구조, 기능이 유아의 인지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 = 52 Ⅴ. 논의 및 결론 = 55 A. 논의 = 55 B. 결론 및 제언 = 58 참고문헌 = 60 부록 = 67 ABSTRACT =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947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취업모-
dc.subject사회적지원체계-
dc.subject유아-
dc.subject사회적능력-
dc.subject인지발달-
dc.title취업모의 사회적 지원체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인지 발달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relationship between employe mother's social support networks and young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cognitive development-
dc.format.pagexi, 10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