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647 Download: 0

유아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실태와 인식조사

Title
유아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실태와 인식조사
Other Titles
Survey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nd Recognition on the Early English Education
Authors
김은아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Keywords
유아조기영어교육실태인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실태를 알아보고, 유아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을 조사하여 유아교육 관계자들에게 유아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실태는 어떠한가? 2. 유아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1. 유아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어떠한가? 2-2. 유아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한가? 2-3. 유아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있는 유치원 72개의 유치원 교사 305명과 어머니 311명 이었다.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작성한 질문지였으며, 연구방법은 질문지조사법이었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 백분율, x^(2)검증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실태는 다음과 같았다. 유치원에서의 조기영어교육은 연구대상 교사들이 재직중인 유치원의 과반수(51.4%)에서 실시되고 있었으며, 현재 실시하지 않는 유치원들 중 과거에 실시했던 경험이나 미래에 실시할 계획이 있는 곳도 있었다. 유치원에서의 조기영어교육에 시작시기는 94년이후에 시작한 곳이 많았으며, 실시계기로는 원장님의 교육방침에 의해서가 대부분이었다. 영어전담교사에 의해 대그룹활동으로 실시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수업횟수 및 시간은 주 4-5회 10-20분 정도였다. 교육내용은 듣기와 말하기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교육방법은 노래·손유희의 방법과 시청각교재를 활용하는 방법이, 교재 교구로는 그림카드, 녹음테이프가 많이 사용되었다. 유치원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만족도에서 교사들 중 과반수가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2. 유아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았다. 2-1. 교사들은 조기영어교육 필요성에 대해 필요하다는 긍정적 인식(59.0%)이 과반수 이상이었다. 조기영어교육의 필요 이유로는 자연스러운 환경속에서 유아가 이미 영어와 자주 접하고 있으므로가, 불필요 이유로는 모국어 습득에 장애가 되므로가 많았다. 조기영어교육의 유치원실시에 대해서도 찬성한다는 긍정적 인식(51.1%)이 과반수였다. 조기영어교육의 유치원 실시에 찬성 이유로는 자연스러운 환경속에서 유아가 이미 영어와 자주 접하고 있으므로가, 반대 이유로는 현실 여건상 조기영어교육을 할 만한 준비가 되어있지 않으므로가 많았다. 조기영어교육을 실시할 경우에 적합한 교육내용으로는 듣기 말하기, 교육 방법으로는 노래·손유희의 방법과 시청각교재의 활용방법, 교재교구로는 비디오테이프 그림카드, 담당교사로는 외국인영어교사를 인식한 경우가 많았으며, 현재 여건상 문제점으로는 교육방법의 문제가 많이 지적되었다.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정보자원으로는 TV·라디오와 신문·잡지가 많았다.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관심도에는 보통이다라는 반응이, 지식의 정도에는 모른다는 반응이 많았다. 2-2. 어머니들은 조기영어교육 필요성에 대해 필요하다는 긍정적 인식이 대부분(86.5%)이었다. 조기영어교육의 필요 이유로는 앞으로 다가오는 사회에서 누구에게나 영어사용이 필요하기 때문이 많았다. 조기영어교육의 유치원실시에 대해서도 찬성한다는 긍정적 인식(84.8%)이 대부분이었다. 조기영어교육의 유치원 실시에 찬성 이유로는 언어학습은 조기에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과 자연스러운 환경속에서 유아가 이미 영어와 자주 접하고 있으므로가 많았다. 조기영어교육을 실시할 경우에 적합한 교육내용으로는 듣기 말하기, 교육방법으로는 교구를 이용한 놀이활동 방법과 노래·손유희의 방법, 교재교구로는 비디오테이프와 그림카드, 담당교사로는 외국인영어교사를 인식한 경우가 많았으며, 현재 여건상 문제점으로는 교사의 문제가 많이 지적되었다.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정보자원으로는 TV·라디오와 신문·잡지가 많았다.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관심도에는 보통이다라는 반응이, 지식의 정도에는 보통이다와 잘안다는 반응이 많았다. 2-3. 교사와 어머니에 따라 유아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조기영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어머니들이 교사들보다 필요하다는 인식이 많았으며, 유치원에서의 실시에 대해 어머니들이 교사들보다 찬성의견이 많았다. 또한 조기영어교육의 관심도에서 어머니들이 교사들보다 관심이 높았으며,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자신들의 지식 정도에 대해서도 어머니들이 교사들보다 잘안다는 인식이 많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urnish some fundamental data about the Early English Education to the Childhood Educationalists. The study includes the actual condition of the Early English Education in the kindergartens and except in kindergartens, and the recognition of some teachers and mothers. The concret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is the actual condition of the Early English Education? 2. How is the recognition on the Early English Education? 2-1. How is the teacher's recognition on the Early English Education? 2-2. How is the mother's recognition on the Early English Education? 2-3. Is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er's and mother's recognition on the Early English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5 teachers in 72 kindergartens and 311 mothers in Seoul. The study was performed by a questionnaire made by this reseacher, a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and x^(2)-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ctual condition of the Early English Education is as follows. The majority of the kindergartens are performing are performing the Early English Education. Some of the kindergartens have experienced the Early English Education, and others have plan to perform the Early English Education in the future. The greater part of the kindergartens began the Early English Education after 1990, especially in the 1994. Group activities are used by an English teacher who takes whole charge. They perform the Education in 10 to 20 Minutes from twice or three times to four or five times in a week. In the content of education, listening and speaking take most part. In the method of education, using songs, finger play and audio visual aids takes most part. Picture cards and recorded tapes are most popular teaching aids.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are satisfied with the Early English Education. 2. The recognition on the Early English Education is as follows 2-1. Teacher's recognition on the need of the Early English Education, and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Early English Education in the kindergartens is positive. They think that listening and speaking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ontent of education, and using songs, finger play, and audio visual aids is necessary in the method of education. They think recorded tapes and picture cards are appropriate for teaching aids, and native speakers are preferable as teacher. They indicate that there are some problems in the method of education. They get information from TV. radio, newspapers and magazines. They have average concern with the Early English Education and they think their knowledge of the Early English Education is insufficient. 2-2. Mother's recognition on the need of the Early English Education, and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 in kindergartens is very positive. They recognitive that listening and speaking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ontent of education, and using songs, finger play and teaching tools is necessary in the method of education. They think video tapes and picture cards are appropriate for teaching aids, and native speakers are preferable as teachers. They indicate that there are some problems in teacher's qualifications. They get information from TV, radio, newspapers and magazines. They have average concern with the Early English Education. Some mothers think they have average knowledge of the Early English Education. Others think they know well about the Education. 2-3. There are some recognition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ers and mothers. Mothers' recognition on the need of the Early English Education, and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 in kindergartens is more than teachers' recognition. Mothers have more concern and knowledge about Early English Education than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