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4 Download: 0

신문의 이익집단 보도연구

Title
신문의 이익집단 보도연구
Other Titles
Study on Media Visibility of Internet Group : mainly on press report
Authors
洪朱賢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Keywords
신문이익집단보도집단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우리는 이익집단의 수의 증가와 함께 이들의 활동이 언론에 자주 보도되고 행정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본다. 이익집단에 대한 언론보도는 집단의 입장에서 보면 자신들의 활동을 알릴 수 있는 중요한 통로이다. 따라서, 이익집단의 활동이 언론에 보도되었다는 사실도 중요하지만 이익집단의 목적달성에 보다 필요한 것은 언론을 통해 공증이나 정책입안자에게 이익집단의 요구사항이나 활동사항을 구체적으로 알림으로써 활동·목표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것이다. 언론의 보도에 의해 중요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그에 관한 여론이 형성되면 그들의 요구를 관철시킬 수 있는 보다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익집단에 대한 언론보도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이익집단에 대한 언론 보도를 좀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이익집단의 매체가시성(media visibility) 에 촛점을 두고, 이익집단의 속성과 이익집단의 매체가시성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혀보고자 고안되었다. 우리나라 언론의 이익집단보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실을 감안하여 이익집단에 대한 언론보도의 실태를 파악하는 것도 본 연구의 중요한 목적이었다. 본 연구는 언론의 이익집단에 대한 경향을 분석하는 실태조사부분과 조직책·사회 관여도·정치지향성·정치력과 같은 집단의 속성과 이익집단의 매체가시성과의 상관 관계를 규명하는 가설검증 연구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이익집단의 매체가시성은 양적차원과 질적차원에서 개념화되었다. 매체가시성의 양적차원은 기사의 길이로, 질적차원은 기사에서 제기된 문제의 쟁점화 수준으로 보았다. 매체가시성의 질적차원에서 이익집단에 대한 기사는 단순한 사실만 전달하는 현상적 보도에서부터 쟁점화의 수준이 점차 높아지는 쟁점보도의 단계까지, 현상적 보도, 구체적 사실보도, 설명적 사실보도, 쟁점보도 등의 4단계로 개념화되었다. 선행연구를 근거로 이익집단의 조직력, 사회관여도, 정치지향성, 정치력 등이 이익집단의 매체가시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았다. 이익집단의 속성과 매체가시성개념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1991년 1월 1일부터 1995년 3월 30일까지 중앙 9개 일간지의 보도기사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9개의 중앙일간지에 실린 이익집단에 대한 언론보도 기사들중에서 411개의 기사를 난수표를 이용하여 무작위추출하였다. 추출된 보도기사 한개를 분석단위로 하였다. 표본추출된 411개의 기사에 언급된 54개 이익집단의 속성은 그 집단들의 사법보고서, 정기총회자료집, 연차보고서, 예산서, 간행물, 연감, 통계자료, 인명부, 국회회의록 등을 자료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신문의 이익집단 보도실태조사와 가설검증결과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1. 이익집단에 대한 언론보도경향 실태조사 이익집단에 대한 언론보도는 보도기사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단순사실보도가 가장 많았고, 쟁점이 제시된 기사의 수는 적었다. 쟁점이 제시된다고 하더라도 쟁점의 근거(원인), 쟁점의 평가까지 기사에서 다루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대부분의 집단에 대한 기사는 현상적 보도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고 보도량이 커도 쟁점화의 수준이 낮은 활동위주의 보도가 많았다. 높은수준의 쟁점보도는 경제단체를 비롯하여 몇몇 집단에 한정되어 있었고, 여성단체, 환경단체, 노동단체들이 제시한 문제가 중요만 쟁점으로 부각되어 보도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기사에서 다루어진 쟁점은 경제단체에 관한 것이 가장 많았으며 그 중에서도 경제정책, 물가안정에 대한 기사가 주를 이주고 있었다. 경제분야 다음으로는 노사관계, 교육문제, 정치문제, 농업문제의 순으로 쟁점화가 되었다. 여성단체와 환경단체는 90년 이후 여성의 정치참여와 관련된 정치관련법 개정, 리우 환경회의 이후 고조된 환경문제의 심각성이 중요한 쟁점임에도 불구하고 다른분야에 비해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이익집단에 대한 기사중에서 일탈기사가 차지하는 비율은 3.6%였다. 일탈기사에 집단은 대부분 노동집단과 재야단체였다. 이는 노동집단과 재야단체가 경제단체나 시민단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집단의 지위가 낮으므로 비제도적인 이익표출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행위에 의해 언론의 주목을 받는다는 사실을 뒷받침해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기사에 등장한 이익집단들의 중의 속성은 다음과 같다. 집단의 회원수는 대부분 만명에서 오십만명사이에 몰려 있었으며 주로 전국적인 조직을 가진 집단들이었다. 경제단체, 소비자단체, 법조단체, 시민단체 등은 재정력이 거의 10억이 넘었고 몇몇을 제외한 대부분의 여성단체와 환경단체들은 재정상태가 그다지 좋지 않았다. 권력차원의 공식적·비공식적 활동은 경제단체가 가장 많이 활발하게 하였고 대중적 차원의 활동과 일탈적 정치활동은 노동·농민단체가 주로 하였다. 집단의 사회에 대한 관여도를 보면 정책활동은 경제단체, 시민단체가 활발히 벌이고 있었으며 연구·조사활동은 소비자단체가, 조직이미지개선활동은 여성단체가 높은 수준의 활동을 하였다. 이러만 활동은 단체의 성격에 따라 차이가 있어 각 단체가 중점적으로 어느 활동을 하는지를 알 수 있었다. 경제단계, 법조단체, 몇몇 여성단체들이 높은 정치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동단체·농민단체·전교조 등의 집단들은 낮은 정치력을 갖고 타집단에 비해 비제도적 이익표출활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2. 가설검증결과 집단의 정치력이 높은 집단은 제도적 이익표출방법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의 조직력을 인적자원과 물적자원으로 보고 매체가시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집단의 인적자원의 차이는 신문의 보도량에 중요하게 작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적자원과 매체가시성의 양의 관계에서는 집단의 재정력이 크면 집단의 매체가시성의 양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의 사회관여도와 매체가시성의 양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의 정치지향성은 공식적 권력차원의 활동, 비공식적 권력차원의 활동, 대중적 권력차원의 활동, 일탈적 정치지향성으로 나누었다. 이러한 집단의 정치지향성과 집단에 대한 언론의 보도량과의 관계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집단의 정치력은 입법추진력, 정치추진력, 대행정부관여도로 나누었다. 집단의 정치력을 측정하는 항목중에서 입법추진력은 언론의 보도량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익집단의 속성과 매체가시성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한 곁과는 다음과 같다. 집단의 사회관여도중에서 정책활동과 조직이미지개선활동은 신문이 쟁점을 부각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집단의 공식적·비공식적 권력차원의 활동도 쟁점화의 수준을 높이는데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집단의 정치력의 차이 역시 쟁점중심의 보도에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이익집단에 대한 언론보도의 경향에서 밝혀졌듯이 언론은 특정 집단에 대해 중점적으로 보도를 하고 있으며 행정부에 대한 이익표출활동이 활발한 집단에 대해 쟁점화의 수준이 높은 보도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tendencies of press report about interest groups and at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ibutes of interest group and and media visibility. For this purpose, media visibility was conceptualized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of the report, the former of which refers to the length of written article in the media and the latter of which refers t o salience of the interest group and its activities in the media. The four concepts which influence the interest group's media visibility have been sorted out. The first concept was the group's organizing power which has been measured by the number of group members and its financial capacity. The second concept was the degree to which an interest group is involved in the social matters. We thought the above tendency would contribute to media visibility. The third one, the group's political orientation, meaned its efforts to affect the political progress. We saw this tendency effect its media visibility. The last one was the group's political power, which is regarded as associated with media visibility when how efficiently and in what degree the interest group can affect the policy decisions. The content analysis on interest group's records, articles from nine daily newspapers between 1991 and 1995, was designed to verify the hypotheses. And the data on the group's activities such as business reports, regular general meeting data, annual reports, budget papers, periodicals was analyzed substantially.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First, Analyzing the tendencies of press report about interest groups, it was revealed that simple reports of facts were most frequently seen while the articles presenting the issues were few. Even when issues were presented, the ground of issue or evaluation of it was hardly dealt with. Higher leveled reports of issues were limited to a few several groups including economical groups and the reports which deal with the matters raised by woman, environmental and labor groups were hardly to be seen. Second, the economical groups mostly have higher degree of political orientations, were active in their policy making activities and therefore possessed strong political power. On the contrary, women's groups and consumers' groups were outstanding in their activities for improving the image of the organization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Labor groups had a rather low political power, and were dependent upon rather noninstitutional activities such as demonstration. Third, the higher the level of the group's financial capacity, the quantity of media visibility was larger. Forth, policy making activities and activities for improving the organizations's image had an interrelation with the quality of the group's media visibility. Fifth, when the group's political power was strong, the level of its media visibility was high. Consequently speaking, it has become apparent that the media visibility of the interest groups was complexly determined by its financial capacity, degree of social involvement, political orientation, and political pow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