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미경-
dc.creator박미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1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8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0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89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들의 특성과 이들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교육 실행에 대한 어려움을 심층면담을 통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를 통해 본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의 특성은 어떠한가? 2.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를 담당하는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도시·농촌 지역 모두를 포함해서 결혼이민자 가정이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는 경기, 충남, 경북, 전북 지역의 유치원에서 근무하며 현재 결혼이민자 자녀를 담임하고 있는 유아교사 10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심층면담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면담 시기와 교사에 따라 비구조화된 질문과 구조화된 질문을 병행, 사용하였다. 2006년 7월부터 10월까지 교사별로 각 2회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약기와 녹음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분석은 전사, 자료통합, 영역분석, 자료 범주화, 범주분석, 의미 해석의 단계로 이루어졌으며 최종 범주는 유아의 특성(언어발달 양상, 또래관계 형성, 문화적 정체성 자각 형태)과 교사의 어려움(교육과정 운영, 유아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 사회적 지원)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를 통해 본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의 특성은 언어 발달 양상, 또래관계 형성, 문화적 정체성 자각 형태면에서 나타났다. 먼저 언어발달 양상은 구어능력에 있어서 언어적 미숙으로 침묵하거나 교사가 길게 물어도 짧게 대답하는 가하면 말보다는 주먹이 앞서는 형태로 보여졌고, 문해능력에 있어서는 더딘 발달을 보이거나 문해활동을 기피하는가 하면 부모의 문자 학습에 대한 지나친 강조로 글자는 바르게 쓰지만 읽지는 못하는 형태도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또래관계 형성은 혼자서 놀이 하는가 하면 소극적으로 친구를 따라다니고 있었고, 때로는 적극적으로 자신의 ‘다름’ 자원을 활용하여 친구가 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문화적 정체성 자각은 어머니 나라에 대해 무시하거나, 언급을 회피하며 한국 사람으로만 자각하는 형태와 현재 살고 있는 한국과 어머니 나라 모두를 자신들의 나라로 인식하거나 다른 아이들의 어머니 나라와 다름에 대해 혼란스러워 하고 있는 형태로 나타났다. 이처럼 결혼이민자 가정의 유아들은 다양한 특성을 보이며 변화와 어울림을 통해 나름대로 적응하고 있었지만 일부는 더딘 언어발달로 인한 침묵하기와 공격적 성향을 보이는 가하면 정체성 혼란으로 인한 위축된 모습과 폭력성 등 문제행동을 보이기도 하였다. 둘째,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를 담당하는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으로는 먼저 교육과정 운영 측면에서 유아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경험의 부족, 실제적 적용에 있어서의 한계로 인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유아와의 관계 측면에서 교사의 손길이 별도로 필요한 유아와 상대적으로 관심이 저조하여 묻혀지는 유아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는가 하면 부모와의 관계 측면에서는 차단된 가정사로 인한 부모의 폐쇄적 태도와 자녀에 대한 양극화된 기대로 인한 부모의 부적절한 교육태도가 협력적 관계형성의 걸림돌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사회적 지원 측면에서는 제도적으로 가중된 부담과 언론의 편파적인 접근 및 사회경제적 지원 부족으로 인해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를 담당하는 것이 홀로 감당해야 하는 짐으로 인식되어짐에 따라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결혼이민자 가정의 유아를 담임하는 교사가 직면한 여러 가지 어려움은 교사의 적절한 지도에 애로를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교육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다양한 지원이 요구된다. 또한 교사의 어려움은 교사의 태도와 역할을 시사하기도 하는데, 교사는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가 제공해 준 문화적 다양성이 풍부한 교실에서 모든 유아들이 함께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고 교류하며 학습할 수 있는 좋은 교육적 환경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aits of the children from the families of marriage immigrants wer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difficulties of kindergarten teachers responsible for them through in-depth interviews. For the above goals, the research questions included: 1. What are the traits of the children from the families of marriage immigrants wer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 2. What are the difficultie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responsible for the children from the families of marriage immigrant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ten kindergarten teachers responsible for the children from the families of marriage immigrants in Gyeong-Gi, Chung-Nam, Gyeong-Buk, and Jeon-Buk providences. From July, 2006 to October, 2006 data for this research were collected by 2 in-depth interviews with each teacher, photographing, written documents and samples of children's work. Every interview process was tape-recorded and transcribed. This researcher also took a field note on her impression about the interview during or right after each interview.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the following procedures; a) transcription of recorded interview contents and writing interview notes, b) integra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narrative description data, interview data and other data, c) domain analysis, d) data classification, e) taxonomy analysis, f) interpretation of classified data.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traits of the children from the families of marriage immigrants wer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As for the patterns of their language development, they showed poor language skills consisting of silence, short answers to long questions, and physical aggression derived from linguistic immaturity. In terms of literary, they were slower in the development, avoided literacy activities, or engaged in no verbal activities despite the knowledge because of their parents' excessive focus on alphabet learning. As far as the peer relations were concerned, they played by themselves, followed their friends in a passive manner, or sometimes made use of their 'difference' resource to make friends. Finally, as for the perception of their cultural identity, some children perceived themselves only as Koreans ignoring or avoiding mentioning their mother country. Others regarded both Korea where they were currently living and their mother country as their countries. Still others were confused about the fact that their mother country wa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kids. The children from the families of marriage immigrants, who showed diverse traits, adapted to the environment through changes and getting along. But some of them had problematic behavior such as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confused identity, and aggression. Second, the kindergarten teachers responsible for the children from the families of marriage immigrants suffered from the following difficulties; first of all, they were troubled with the lack of theoretical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those children in running the curriculum and with the limitations of actual applications. As for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children, they confessed difficulty with those who required extra attentions from them or those who were ignored due to relatively lower interest. As for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the parents' closed attitude based on the isolated family history and polarized expectations for their children were the obstacles to the teachers' forming cooperative relations with them. Finally, they cited the aggravated institutional burden, partial coverage by the press, and lack of social and economic support as the difficulties to deal with for themselves in terms of social support. Those various difficulties faced by the teachers can cause a problem with their proper teaching and ultimately have negative influences on the quality of education, which means there should be diverse supports. Those difficulties also hav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teachers' attitudes and roles; the teachers should make efforts to create a desirable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all children can experience, exchange, and learn diverse cultures by using the cultural richness and diversity provided the children from the families of marriage immigra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v 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용어의 정의 5 II. 이론적 배경 7 A. 결혼이민자 가정 자녀 7 1. 결혼이민자 가정의 실태 7 2. 결혼이민자 가정 자녀의 교육 실태 13 B. 다문화 교육 16 1. 다문화 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16 2. 다문화 교육에서 교사의 태도와 역할 21 III. 연구 방법 26 A. 연구 참여자 26 B. 연구 방법 30 1. 예비 연구 30 2. 본 연구 32 C. 자료 분석 36 D.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40 IV. 교사를 통해 본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의 특성 41 A. 언어 발달 양상 41 1. 말하기와 듣기 42 2. 읽기와 쓰기 46 B. 또래관계 형성 48 1. 혼자서 놀이하기 48 2. 친구 따라 다니기 50 3. 친구가 되기 위해 ‘다름’ 이용하기 52 C. 문화적 정체성 자각 형태 54 1. 한 나라 국민으로 살아가기 55 2. 두 나라 국민으로 살아가기 57 V.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 담임교사가 느끼는 어려움 61 A. 교육과정 운영: 교사의 영원한 딜레마 ‘이론’ 과 ‘실제’ 61 1. 이론적 지식과 경험 부족 62 2. 실제적 적용의 한계 66 B. 유아와의 관계: 무대 앞과 무대 뒤의 유아들 70 1. 별도로 챙겨야 하는 유아 70 2. 상대적으로 관심이 안가는 유아 72 C. 부모와의 관계: 협력적 관계형성의 걸림돌 ‘부모’ 74 1. 부모의 폐쇄적 태도로 인해 상호 이해 부족 75 2. 부모의 부적절한 교육태도로 인해 교육적 지지 부족 81 D. 사회적 지원: 홀로 감당해야 할 ‘짐’ 83 1. 제도적 부담 가중 84 2. 언론의 편파적 접근 87 3. 사회경제적 지원 부족 90 VI. 논의 및 결론 94 A. 논의 94 1. 교사를 통해 본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의 특성 94 2.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를 담당하는 교사의 어려움 96 B. 교육적 시사점 98 1. 유아의 적응: 변화와 어울림 속에 남아 있는 위기 98 2. 교사의 태도와 역할: 타자에 대한 책임감과 타자화에 대한 우려 100 C. 결론 및 제언 104 참고문헌 108 부록 116 ABSTRACT 1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730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의 특성 및 교사의 어려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traits of the children from the families of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the difficultie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responsible for them: Focusing on the families of marriage immigrants-
dc.creator.othernamePark, Mi-Kyung-
dc.format.pagevi, 12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