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소희-
dc.creator김소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6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0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9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039-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사회에서 평생학습의 중요성이 점차 커짐에 따라 정규 교육과정 이후에 지속적인 학습을 추구해 나가려는 성인학습자들이 늘어가고 있다. 웹 기반 교육은 평생학습을 실현해 나갈 수 있는 유용한 교육방법이며 사이버대학은 웹 기반 기술을 통해 성인학습자들에게 보다 편리하고 융통성있는 학습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사이버대학에 등록한 학습자가 중도에 탈락하거나 기대만큼의 성과를 거두지 못한다는 문제점들이 지적되면서 그 원인을 학습자 특성과 학습환경과의 부조화에서 찾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이버대학과 같이 웹 기반 교육 환경에서 학습할 때 학습자들은 전통적인 교실 수업 상황에서보다 독립적이고 자율적으로 학습을 수행해 나가야 한다. 이렇게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활동을 수행해 나갈 때 자신의 학습에 대한 책임의식도 갖게 되며 결과적으로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자기주도적 학습을 요구하는 웹 기반 교육의 학습상황에서 이를 실천해 나갈 수 있는 학습자의 준비 정도는 성공적인 학습을 이끌어 내는데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을 중심으로 이와 관련된 개인 특성 변인들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성격유형(외향-내향형, 감각-직관형, 사고-감정형, 판단-인식형)은 자기주도성을 예측하는가? 2.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성격유형과 자기주도성은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가? 2.1 학습자의 성격유형은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가? 2.2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은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가? 2.3 학습자의 성격유형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3.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와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3.1 자기주도성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가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3.2 자기주도성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정보기술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본 연구를 위해 조사도구를 개발하고 A사이버대학의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 수집된 설문지는 139부였으며 분석에는 미응답치를 제외한 109개의 자료가 사용되었고 연구목적에 따라 Analysis of Variance(ANOVA), 상관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에 대한 유의미한 예측변인은 학력(β = .187, t = 2.05, p < .05)과 성격유형에서는 외향-내향형(β = -.276, t = -3.02, p < .01)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이 높아질수록, 그리고 외향적인 성향이 높아질수록 자기주도성의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유의미한 예측변인은 성별(β = .262, t = 2.85, p < .01)과 자기주도성(β = .185, t = 2.01, p < .05), 그리고 정보기술에 대한 자기효능감(β = .246, t = 2.61, p < .05)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관계에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학업성취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자기주도성이 증가될수록, 그리고 정보기술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자의 성격유형은 학업성취도에 대한 유의미한 예측변인이 되지 못하였고 자기주도성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와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자기주도성 계발과 함께 정보기술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는 점을 인식시켜 주었다. 아울러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계발을 위해서 학습자의 성격적 성향을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웹 기반 교육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는 교수전략 및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웹 기반 학습에서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예측변인을 규명함에 있어 교수자의 특성, 교수방법, 그리고 학습내용 등의 다양한 요인을 포함하여 교수-학습 과정에서 개입되는 외적, 내적 요인들이 연구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사이버대학에 등록한 성인학습자의 경우에는 다양한 동기와 욕구를 지니고 있다. 때문에 학습자에 따라서 우수한 학업성적을 거두는데 그 목적을 두기 보다는 학습욕구에 대한 만족을 위해서 또는 사회적 참여가 학습의 주 목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학습만족도나 학습참여도와 같이 사이버대학에서의 학습성과를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반영할 수 있는 변인을 포함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양식을 두 가지 측면, 즉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와 자기효능감의 측면으로 보고 자기주도성과 학업성취도 사이에서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 두 변인만으로는 웹 기반 교육 환경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양식을 충분히 반영했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와 자기효능감 이외에 자기주도성과 학업성취도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다른 변인이 탐색되어질 필요가 있다.;Since lifelong learning in society is getting more important recently, the number of adult learners who continue learning after their formal studies is getting increased. Web-based Learning is a useful way to realize the lifelong learning, and cyber universities via Web-based technology provide more convenient and efficient learning methods for them. However, it was pointed that the learners drop out of the courses, or do not get results as much as they expect in cyber universities. Some researchers have endeavored to find out the reasons from the incongruity between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Adult learners, when they learn in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have to perform more independent and autonomous learning than in traditional education environments. By doing so, not only they do recognize the responsibility of their learning, but also they get the successful outcomes in Web-based Learning. Therefore, the readiness of adult learners to perform the self-directed learning becomes a critical factor deriving of success in Web-based Learning.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chievement being focused on learner's self-direction. The research questions posed by this study were: 1. Do personality types(extraversion-introversion, sensing-intuition, thinking-feeling, and judging-perceiving) predict learner's self-direction in cyber university? 2. Do learner's personality types and self-direction predict achievement in cyber university? 3. Do the attitudes and self-efficacy toward technology utilizing for web-based learning act as intermediary variables between self-direction and achievement in cyber university?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survey instruments were developed, teste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distributed to adult learners in A cyber university. Subjects were given the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for personality types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SDLRS) to determine their level of self-direction. Also, they were given the Attitudes Scale and Self-Efficacy Scale toward technology to determine the positive/negative disposition, and confidence with technology utilizing for web-based learning. The 109 cases without missing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Analysis of Variances(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dopted to test research questions. As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roved that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extraversion-introvers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elf-direction. Also results show that gender, self-direction, and self-efficacy toward technolog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chievement in web-based learning. However, the attitude and self-efficacy toward technology did not act as intermediary variables between self-direction and achievement in web-based learning. These findings support the notion that learners who have higher level of educational background, and are more extravert tend to be more self-directed. Also learners who are female, more self-directed, and more confident with technology utilized in Web-based Learning tend to get higher grade in cyber university. The result of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identification of learner characteristics that may predict success in Web-based Learning. Based on this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First, it needs further studies including factors such as teaching methods and teacher characteristics as well as learner characteristics to identify predictors of achievement in web-based learning. Second, it requires further studies regarding various aspects such as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n learning to verify successful learning in cyber university. Third, it requires to examine other variables that bring intermediation effects between self-direction and achievement in web-based learn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ⅸ 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6 II. 이론적 배경 9 A. 웹 기반 교육의 이론적 고찰 9 1. 원격교육의 이론 9 2. 웹 기반 교육의 개념 14 3. 웹 기반 교육과 사이버대학 15 4.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특성과 학업성취 19 B. 자기주도학습과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25 1. 자기주도학습의 개념 26 2. 자기주도학습 모형 29 3.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40 C. 자기주도성과 관련된 개인특성 변인 43 1. 성격 유형(Personality Types) 44 2. 정보기술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 55 3. 정보기술에 대한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62 D. 선행연구 67 1. 자기주도성과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 관련 연구 67 2. 성격유형과 학습수행 관련 연구 72 3.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와 학습수행 관련 연구 78 4. 정보기술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학습수행 관련 연구 82 5.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85 III. 연구방법 90 A. 연구대상 90 B. 조사도구 93 C. 연구설계 98 D. 연구절차 100 E. 자료분석 103 IV. 연구결과 106 A. 연구대상자의 특성 106 B. 변인 간 관계 분석 109 C. 일반적 특성, 성격유형 및 자기주도성 간의 관계 검증 116 D. 일반적 특성, 성격유형 및 자기주도성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검증 118 E.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 및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121 V. 결론 및 제언 125 A. 연구목적 및 결론 125 B.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 128 C.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132 참고문헌 135 <부록 1>자기주도성 검사도구(Guglielmino, 1977) 159 <부록 2>정보기술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Kim, 1995) 163 <부록 3>정보기술에 대한 자기효능감 검사도구(McCoy, 2001) 164 ABSTRACT 1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323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성격유형, 자기주도성,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 및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ons Among Learner's Personality Types, Self-Direction, Attitudes and Self-Efficacy toward Technology, and Achievement in Cyber University-
dc.creator.othernameKim, So Hee-
dc.format.pagexii, 169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