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3 Download: 0

유아수학교육 논문의 경향분석(1945-1995)

Title
유아수학교육 논문의 경향분석(1945-1995)
Other Titles
(The) Analysis of Trends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Studys
Authors
이영주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Keywords
유아수학교육논문경향분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수학교육 논문의 수학교육 내용체계, 유치원 교육과정의 개정시기, 연구방법의 경향을 파악하여 유아수학교육 분야의 다양하고 균형있는 연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수학교육 논문은 어떤 연구내용의 경향을 나타내는가? 2. 유아수학교육 논문은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시기에 따라 어떤 경향을 나타내는가? 3. 유아수학교육 논문은 어떤 연구방법의 경향을 나타내는가? 본 연구의 분석대상 논문은 1945년부터 1995년까지 발표된 학회논문과 유아 및 수학교육 관련 학회지에 개제된 논문 중 유아수학교육과 관련된 논문 총182개였다. 논문의 내용체계별 분석기준은 우리나라 제5차 유치원 교육과정(1992)의 탐구생활 영역 중 논리·수학적 사고의 내용체계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발표시기에 따른 경향은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시기에 맞추어 5차시기로 분류하였으며, 연구 방법 및 연구자료 수집방법 유형별 분석기준은 MacMillian J. H. & S. Schumacher(1989)의 기준을 수정·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분석기준에 의해 수집된 자료는 모두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수학교육 내용체계에 따라 분류된 논문은 211개(N=182, 다중반응)로서 수의 기초개념 이해하기의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은 71개 전체 33.6%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공간에 관한 기초개념 가지기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은 31개(14.7%), 사물분류하기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은 30개(14.2%), 사물 순서짓기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은 19개(9.0%), 유아수학교육 교수방법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은 16개(7.6%), 시간에 관한 기초개념 가지기 범주와 유치원 수학교육과정의 구성과 분석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이 각각 8개(3.8%), 수학교육과 관련된 시설 및 설비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은 7개(3.3%), 유아수학교육 사상사 및 교육사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은 6개(2.8%), 일상생활에서 수 활용하기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은 5개(2.4%), 전체와 부분 경험하기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은 4개(1.9%), 기본도형 인식 및 구성하기 범주와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이 각각 3개(1.4%)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초적인 측정과 관련된 경험가지기 범주와 기초적인 통계에 관련된 경험가지기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은 없었다. 수학교육의 내용을 하위영역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의 보존개념에 관한 논문이 34개(14.2%)개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며, 단순·복합분류에 대한 논문이 29개(12.1%), 수세기와 안·밖, 위·아래, 앞·뒤, 좌·우에 대한 논문이 각각 25개(10.4%), 수의 모양 및 크기 인식에 대한 논문이 20개(8.3%), 사물의 순서, 교수방법에 대한 논문이 각각 13개(5.4%), 더하기·빼기에 대한 논문이 11개(4,6%), 크기 길이·높이·무게의 비교, 시간의 개념, 수학교육 교구 시설에 대한 논문이 각 각 7개(2.9%), 공간조망, 수학교육의 역사에 대한 논문이 각각 6개(2.5%),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대한 논문이 5개(2.1%), 기수·서수, 1:1 대응에 대한 논문이 각각 4개(1.7%), 돈·생활에서의 수활용, 분수, 모양 및 이름알기, 프로그램, 컴퓨터에 대한 논문이 각각 3개(1.3%), 나이, 교육과정의 구성 및 분석에 대한 논문이 각각 2개(0.8%), 사물의 같고 다름 살펴보기, 큰수, 집합, 사건의 순서, 평가에 대한것이 각 각 1개(0.4%)로 나타났고 기초적인 측정과 관련된 경험가지기와 기초적인 통계와 관련된 경험가지기에 대한 논문은 하위영역에서도 나타나지 않았다. 2.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시기에 따른 논문의 경향은 제1차시기(1945년 이후 1978년까지) 발표된 논문은 7개(3.3%)로 이 중 수의 기초개념 가지기 범주에 3개 (1.4%), 사물 분류하기, 사물 순서짓기, 공간에 관한 기초개념 가지기, 유아수학교육 사상사 및 교육사의 법주에 각각 1개씩(0.5%) 발표되었다. 제 2차시기(1979년이후 1981년까지)에 발표된 논문은 11개(5.2%)로 이 중 수의 기초개념 가지기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이 4개(1.9%), 공간에 관한 기초개념 가지기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이 2개(0.9%), 사물 분류하기, 사물 순서짓기, 시간에 관한 기초개념 가지기, 유아수학교육 사상사 및 교육사, 유아수학교육 교수방법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이 각각 1개씩(0.5%)였다. 1차시기에 비하여 공간개념, 시간개념, 유아 수학교육 교수방법 범주에 해당되는 연구가 새롭게 시작되었다. 제 3차시기(1982년이후 1986년까지)에 발표된 논문은 77개(36.5%)로 이 중 수의 기초개념 가지기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이 26개(12.3%)로 가장 많았고, 사물 분류하기가 15개(7.1%), 공간에 관한 기초개념 가지기가 11개(5.2%), 사물 순서짓기 7개(3.3%), 유아수학교육 교수방법이 5개(2.4%), 시간에 관한 기초개념 가지기 4개(1.9%), 유치원 수학교육과정의 구성과 분석 범주가 3개(1.4%), 유아수학교육 사상사 및 교육사, 수학교육과 관련된 시설 및 설비가 각각 2개(1.0%), 기본 도형 인식 및 구성하기,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이 1개(0.5%)였다. 수의 기초개념 가지기 범주의 하위영역인 수보존 개념에 대한 논문의 반이상(34편중 21편으로 61.2%)이 이시기에 이루어졌으며 기본도형의 인식 및 구성하기, 유치원 교육과정의 구성과 분석의 하위영역 중 유치원과 국민학교 1학년 수학교육과정에서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제 4차시기(1987년이후 1991년까지)에 발표된 논문은 63개(29.9%)로 이중 수의 기초개념 가지기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이 19개(9.0%)로 가장 많았다. 공간에 관한 기초개념 가지기가 13개(6.2%), 사물분류하기 8개(3.8%), 사물 순서짓기 7개(3.3%), 일상생활에서 수 활용하기, 유아수학교육 교수방법이 각각 4개(1.9%), 시간에 관한 기초개념 가지기가 3개(1.3%), 기본 도형 인식 및 구성하기가 2개(1.0%), 전체와 부분 경험하기, 유치원 수학교육과정의 구성과 분석, 수학교육과 관련된 시설 및 설비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이 1개(0.5%)였다. 이 시기에는 일상생할에서의 수 활용하기와 전체와 부분 경험하기, 수학교육과 관련된 시설 및 설비범주에서 하위영역인 컴퓨터에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했고 수기초개념 범주에서 수보존개념에 관한 연구가 급격히 줄었다. 제5차시기(1992년이후 1995년까지)에 발표된 논문은 52개(24.6%)로 이중 수의 기초개념 가지기의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이 19개(9.0%)로 가장 많았다. 유아수학교육 교수방법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이 6개(2.8%), 사물 분류하기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이 5개(2,4%), 공간에 관한 기초개념 가지기, 유치원 수학교육과정의 구성 및 분석, 수학교육과 관련된 시설 및 설비 범주에 속하는 논문이 각각 4개(1.9%), 사물 순서짓기, 전체와 부분 경험하기 범주에 속하는 논문이 각각 3개(1.4%), 유아 수학교육 사상사 및 교육사,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 범주에 속하는 논문이 2개(1.0%), 일상생활에서 수 활용하기가 1개(0.5%)였다. 이 시기에는 유치원 수학교육과정의 분석 범주 중 수학교육과정의 분석, 평가의 하위내용에 해당되는 연구가 새롭게 이루어졌으며, 수학교육과 관련된 시설 및 설비 범주 중 수학교육에 문학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그림책의 수학교육 내용 분석을 하는 연구가 이루어졌다. 3. 연구유형에 따른 유아수학교육 논문의 경향은 양적인 연구가 총182개의 논문 중 177개(97.3%)였고 질적인 연구가 5개(2.7%)로 대부분의 연구가 양적인 연구유형에 속하였음을 알 수 있다. 양적인 연구 유형 중 실험연구가 84개(46.2%)로 가장 많았으며, 기술적 연구가 50개(27.5%), 상관연구가 19개(10.4%), 내용분석연구가 18개(9.9%), 조사연구가 6개(3.3%) 순이었다. 질적인 연구유형 중 역사적 연구가 5개(2.7%)였고 민속학적 연구는 없었다. 연구자료의 수집방법은 검사(tests)도구를 사용한 연구가 153개(79.7%)로 가장 많았다. 양적연구 유형에서는 검사(tests)를 사용한 연구가 153개(79.7%), 양적인 문서의 분석(documents)이 18(9.4%), 표준화된 면접(standardized interviews)이 8개(4.2%), 구조적 관찰(structured observation)이 5개(2.6%), 질문지(questionnaires)가 3개(1.6%)였다. 질적연구 유형에서는 문서분석(documents)가 5개(2,6%)였고 참여 관찰(participant observations), 면접(interviews)의 방법을 사용한 연구는 없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basic background information to enhance the balanced and diverse research o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by identifying 1) the contents in mathematics education %he timing of revising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3) the trend in research method shown up on the various research paper o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he research items are as follows: 1. What subjects are most frequently shown up in research papers o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2. What is the impact of the curriculum amendment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research papers on the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3. What is the research methodology trends in research papers on the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his study analysis total one hundred and eighty-two research papers both published in research conferences in the period of 1945 through 1995 and printed in Journal on Early Childhood or Mathematics Education. This atudy sets up the standard of data analysis for content area on basis of a revised and supplemented section concerning logio-mathematical knowledge under in the Fifth Early Childhood Curriculum(1992). The impact of the cruuiculumd amendments is examined by five categories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amendments. The translated and modified version of MacMillian J. H. & S.Schumacher's classifications(1989) are used for analysis of the methodology trends. Data collecte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standard is examined through the frequency and percentile. Multiful check is used for the analysis of research content sds. and sub-contents and for the research data collection method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1. Among 182 papers classified corresponding to mathematical classifications, the papers classified as "Understanding of the basic numeric concept" come first with seventy-one papers(33.6%). The paper classified as "Basic concept on dimension" come up the second with thirty-one(l4.7%), followed by "Object classification" with thirty( 14.2%), "The order of Object" with nineteen(9.0%), "The teaching method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with sixteen(7.6%), "The basic concept for time" with eight(3.8%),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Kindergarten mathematics curriculum" with with eight(3.8%), Facilities and equipment for Mathematical Education" with seven(3.3%),"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 Education" with six(2.8%), "Practical usage of Mathematics" with five(2.4%), "The whole and part" with four(l.9%), "The recognition and construction of basic geometry" with three(l.4% ), "The program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with three(l.4%), The papers for "Basic measurement" and for ''The statistics" are not found. In datail, in the classification under the sub-contents, "The concept for numerical preservation" is the top with thirty-four papers(l4.2%), followed by "Simple-complex classification" with twenty-nine papers(l2.1%), "Number counting" with twenty-five papers(l0.4%) and "The concept of above * under, inside * outside, front * back, left * right" with twenty-five papers(l0.4%), "The recognition of the shape and size of number" with twenty papers(8.3%), "The order of the objects" with thirteen papers(5.4%), "Teaching method" with thirteen papers(5.4%), "Addition and Subtraction" with eleven papers(4.6%), "The concept of size, length, height and weight" with seven papers(Z.9%), "The concept of dimensions" with six papers(2.5%), "The history of the mathematic education" with six papers(2.5%), "The consistency in educational cruuiculum" with five papers(2.1%), "The cardinal and ordinal number" with four papers(l.7%), 'fl:l" with four papers(l.7%), "The practical use of the number in everyday life" with three papers(l.3%), "The recognition of fraction, shape, and name" with three papers(l.3%), "The paper on the computer program" with three papers(l.3%), "Paper on the age" with two papers(0,8%), ' I The analysis and construction of the mathematical curriculum" with two papers(0.8%), "The comparison and constrast of the objects" with one paper(0.4%), "The recognition of the numeric order" with one paper(0.4%), and, finally, "The sequency of occurence" with one paper(0.4%). 2. The change in research trend corresponding to curriculum amendents is examined by five categories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amendments. Among seven research papers(3.3%) that were published during the first amendment(from 1945 through 1978), three papers(l.4%) focuses on "Basic concept of the number". The remaning four papers concentrate on "Classification of the objects", "The ordering of the objects", "The basic concept about the dimension", "The history of the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respectively. Eleven papers(5.2%) were issued during the second amendment(from 1979 through 1981). The papers pertaining to "Basic concept of the number" were toped with four papers(l.9%), followed by papers concerning to "The basic concept about the dimension" with two(l.0%), One paper(0.5%) was published for the following subject "Classification of the objects", "The ordering of the objects", "The history of the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he concept of the time" "The teaching mathod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During this period, compared to the first amendment period, the study in new areas such as "The concept of the time", "The concept of the time", and "The basic concept of about the dimension", "The history of the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he concept of the time" "The teaching mathod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was initiated. During the third amendment period(from 1982 through 1986) seventy-suven papers(36.5%) were published. The papers concentrating "Basic concept of the number" were toped with with twenty-six(12.4%), followed by papers cowering to "Classification of the objects" with fifteen(7.1%), "The basic concept about dimision" with eleven (5.2%), "The ordering of the objects" with seven(3.3%), "The teachg method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with five(2.4%), "The concept of the time" with four(l.9%), "The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the Kindergarten Mathematics Education Curriculum" with three(1.4%),"The history of the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with two(1.0%), "Facilities and equipment for Mathematical Education'' with two(1.0%), "The recognition of fraction, shape, and name" with one (0.5%). It is this period when more than half of papers for "The concept for numeric preservation", a sub-content of "Basic concept of the number", were published. In addition to this, the research concerning "The recognition and construction of basic geometry" and "The connection between Kindergarten Mathematic Education and first grade mathematics education" as a sub-contents of "Contruction and analysis of Kindergarten Mathematics Education" were started this period. Sixty-three articles were published in period of fourth amendment(from 1987 through 1991) and the articles about "Basic concept of the number" were the most with nineteen(9.0%) publication. "The basic concept of dimension" with thirteen(6.2%), "Classification of the objects" with eight papers(3.8%), "The ordering of the objects" with seven(3.3%), "The application of numbers in ordinary life" with four papers(1.9%), "The teaching method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with four (1.9%), "The concept of the time", "Facilities and equipment for Mathematical Education'' with three papers(1.3%), "The recognition of fraction, shape, and name" with two papers(1.0%), "The whole and part" with one paper(0.5%) and "The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the Kindergarten Mathematical Education Curriculum" with one paper(0.5%). It was this period when the study about "The application of numbers in ordinary lifr", "The research on computers", as a sub-content of "Facilities and equipment for Mathematical Education" was started and when "The concept for numerical preservation" as a sub-content of "Basic concept of the number"started to diminish. During the fifth amendment period(from 1992 through 1995) fifty-two papers(24.8%) were published. The papers concentring "Basic concept of the number" were toped with nineteen(9.0%), followed by papers concerning to "The teaching method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with five(2.4%), "Classification of the objects" with five(2.4%), "The basic concept about demension" with four(1.4%), "The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the Kindergarten Mathematics Education Curriculum" with four(1.4%), "Facilities and equipment for Mathematical Education'' with four(l.4%), "The basic concept about the dimension" with four(l.9%), '"The ordering of the objects'' with three(l.4%), "The whole and part" with three(l.4%), "The history of the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with two(l.0%), "The program of Earh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with two(l.0%), "The application of numbers in ordinary life" with one(0.5%). It was this period when the study about a sub-content under "The analysis and evalution of the mathematical curriculum" was started and when an attempt to approach the mathematics education with a litearture tool as a subcategory of "Facilities and equipment for Mathematical Education" was initiated. 3. The classification by the research methodology in the article on the Early Childhoods Mathematics Education shows that quantitative research papers come up with one hundred and seventy-seven in total one hundred and eighty-two papers, occupying majority of papers(97.3%). Among quantitative researches, experimental design comes first with eight-four papers(46.2%), followed by descriptive research with fifty papers(27.5%), correlational research with nineteen(10.4%), contents analysis with eighteen(9.9%), survey with six(3.3%). All of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done through historical research. No ethnographical research was used for qualitative research. In the method of the data collection, the research by using the tests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one hundred and fifty-three papers(79.7%). In quantitative method, the research using the tests outnumbered other methods with one hundred and fifty-three papers(79.7%): followed by the analysis of quantitative documents with eighteen papers(9.4%), statdardized interviews with eight papers(4.2%), structured observations with five(2.6%), questionnaires with three papers(l.6%). About the qualitative method, all the research was done through the documentation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were not u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