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0 Download: 0

산업구조의 변화와 전문대학의 학과분화 과정

Title
산업구조의 변화와 전문대학의 학과분화 과정
Other Titles
(THE)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IN KOREA AND THE PROCESS OF DEPARTMENTAL DIFFERENTIATION IN JUNIOR COLLEGES
Authors
이은주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산업구조전문대학학과분화변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는 과학과 기술의 급속한 변화와 산업의 고도화로 인해 사회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직종에서는 업무의 내용이 변하고 있고, 새로운 직종 또한 끊임없이 창출되거나 소멸되고 있다. 따라서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새롭게 등장한 기술을 신속히 습득하여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기 위하여, 그리고 사회적인 측면에서는 산업구조의 변동에 따라 요구되는 기술인력을 충분히 공급받기 위하여 학교에서의 직업기술교육 실시에 대한 필요성이 고조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의 산업구조 변화와 전문대학의 학과 분화 과정과의 관계를 관련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전문대학이 직업교육을 실시하는 단기고등교육 기관으로서 산업 현장의 요구와 사회발전의 수요에 적절히 부응하여 기술인력을 양성하고 있는 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구체적인 수준에서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세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농림수산업 내에서의 변화와 전문대학의 농림 및 수산해양 계열 학과의 분화 과정은 어떠한 관계를 갖는가? 둘째, 제조업에서의 공업구조 변화와 전문대학 공학계열 학과의 분화 과정은 어떠한 관계를 갖는가? 셋째, 서비스산업의 증대와 전문대학의 사회계열, 의학계열, 체육계열, 예술계열 및 사범계열의 학과 분화 과정은 어떠한 관계를 갖는가? 분석 대상은 『교육통계연보』의 각연도에서 추출한 전국 전문대학의 전계열에 걸친 학과이다. 연주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공업위주의 산업 육성 정책이 학과의 조직에 반영되어 전문대학의 전계열 학과 중 공학계열의 학과가 양적인 증가와 질적인 분화 수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의 산업주조 변화와 전문대학의 학과수 증가 및 학과 분화 과정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1차 산업인 농림수산업분야에서는 장비의 기계화, 경영의 합리화,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양질의 가공식품 생산의 증대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는 전문대학 농림·수산해양계열 학과의 편제에 영향을 미쳐 관련 학과의 분화와 학과수의 증대를 가져왔다. 둘째, 2차 산업인 제조업의 내부 구조를 경공업과 중화학공업의 두 부문으로 구분하여 양측의 비중 변화를 살펴보면, 경공업의 비중이 약화되고 중화학공업의 비중이 강화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경향은 전문대학 공학계열 학과의 편제에 영향을 미쳐 중화학공업과 관련된 학과들이 경공업에 관련된 학과들보다 분화 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랐고. 분화 정도도 높게 나타났으며 학과의 증설도 많았다. 셋째, 경제구조의 고도화와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3차 산업인 서비스업의 증대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전문대학의 학과 편제에 영향을 미쳐 사회계열에서는 보험, 금융,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업과 관련된 학과의 분화와 학과수 증가가, 의학계열, 체육계열, 예술계열, 사범계열에서는 사회 및 개인서비스법과 관련된 학과의 분화와 학과수 증가가 이루어졌다. 이상의 결과들은 전문대학의 전 계열에서 산업주조의 변화와 상관있는 학과의 분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 준다. 그러나 학과의 분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면, 산업구조가 변화되는 과정과 학과의 종류와 수가 변화되는 과정이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곧, 전반적인 수준에서는 사회가 필요로 하는 산업 분야에서 학과의 분화와 수의 증대가 이루어졌지만, 학과종류와 학과수가 변화하는 과정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비교하였을 때 학과의 편제가 산업구조의 변화 양상과 불일치한 채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기복을 나타내며 양적인 증대를 가져왔다. 특히, 경제구조의 변화양상을 객관적으로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제조업 부문별 부가가치의 비중 변화와 제조업 내부에서의 각 부문(곧, 음식료품 및 담배제조업, 섬유·의복 및 가죽산업,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와 인쇄 및 출판업, 화합물, 석유, 석탄,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 비금속광물 제조업, 제1차 금속산업, 조립금속제품 및 기계 제조업, 전기, 전자 및 통신업, 운수장비 제조업 등)과 관련된 공학계열 학과의 분화과정 간의 관계를 연도별로 나누어 비교·분석한 결과, 모든 학과가 공업구조가 변화하는 과정과 일치하지 않고 불규칙적인 분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학과의 분화과정이 점진적이지 못하고 기복이 심한 현상을 보인 갓은 공학계열에서 뿐만 아니라 1차 산업과 관련된 농업·수산해양계열과 3차산업과 관련된 기타 계열의 학과에서도 유사하계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은, 직업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 전문대학의 인력공급 정책이 넓은 차원에서는 산업구조의 변동에 부응한 학과의 신설과 증설을 가져오게 하여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중견기술인을 공급하고자 노력해왔다고 볼 수 있으나 산업구조의 영역을 더 세분화할수록 시기적절하게 학과의 구조를 개편하지 못함으로써 필요한 인력을 제 때에 양성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곧, 인력수급의 계획이 넓은 범주에서는 그런대로 산업의 요구에 부응하여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지만 영역을 좁혀 세분화할수록 불일치한 양상을 보여 인력 수급의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noship between the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process of departmental differentiation in junior colleges. This study attempted to seek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do the internal change of primary industry correlate with the process of departmental differentiation by agriculture & forestry muse and fishery & marine course in junior colleges ? Secondly, do the internal change of secondary industry correlate with the process of departmental differentiation engineering course in junior colleges ? thirdly, do the increase of tertiary industry influesce the process of departmental differentiation by social sciences course, medical and pharmacy cours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ourse and theaching profession course in junior colleges ?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used materials were 「The Statistical Searbooks of Education(l934-1995)」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other related various data. Major findings concerning the three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korea has been acomplished mechanization of dquipmint, the rationalization of management, increase of good quality food products by technical development, and so on,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these changes influenced the departmental differentiation in agriculture & forestry course, and fishery & marine course. Seco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heavy chemical industry has been increased but l i h t industry has diminished inside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korea. These tendency influenced departmental differentiation by engineering course in junior colleges. Namely, departments dated the heavy chemical industry were more large and rapid than departmental related the light industry in the increase aspect of the number of department and the speed aspect of departmental differentiation. third, by rise in the income level and high growth of economy service industry has increased more and more. these tendency influenced departmental differentiation in junior colleges. In other words, the number and kinds of departments related financial, intermediation, real estate and business servce activities among the service industrys increased in social science course. And, the number and kinds of departments related social and personal service activities increased in medical & pharmacy course, arts & physical education course, teaching profession course. On the whole, the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in korea tended to correlate departmental differentiation in junior colleges, But the process of quantitative growth and qualitative change of departments didn't show gradual progress and irregula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