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지나-
dc.creator신지나-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1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1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9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116-
dc.description.abstract교육내용으로서 지식이 무엇인가 하는 질문은 교육과정의 핵심적 질문이다. 전통적 인식론에서는 개개인이 이성이나 경험에 의해 지식을 획득할 수 있다고 봄으로써 지식의 성격을 개인주의적인 차원에서 설명해 왔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 지식의 성격을 개인적인 차원에서 설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식의 사회적 성격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육내용으로서 지식의 성격을 파악하는 하나의 관점으로 지식의 사회성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식의 사회성을 논의하는 방식에는 크게 두 가지 대립적 관점이 있다. 하나는 인식론적 관점에서 지식의 사회성을 규명하려는 입장이고, 다른 하나는 사회학적 관점에서 지식의 사회성을 강조하는 입장이다. 먼저 인식론적 관점에서 사회는 논리적 가정으로서 공적이고 객관적인 것으로 파악되며, 지식은 객관성을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이해를 공유하는 함린(Hamlyn), 허스트(Hirst), 피터즈(Peters) 그리고 오오크쇼트(Oakeshott)는 교육내용으로서 지식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인류의 문화적 유산인 전통을 중시하는 자유교육에 의해 자유로운 이성의 함양이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다른 한편 지식사회학을 이론적 기반으로 삼는 사회학적 관점은 지식을 집단적이고 사회적이라고 규정함으로써 지식이 사회적으로 조건화되고 결정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영(Young)과 애플(Apple)은 지식이 교육내용으로 선정되는 과정에서 외적인 요소 곧 사회의 불평등한 구조와 이데올로기가 개입되기 때문에 교육내용으로서 지식이 보편적이거나 객관적이지 않다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사회학적 관점에서는 지식의 성격을 상대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교육내용에 반영된 지식의 사회적 성격을 검토한 결과, 인식론적 관점에 따라 지식의 객관성을 강조하는 것은 지식의 절대성의 개념과 혼동될 수 있으며,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이 전통에 의존함으로써 보수주의적 경향을 띠게 되었다. 반면에 사회학적 관점은 전통적 인식론의 비판에서부터 출발한 지식의 사회성 논의를 다시 전통적 인식론의 문제로 환원시켜서 결국 개인과 다르지 않은 일부 집단의 영향력에 의해 지식이 결정된다는 이해 범위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의 인식은 지식의 사회성에 관련된 두 관점의 갈등과 대립의 성격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의 문제, 다시 말해서 지식, 사회 그리고 인식주체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제기한다. 이 문제를 인식하는 것에서 두 관점을 새롭게 이해하는 하나의 전환점을 찾을 수 있다. 두 관점은 기본적으로 지식, 사회 그리고 인식주체 사이에 어떠한 관련성을 파악하고 있다. 곧 무엇을 지식으로 볼 것인가의 문제인 지식의 판단준거를 공통적으로 상호주관성에서 찾고 있는 것이다. 상호주관성은, 지식과 인식주체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장으로서의 생활세계 안에서 공동체 의식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객관적 이해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며 무엇을 지식으로 볼 것인가의 문제에 합리적 준거를 제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인식론적 관점은 주관성의 측면을 상대적으로 간과하는 경향이 있으며, 사회학적 관점은 상호성의 측면을 고려하지 않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제까지 두 관점이 상호 배타적인 것으로 이해되어 온 것이다. 따라서 상호주관성의 개념을 더욱 심화시켜서 볼 때 지식의 사회적 성격에 대한 인식론적 관점과 사회학적 관점의 논의는 상호보완적 관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 두 관점에서 제시되고 있는 사회의 성격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으며 나아가 교육내용으로서 지식의 사회적 성격에 대한 올바른 의미부여도 가능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지식의 사회성을 규명하려는 하나의 방식으로 인식론적 관점과 사회학적 관점의 대립과 갈등을 검토하고 두 관점의 새로운 관계 모색을 시도하였으나 교육내용의 선정에 있어서 지식의 사회성에 대한 실제적 논의가 미흡한 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상호주관성 논의에 있어서 인식론적 관점과 사회학적 관점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어떤 방식으로 조화시킬 수 있겠는가 하는 문제가 과제로 남아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meaning of society as a criteria which is essential to select the curriculum by making sure the knowledge is closely related to social aspect. The question, "What is knowledge as curriculum content", lies on the core of discussing curriculum. In traditional epistemology, the nature of knowledge has been understood individualistic and subjective, because of the belief that knowledge can be perceived directly by reason and experiences. However, lately, the discussion about the social aspect of knowledge has started to develope, denying the individuality and subjectivity of knowledge. In this thesis, the social aspect of knowledge is discussed understanding the nature of knowledge. There are two opposing point of views from which the sociality of knowledge can be explained. One is to clarify it from the epistemological prospect, and the other one is from the sociological viewpoint. First, from the epistemological viewpoint, knowledge has generality and objectivity, because society, as logical presupposition, is defined as public and objective. Advocating this point, Hirst, Peters and Oakeshott see that free reason can be cultivated by the liberal education emphasizing human cultural heritage-tradition. On the other hand, the sociological prospect emphasizes knowledge is socially conditioned and decided by defining it as collective and social. Young and Apple argue knowledge as curriculum content can not be either general or objective, because the external elements, such as the unequal structure of society or ideology, interfere with the process of choosing curriculum content. As stated above, the social nature of knowledge is relatively discussed from the sociological point of view. Studying of the sociality of knowledg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content reveals the possibility of epistemological approach to confuse the objectivity of knowledge with its absoluteness and conservative tendency of knowledge as a part of curriculum caused by its dependence on tradition. On the other hand, the sociological explanation fails to develope further from the argument that knowledge is determined by the influence of some groups not different from individuals. The recognition of these problems can bring a turning point to the way of understanding knowledge, society and individuals from two point of views. Both viewpoints show understanding of a certain relation between knowledge, society and individuals. In other words, both find the standards of knowledge in intersubjectivity. Intersubjectivity can create 'we-feeling' in the world of living where interaction between knowledge and individuals takes place. Furthermore, it can make sharing of objective comprehension possible, and propose a reasonable set of standards for knowledge. However, two prospects have been considered mutually-exclusive, because the epistemological approach tend to overlook 'subjectivity', while the sociological explanation does 'mutuality'. Therefore, deeper studies of intersubjectivity can lead the conflict between these viewpoints to a mutually-assisting relationship. Then, meaning of society can be reinterpreted and the right explanation of sociality of knowledge is possible. So far, the conflict between the espitemological and sociological explanations of sociality of knowledge has been discussed and the search of their new relationship has been attempted. But, the actual discussion of social aspect of knowledge reveals its insufficiency in deciding curriculum. In other words, the question how to harmonize two point of views on the intersubjectivity issue is left to be discussed furth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요약 = ⅳ Ⅰ. 서론 = 1 Ⅱ. 인식론적 관점에서 본 지식의 사회성 = 5 A. 지식의 사회적 성격 : 객관적 인식의 논리적 가정 = 5 B. 인식론적 관점에서 본 교육내용 = 14 Ⅲ. 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지식의 사회성 = 23 A. 지식의 사회적 성격 : 상대적 세계 구성의 지식사회학 = 23 B. 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교육내용 = 33 Ⅳ. 지식의 사회적 성격에 대한 재해석 = 42 A. 두 관점의 문제점 = 43 B. '사회'에 대한 재해석 : 상호주관적 생활세계 = 47 Ⅴ. 요약 및 결론 = 55 참고문헌 = 60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880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교육내용-
dc.subject지식-
dc.subject사회적 성격-
dc.subjectCURRICULUM CONTENT-
dc.title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의 사회적 성격-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OCIAL ASPECT OF KNOWLEDGE AS CURRICULUM CONTENT-
dc.format.pagev, 67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