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5 Download: 0

Effects of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Peer Feedback on Korean Learners' Writing

Title
Effects of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Peer Feedback on Korean Learners' Writing
Other Titles
동시성과 비동시성 동료수정이 한국인 EFL 학습자들의 쓰기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차윤정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논문은 동시성(Synchronous)과 비동시성(Asynchronous) 동료수정(Peer Feedback)이 한국인 학습자들의 쓰기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는 EFL 작문시간을 수강한 38명의 한국인 대학생들로서 이들은 수강 학기 동안 네 번 작문을 작성하였는데, 이 실험에서는 네 번의 작문 중 마지막에 작성된 작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은 이 작문을 일주일 동안 여러 단계를 거쳐 완성하였다. 먼저, 학습자들이 초안을 쓰고, 그것을 online에 정해져 있는 그룹게시판에 올리면, 그룹 학생들은 동료수정의 모드, 즉, 채팅이나 게시판을 활용하여 대상 작문에 대한 동료수정을 제시하였다. 학습자들은 그룹 학생들이 제시한 동료수정을 바탕으로 초안을 고치고 완성 본을 작성했다. 학습자들이 그룹 학생들과 교환한 채팅 자료(chat scripts)와 게시판 자료(peer feedback postings)를 바탕으로 첫째, 동료수정의 빈도수, 둘째, 동료수정의 초고에 반영된 빈도수, 셋째, 쓰기능력의 향상도, 그리고 넷째, 학습자들의 동료수정에 대한 태도를 동료수정의 모드와 상, 하위 학습자 별로 조사 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수정의 빈도수는 게시판을 활용한 학습자들이 채팅을 활용한 학습자들 보다 훨씬 많은 양의 동료수정을 교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시된 동료수정은 작문의 내용이나 구성에 관한 것 보다 문법에 관한 것이 더 많았다. 전체적으로, 상위학습자들이 더 많은 양의 수정제안을 제시하였고, 하위학습자들은 더 많은 수정제안을 받았지만, 모드 사용에 있어서는 게시판을 활용한 상, 하위학습자들의 수정교환이 더 많았다. Sotillo의 담화분석방법으로 빈도수를 조사해 보니 채팅을 활용한 학습자들이 게시판을 사용한 학습자들 보다 담화의 빈도수가 더 높았는데, 이것은 게시판 보다는 채팅에서 더 활발한 토론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채팅이나 게시판 중 어떤 모드를 활용했는지를 불문하고 하위학습자들 보다는 상위학습자들에게서 더 높은 담화의 빈도수가 나타났다. 둘째, 동료수정을 초고에 반영한 빈도수는 게시판을 활용한 학습자들의 경우에 채팅을 활용한 학습자들 경우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상, 하위학습자를 나누어 비교하면 모드 활용과 관계없이 하위학습자들이 동료수정을 더 많이 반영하고 있었지만, 게시판을 활용한 상, 하위학습자들이 채팅을 활용한 상, 하위학습자들 보다 동료수정을 초고에 반영한 평균 빈도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들의 초고와 완성 본 사이의 쓰기 향상도와 관련하여서는, 동료수정 모드와 상, 하위학습자들 사이에 유의한 상호작용은 발견되지 않았고, 이런 경향은 채팅과 게시판, 두 집단간 모드 사이에서나, 상, 하위학습자 집단간 에서도 마찬가지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채팅 그룹이나 게시판 그룹내에서 동료수정을 교환한 학습자들의 완성 본은 단어영역만 제외하고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통계적으로, 채팅을 활용한 그룹에서 상위학습자들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에 게시판을 활용한 상위학습자들의 경우에서는, 총체적 점수, 분석적 점수의 총점, 내용영역과 문법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하위학습자들의 경우, 채팅 그룹은 단어영역, 게시판 그룹은 단어와 구조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의 동료수정에 대한 태도에 관한 설문의 결과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서 조사하였는데, 두 모드 간에는 두드러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 하위학습자들로 나누었을 때, 대체적으로, 채팅을 활용한 그룹에서는 하위학습자가, 게시판을 활용한 그룹에서는 상위학습자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학습자들이 동료수정을 제시할 때 채팅이나 게시판을 활용하는 것에 대한 태도는 일부 부정적인 면도 있었지만 학습자들의 태도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 되었다. 채팅보다는 게시판을 활용했을 때, 빈도수가 양적으로 현저하게 많이 나타났고, 반영된 빈도수도 많았고, 학습자들의 쓰기능력도 향상되었다는 것은 채팅보다는 게시판이 시, 공간적인 면에서 더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제시되었다. 또한 앞으로 EFL 작문시간에 단순히 동료수정을 위해 채팅이나 게시판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이 명시한 CMC 모드의 장단점을 고려하고, 본 논문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두 모드를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학습자들의 쓰기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가에 대한 시사점을 본 논문이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peer feedback on Korean learners' writing and their attitudes toward exchanging feedback. The participants were 38 Korean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EFL writing classes and they wrote four essays during the semester, among which the last essay was analyzed for the current study. The participants wrote an argumentative essay which was written during a one-week period. The participants wrote their first drafts and posted them on their designated online spaces. Then, they exchanged peer feedback through two different CMC modes, chatting and bulletin board. Based on the provided feedback, the participants revised the first drafts and wrote their final versions. The chat scripts and the peer feedback postings were used to account for the total amount of feedback based on Yagelski's (1995) and Sotillo's (2000) coding categories. Incorporation of feedback was also counted to investigate how much the participants implemented their provided feedback into the final version. Moreover, the students' sample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e first draft and the final versions were measured holistically and analytically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participants' writing quality had been improved after incorporating the group members' feedback into their final versions. Finally,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explore the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peer feedback. As for the results of the findings, the participants in the bulletin board produced more feedback than those in the chatting class. The greater portion of the feedback were grammar-related changes rather than content or organization. The high level students provided more feedback, whereas the low level students received more feedback. In terms of discourse functions by Sotillo's (2000) coding categories, the participants in the chatting class generated more discourse functions than those in the bulletin board class due to the active discussions among the group member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more discourse functions that were feedback-related suggestions in the bulletin board environment than the chatting environment. With respect to the proficiency levels, the high level students produced more discourse functions in terms of frequency than the low level students in both CMC classes. Regarding the incorporation of the feedback, the participants in the bulletin board class incorporated more feedback than those in the chatting class. As for the proficiency levels, the low level students revised more from the total feedback provided than the high level students in both chatting and the bulletin board classes. However, both the high and the low level students in the bulletin board environment gained higher scores for the mean frequency in terms of incorporation. Concerning the writing improvement between the first drafts and the final versions, no interactional effect was found between modes and levels.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MC modes as well as the two proficiency levels. However, the participants from both the chatting and the bulletin board classes improved significantly better in their final versions in every dimension except for vocabulary. Statistically, no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high level students in the chatting class in all dimensions; however, in the bulletin board clas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holistic measurement, the total score of analytic measurement, content, and grammar for the high level students. As for the low level students, they significantly improved in all dimensions except vocabulary in the chatting mod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every area except vocabulary and organization in the bulletin board mode.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and the findings were not very different between the chatting class and the bulletin board class. However, in terms of proficiency levels, interesting results were found. The mean scores were higher for the low level students from the chatting class, as compared to the high level students. Further, the high level students gained higher mean scores than the low level students in the bulletin board environment. Overall, although there were some negative aspects of using CMC modes in peer feedback, but the participants attitudes were mostly positive.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the bulletin board might have been a more effective peer feedback tool in terms of total frequency, the frequency of incorporation and the writing improvement of the participants's essay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more effective ways to utilize both CMC tools in the peer feedback sessions in order to improve learners' writings in the EFL classroo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