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9 Download: 0

유아의 장독립성-의존성 인지양식과 조망수용능력과의 관계

Title
유아의 장독립성-의존성 인지양식과 조망수용능력과의 관계
Other Titles
(A)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cognitive styles and perspective taking
Authors
김융희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Keywords
유아장독립성의존성인지양식조망수용능력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there was any difference in perspective taking according to children's cognitive styles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cognitive styles and children's perspective taking and to investigate what influences the children's cognitive styles have on children's perspective taking. The specific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are children's cognitive styles related to the subordinate components of children's perspective taking? 1-1. How are relationship of the subordinate components of children's perspective taking? 2. What influences the children's cognitive styles have on the subordinate components of children's perspective tak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0 children of two private kinder- gartens, 60 children were selected from each kindergarten. Two kinds of questionnaires were used. One questionnaire was the Preschool Embedded Figures Test of Coates, revised by Jun, Yun Sik to Korean situations, for finding out children's perspective styles. The other was the Kurdek and Rodgon's perspective taking ability test, translated and revised by Park, Eun Mee( 1995) to Korean situations, for measuring perspective taking. The data was analyzed by correlation coefficient,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cognitive styles and the subordinate components of children's perspective taking The independence cognitive style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patial perspective taking. The dependence cognitive style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1-1.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patial, cognitive, and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2. The children's cognitive styles had influence over the subordinate components of children's perspective taking. The influence on spatial perspective taking among those on subordinate components was the greatest. Next was the influence on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while that on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was the leas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장독립성-의존성 인지양식과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의 하위요인과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알아보고, 유아의 조망수영능력의 하위 요인이 유아의 인지양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장독립성-의존성 인지양식과 조망수용능력의 하위요인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1-1. 조망수용능력의 하위요인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의 하위요인은 유아의 인지양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2개의 사립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60명씩 120명이었으며, 연구방법으로는 두 종류의 검사를 사용하였다. 하나는 유아의 인지양식을 알아보기위해 Coates의 유아용 숨은도형 찾기검사(Preschool Embedded Figures Test: PEFT)를 전윤식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 한 유아용 인지양식 검사를 사용하였고, 또 다른 하나는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Kurdek와 Rodgon의 조망수용검사를 수정하여 사용한 박은미(1995)의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장독립성-의존성 인지양식과 조망수용능력의 하위요인과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유아의 인지양식 중 장독립성 인지양식이 조망수용능력의 하위요인 중 공간조망수용능력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유아의 인지양식 중 장의존성 인지양식이 조망수용능력의 하위요인 중 감정조망 수용능력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1-1. 공간, 인지, 감정조망수용능력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전체적으로 낮은 상관을 보였다. 2. 유아의 장독립성-의존성 인지양식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영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망수용능력의 하위요인 중 공간 조망수용능력이 유아의 인지양식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갖고 있었다. 인지조망수용능력에 유아의 인지양식에 가장 적은 영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