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6 Download: 0

시판 소주의 관능적 특성 및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구매행동

Title
시판 소주의 관능적 특성 및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구매행동
Other Titles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Soju and consumer behavior on the liking
Authors
지주희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시판 소주의 관능적 특성 평가를 위한 방법과 절차를 확립하고, 브랜드 노출에 의한 효과가 소비자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먼저 묘사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시판되고 있는 소주 7개 제품에 대한 관능적 특성 강도를 평가하였으며, 주성분 분석을 수행하여 소주의 주요한 특성을 요약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20대 남녀 224명을 대상으로 소비자 기호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내부적 기호도 도표화 기법을 사용하여 개개인의 소비자 기호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소주 섭취 행동에 관한 질문들을 조사하였고,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수행하여 질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소주의 묘사분석 결과 알코올향, 정향향, 인공적 과일향. 발효취, 단맛, 신맛, 쓴맛, 알코올 향미, 정향 향미, 인공적 과일 향미, 발효 향미, 파라핀 향미, 통감의 총 13가지 향미와 감각 특성이 개발되었으며, 이들 모든 특성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소주에 대한 소비자 기호도 조사 결과, 브랜드 비노출 그룹의 경우 제품 간의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브랜드 노출 그룹의 경우. 서울 지역에서 판매되어 소비자들에게 익숙한 제품의 기호도가 다른 시료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소주의 섭취행동 조사 결과, 소주의 섭취 빈도와 평균 주량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 즐겨 마시는 소주는 서울 지역에서 판매되어 소비자들에게 익숙한 제품이 대부분이었으며, 소주를 선택하는 이유는 브랜드 명성, 구매하기 쉬움, 맛 항목이었다. 브랜드 비노출 그룹 중, 소비자 기호도를 평가한 시료 중에서 평소 소비자가 즐겨 마시는 소주를 알아 맞은 사람의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소주의 포장 및 디자인과 브랜드 네임 대한 선호도 또한 서울 지역에서 많이 판매되어 소비자들에게 익숙한 제품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특정 소주를 선택해서 마시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의 비율보다 더 많았으며, 알코올 도수에 대한 고려 여부는 알코올 도수에 대하여 고려한다고 답한 사람보다 그렇지 않다고 답한 사람의 비율이 더 많았다. 또한 알코올 도수에 대하여 고려한다고 답한 사람들 중 낮은 도수를 선호한다고 답한 사람이 월등히 많았다. 소주의 섭취 행동에 관한 항목 간의 교차분석 결과, 소비자들이 평소 즐겨 마시는 소주는 소주를 선택하는 이유, 브랜드 네임 및 알코올 도수의 고려 여부와 관련이 있었다. 이 연구 결과, 소주의 묘사분석을 통하여 향미 및 감각 특성 13가지가 개발되었으며, 훈련된 검사원들은 7가지 소주의 관능적 특성을 구별할 수 있었다. 또한 소비자 기호도와 소주의 섭취 행동 조사에서, 소주의 기호도를 결정하는 요인은 맛에 의한 영향보다 브랜드 노출에 따른 효과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소비자들은 서울 지역에서 판매하고 있는 제품에 익숙해져 있으나, 제품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는 다르게 형성되어 있음이 나타났다.;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sensory evaluation method and procedure for commercial Soju product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rand of Soju on the consumer liking. Descriptive analysis and consumer taste testing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7 commercial Soju. In the descriptive analysis, eight panelists evaluated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Soju products using 12 flavor and 1 sensation attributes. The attributes were alcohol, clove, artificial fruit and fermented odor, sweet, sour and bitter tastes, alcohol, clove, artificial fruit, fermented and paraffin flavor, and pain sensation. For the descriptive dat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mean values of descriptive attributes obtained in descriptive analysis to summarize sensory characteristics of Soju. In the consumer taste testing, 224 Soju drinkers were recruited from the 20's age group. This group was divided into two subgroups; the blind group and branded group. For the consumer data, internal preference mapping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onsumer liking,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tabulation; they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drinking behavior of Soju.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amples for 13 sensory attributes. The PCA of Soju showed that the first two principal components could explain 56% of the variation and 78% with third principal component added. The preference of the consumer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out the bottle. However, consumers preferred JIC and DOC with the bottle. As a result of the cross tabulation analysis at the drinking behavior of Soju, the favorite Soju of individuals have influence on the reason of Soju choice, the preference of brand name, and the consideration of alcohol degre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