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경애-
dc.creator김경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9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2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5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239-
dc.description.abstract정보ㆍ지식의 창출을 통한 경쟁력 강화의 문제는 조직뿐만 아니라 개인에게도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개인의 능력을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한‘학습(Learning)’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교사 학습조직은 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주목적으로 하는 교사 개인들이 연합한 단위로서, 개인 학습자가 지식의 공급자임과 동시에 수요자 역할을 담당하여 지적으로 성장하는 집단이며, 전문적인 학습공동체로 변모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공식적ㆍ비공식적 조직이다. 학교 현장에서 학습조직은 교사들을 중심으로 소ㆍ대규모 또는 비ㆍ공식적으로 꾸준히 조직되어 발전되고 있으며,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교육인적자원부의 교육정보화 정책으로 교사 학습조직의 활동 영역은 면대면 학습 형태인 오프라인 공간에서 온라인 공간으로 확장되고 있다. 교사의 자발성과 연대성을 기초로 학습 활동을 하는 전문적 학습공동체도 존재하므로 본 연구에서의 교사 학습조직은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형성된 공식적인 조직과 교사의 자발성과 연대성을 기초로 형성된 비ㆍ공식 조직을 포함하였다. 교사 학습조직을 조직 구성원의 자발성과 연대성으로 대표될 수 있는 공동체 특징과 비교하여 볼 때 모든 교사 학습조직을 학습공동체로 정의하기는 어렵다. 공동체는 자발적인 동기에 의한 문화적 연대이며, 공유된 사상과 이상으로 결속된 개인의 집합이기 때문에 이러한 연대와 결속은‘나’의 집합에서‘우리’의 집단으로 변화시킬 만큼 견고한 것이기 때문이다(Sergiovanni, 1994). 그러므로 교육 정책의 구조 안에서 구현되고 있는 교사 학습조직의 경우, 공동체 가치가 구성원의 사고 중심에 자리매김할 때 진정한 학습공동체로 볼 수 있다. 어떠한 조직에서든 지도력은 조직원 구성원의 공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도자 개인이 집단 구성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과정이다. 학습조직에 활기를 불어넣는 지도자의 능력은 구성원의 본질을 이해하고 구성원들이 요구하는 학습 욕구와 기대를 이해하는 것이다. 교사 학습조직에서 개인의 능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극대화하기 위해서 교사 개개인의 자발적인 노력과 공동체 형성을 위한 지도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그러나 선행 연구 결과들은 주로 기업의 학습조직에 이루어진 연구이다. 또한 변환적 지도력이 학습조직을 활성화시키는데 새로운 지도력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기존의 학습조직에서 요구되는 지도력 유형에 관한 연구는 학습조직의 형태를 세분화하여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한계를 갖는다. 즉 학습조직에서 요구되는 지도력의 유형은 학습조직의 형태가 동일하다는 가정에서 비롯된다. 학습조직의 형태에 따라 공간 형태, 의사 소통, 활동 형태, 학습 성향, 학습 능력 등은 다르게 나타나며, 지도자가 가져야 할 능력과 역할은 조직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교사 학습조직의 활동 영역도 면대면 학습 형태인 오프라인 공간에서 온라인 공간으로 확장됨에 따라 시ㆍ공간적 거리를 극복하여 쌍방향적인 학습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온라인 학습공간은 오프라인 학습 공간과는 다른 학습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참여자간 수평적인 상호작용은 조직원의 자율적인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지도력의 요인들이 더 중요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동일한 학습 목적을 가지고 조직된 교사 학습조직이라도 조직의 형태 따라 구성원이 인식하는 지도력의 요인은 다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 학습조직과 지도력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해 오프라인ㆍ온라인 교사 학습조직, 교환적 지도력과 변환적 지도력에 대한 개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서로 다른 특징을 지니면서도 상호보완적인 형태로 발전하고 있는 교사 학습조직의 구성원이 인식하고 있는 지도력 유형에 대해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첫째, 교사 학습조직과 지도력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해 오프라인ㆍ온라인 교사 학습조직, 교환적 지도력과 변환적 지도력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차이점을 규명한다. 둘째, 교사 학습조직의 구성원이 인식하는 지도력의 유형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셋째, 오프라인ㆍ온라인 교사 학습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지도력의 하위 요인을 분석하여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분석한다. 현재 교사 학습조직의 구성은 지역교육청별, 학교단위별, 교과별, 직급별, 관심사별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많은 수가 단위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조직되고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전체의 현황을 살펴보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교사 학습조직인 형태로 교육인적자원부에 등록된 약 700여개 전국초중등교과교육연구회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Bass(1992)가 변환적 지도력과 교환적 지도력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다요인 지도력 설문지(MLQ: 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를 이용하였다. 교사 학습조직의 특성과 구성원이 인식한 지도력 유형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 학습조직의 특성은 오프라인 교사 학습조직과 온라인 교사 학습조직에서 활동 목적 및 활동 내용이 유사하였으나, 온라인 교사 학습조직의 경우, 오프라인 교사 학습조직에 비해 온라인상에서의 대화 확장 및 상호작용을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구성원들은 공동 연구와 정보 공유의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학습 활동에서 뿐 아니라 동료 교사 간 친목 도모를 위한 자연스러운 참여 과정 안에서도 학습의 의미를 인식하고 있었다. 여러 선행 연구의 결과와 같이 변환적 지도력이 교환적 지도력보다 학습조직을 활성화하고, 교사 학습조직의 구성원이 인식한 지도력 유형으로 볼 수 있다. 각각의 교사 학습조직의 구성원이 인식하고 있는 지도력 유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형태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온라인 교사 학습조직이 오프라인 교사 학습조직보다 변환적 지도력의 하부 요인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변환적 지도력의 카리스마적 요소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선행 연구의 결과와 같이 형태를 구분하지 않은 교사 학습조직에서는 변환적 지도력이 교사 학습조직과 밀접한 지도력 유형인데 반해 활동 영역이 기존의 제한된 공간에서 활동하는 면대면 교사 학습조직이 사이버 상으로 확장ㆍ발전된 온라인 교사 학습조직에서는 변환적 지도력의 요인이 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이와 같이 차이가 나타난 이유는, 오프라인 교사 학습조직과 온라인 교사 학습조직의 학습 공간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 교사 학습조직의 학습 공간은 온라인이며, 온라인상의 사이버 공간에서 지도자와 조직 구성원 간 대화의 확장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온라인 교사 학습조직은 쌍방향으로 동시ㆍ비동시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에‘상호작용’이 극대화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지도자의 권한이 모든 참여자에게 분산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의 공간의 특징과 오프라인 교사 학습조직에 비해 참여자의 접근이 용이한 점은 동기 부여와 개별적인 고려와 같은 변환적 지도력 요인이 상대적으로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온라인 공간에서의 학습 활동과 이를 촉진하기 위한 지도력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공간의 특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정보,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등 기술적 요인 뿐 아니라,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의 지도자와 조직 구성원의 신뢰, 관계망의 구성, 공동체의 형성이라는 보다 거시적인 접근이 필요하다.;With the progr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importance of learning to develop and maintain individual competence is growing significantly. A teacher learning organization is a unit of association of teachers the main purpose of which is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 capabilities. In such an organization, the members grow intellectually with each individual learner playing the role of supplier of knowledge and at the same time, the producer thereof. These kinds of formal/informal organizations are making incessant efforts to develop themselves to becom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the school scene, learning organizations are constantly being organized and developed with the teachers at the center. With the progress being made in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education information policy being promo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e sphere of teacher learning organizations is expanding from the off-line space of face-to-face learning into the on-line space. The learning activities in on-line space play the role of supplementing the group education conducted in the form of face-to-face learning of the past; and in the on-line space, the teacher himself/herself becomes a supplier and a user of knowledge at the same time, shares the knowledge he/she is interested in with colleagues, and utilizes it. If the value of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is placed on the center of the thinking of their members, it can be regarded as a true learning community. In any organization, leadership is a process where the individual leader exercises influence on its members to achieve their common goals. A leader's ability to give life to a learning organization lies in understanding the qualities of its members, their desire for and expectation on learning. To utilize and maximize the individual abilities of its members in a teacher learning organization, the individual efforts of each teacher and the leader's role of forming a community are essential. An on-line learning space has a different learning culture from that of off-line learning space, and considering the horizontal interactions between participants in an on-line space, the elements of leadership that encourages the spontaneous activities of its members can be recognized to become more important in on-line space.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leadership elements that are recognized for each teacher learning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leadership type and learning space, which are basic requirements for a teacher learning organization. This research intends to identify the type of leadership recognized for each teacher learning organizations that is being developed while show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still supplementing each other.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recognized elements of leadership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 teacher learning organization are as follows: While off-line teacher learning organizations and on-line teacher learning organizations were similar in their purposes and contents of activities, in the case of on-line organizations, the members perceived the expansion of on-line conversation and interactions as essential elements compared to those of off-line organizations. That i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ctivates a learning organization more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can be regarded as the leadership type that is recognized in members of a teacher learning organizati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leadership recognized for off-line and on-line teacher learning organization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adership elements recognized in each type of learning organization, on-line teacher learning organizations are found more related to the subordinate elemen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ut as to the charismatic element,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other words, teacher-learning organizations, as the learning organizations in corporations, requi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 found in the results of the preceding research, on-line learning organizations, the sphere of which is expanded and developed into the cyber space from the old and limited face-to-face form teacher learning organizations, ar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elemen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he case of on-line teachers' organizations, it can be said that interaction is maximized since interactive and simultaneous/non-simultaneous communication is possible.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authority of the leader can be dispersed to all the participants. The reason that difference was found in leadership elements according to the form of teachers' study society seems to result from the difference in learning space between off-line teacher learning organizations and on-line teacher learning organizations. Therefore, the leader of an on-line teacher learning organization is recognized to help activate group learn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environment, to develop new ideas and to nurture abiliti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ch emphasizes the inspirational motivation,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The learning space of on-line teacher organization is on-line; therefore, to discuss the leader of the cyber space, in other words, to discuss the learning activities and leadership that facilitate thereof in cyber space, we ne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n on-line space. Taking more comprehensive approaches including the trust between the leader and members, construction of a relationship network, formation of community as preconditions of learning as well as technological elements including information, network, communication, etc. is necessary. Leadership in an on-line space also needs to be reorganized in this perspecti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ⅴ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9 C. 용어의 정의 11 D. 연구의 제한점 12 Ⅱ. 이론적 배경 13 A. 교사 학습조직 13 1. 학습조직 13 2. 교사 학습조직 18 3. 교사 학습조직의 특성 26 B. 지도력 37 1. 지도력의 개념 37 2. 지도력 이론의 발달 과정 39 3. 교환적 지도력과 변환적 지도력 47 C. 학습조직에서 지도력 유형의 선행 연구 53 Ⅲ. 연구 방법 및 연구 절차 56 A. 연구 대상 56 B. 연구 절차 57 C.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58 D. 연구 가설 59 E. 연구 도구 60 Ⅳ. 연구 결과 69 A. 교사 학습조직의 특성 69 B. 교사 학습조직의 지도력 유형 73 C. 오프라인ㆍ온라인 교사 학습조직의 지도력 유형 78 Ⅴ. 결론 및 논의 82 A. 요약 82 B. 논의 87 C. 제언 92 참고문헌 93 부록 101 ABSTRACT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144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전국교과교육연구회 구성원들의 지도력 유형에 대한 인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THE TYPE OF LEADERSHIP RECOGNIZED IN MEMBER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EDUCATION RESEARCH SOCIETY-
dc.creator.othernameKim, Kyung Ae-
dc.format.pagevii, 10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