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2 Download: 0

콜버그 도덕발달론의 심리학적-철학적 접근방식에 관한 고찰

Title
콜버그 도덕발달론의 심리학적-철학적 접근방식에 관한 고찰
Other Titles
(THE) METHODOLOGY OF PSYCHOLOGICAL-PHILOSOPHICAL INTEGRATION IN KOHLBERG'S MORAL THEORY
Authors
부성희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콜버그도덕발달론심리학철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mplication of psychological-philosophical approach in Kohlberg's moral theory. The questions are phrased as follows: 1. What is the meaning and basis of isomorphism between psychological explanation and philosophical justification about the psychological fact of moral development? 2. What is the specific meaning of complementarity thesis in Kohlberg's psychological-philosophical integration? How do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sychological explanation and philosophical justification depicted in Kohlberg's moral theory? By What logical structure is the complementarity thesis developed and accomplished? Wha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complementarity thesis in attempting to make an psychological-philosophical integraion in Kohlerg's moral theory? 4. What contribution is possibly spalled out into moral educational theory and the research of moral development for moral education from Kohlberg's psychological-philosophical approach to the construction of moral theory ? Ultimately, the mais concern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tructure which enables the psychological-philosophical integration in Kohlber's moral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ing of isomorphism in the structure of the psychological-philosophical integration is that there is isomorphic structure between psychological explanation and philosophical justification. Especially, the thesis is based on the parallel connection between the psychological criteria of differenciation and (hierarchical) integration for psychological explanation and moral criteria for philosophical justification for higher stage's moral adequacy. Specifically, from a psychological point of view moral stages are gradually differenciated and integrated and finally reached to the state of equilibrium, where is no more moral conflicts. In other side, from a moral-philosophical point of view, the more higher moral stages reflects the more adequate forms of moral reasoning. And this adequacy is justified by the formal criteria of prescriptivity and universalizability. These moral criteria stipulate and corresponds to the psychological criteria of differenciation and integration. 2. The meaning of the complementarity thesis in the psychologicla-philosophical integration is that psychological theory(integrated and constructed by both psychological explanation and philosophical justification) is able to contribute to the moral philosophical discussion. Specifically, this thesis imply that Kohlberg's psychological theory can order the tradition of moral philosophy according to moral adequacy. Therefore, this thesis also imply that the moral theory of justice (stage 6) is most morally adequate and superior one exceeding other series of moral theories and moral principles. But this thesis has its limitation in itself. Since it is ultimately from his original philosophical premises(presupposed before psychological research) of philosophical justification (not from the pure empirical research findings). Consequently he really derives ought from "ought" not from "is". In this context, his approach to integration is in a circular way instead of committing the naturalistic fallcy. 3. Kohlberg's psychological-philosophical approach to the construction of psychological theory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more adequate explanation as to the facts of moral development (as to why people does move from stage to stage). Philosophical justification of moral stages is essentially required in Kohlber'g moral theory for explaining psychological facts of moral development, specifically for elaborating and clarifying the idea of psychological conception of equilibrium. In addition to this, it provides the meaningful concept of morality (as justice) which enables adequately explain and understand the facts of moral development on the ethical basis as well as psychological basis. For Kohlber's theory contributing to the direction of future-theory and research on moral education. the hermeneutical approach to psychological-philosophical integraion in Kohlberg's moral theory is recommendable. I suggest that the integration need not always attempted for generalization in general ethical theory(like Kohlberg's theory) instead, for providing adequate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as to the facts of moral development. Since Kohlberg's theory has built into it claims about the moral philosophical justification as well as moral psychological implication, it helps us access to develop the active program for moreal education, only if his philosophical stance is acceptable. Kohlberg's psychological-philosophical approach to moral theory could contribute to clarifying the area which philosophy(ethics)render services to in the field of moral pshychology. Conclusively, I suggest that more grave significance in Kohlber's psychological-philosophical integration must be lied on that it open the possibility of constant communication and active interaction between psychology and philosophy in moral theory for moral education.;본 연구는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에서 심리학과 철학의 통합적 접근방식을 고찰해보고 그 의의와 한계점을 밝힘으로써 그것이 도덕발달의 연구방법과 도덕교육이론 및 실제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기하고 있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콜버그 도덕발달이론의 통합적 접근에서 도덕발달의 사실에 대한 심리학적 설명과 철학적 정당화간의 병행론적 주장은 무엇을 의미하며, 그 근거는 무엇인가? 둘째, 콜버그의 통합적 접근에서 심리학과 철학간의 보완론적 주장의 의미는 무엇이며 그러한 주장이 도출되어 나오는 통합의 구조는 무엇인가? 또한 통합의 전체적 구조에서 보여지는 보완론적 주장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세째,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에서 심리학과 철학의 통합적 접근이 갖는 의의는 무엇이며, 한계점을 극복하고 의의를 부각시키기 위한 대안은 무엇인가? 궁극적으로 콜버그의 통합적 접근이 도덕발달연구와 도덕교육의 이론 및 실제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문제에 대한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콜버그의 통합적 접근에서 병행론(isomorphism)의 의미는 도덕발달의 사실에 대한 심리학적 설명과 철학적 정당화간에 병행의 구조가 존재한다는 주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주장의 근거는, 도덕단계의 이동(도덕발달)을 설명하기위한 심리학적 준거와 도덕단계의 도덕적 적절성을 정당화하기 위한 도덕적 준거가 병행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관점으로부터 비롯된다. 즉 심리학적 견지에서 도덕단계의 이동(도덕발달)은, 상위단계로 갈수록 보다 분화되고 통합된 도덕판단의 형식을 갖추게 되어 마침내 발달의 최종지점인 평형상태에 이르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된다. 이러한 발달의 사실은 철학적 견지에서도 설명될 수 있는 것이라고 주장되는데, 그것은 상위 도덕 단계로 갈수록 보다 규정적이고 보편적인 도덕판단형식으로서 도덕갈등상황을 보다 안정적이고 적절한 방식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철학적으로 정당화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병행론적 주장의 의미는 이러한 심리학적 설명과 철학적 정당화간에 병행의 구조가 존재한다는 것, 즉 심리학적으로 분화되고 통합되는 도덕판단형식은 곧 철학적으로 규정적이고 보편적으로 되어가는 도덕판단형식을 함축하는 것이라는 설명으로부터 이해 될 수 있다. 또한 도덕적 갈등(moral conflict)을 해소하기 위해 분화되고 통합되어가는 도덕판단형식이 발달의 최종지점에서 가장 평형화된 상태에 이르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보다 규정적이고 보편적인 도덕판단형식은 결국 발달의 최종지점에서 도덕적 적절성(adequacy)의 정점으로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콜버그의 통합적 접근에서 보편론적 주장(complementarity thesis)은, 심리학과 철학이 병행론적으로 통합되어 구성된 심리학이론이 다시 도덕철학적 논의에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을 의미한다. 특히 여기에서 도덕철학적 논의에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은, 자신의 심리학이론이 기존의 도덕철학적 전통들을 도덕적 적절성에 따라 순서지을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보완론적 주장은 첫째, 심리학 이론의 구성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철학적 정당화가 보다 광범위하고 일반적인 토대위에서 이루어진것이라기 보다 자신의 형식주의 도덕철학적 입장으로부터 이루어진것이라는 것으로 볼때 한계점을 지니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러한 콜버그의 논증 자체가 다분히 순환론적(circular)인 특성을 갖는 것이고(결국은 심리학이론의 일반화가 객관적인 토대위에서가 아니라 자신의 철학적 입장으로부터 도출되어나온다는 점에서), 이러한 순환론적 논증이 지니는 난점은, 콜버그의 통합방식이 자신의 이론내에서는 논리적 일관성과 타당성을 지닌 것이라고 해도, 그것이 출발점인 콜버그의 철학적 입장에 동의하지 않는 이론체계에로까지 일반화될 수 없다는 점이다. 둘째, 콜버그의 통합적 접근방식에 내재해있는 철학적 전제와 가정들에 의해 심리학연구 자체가 이론의존적인(theory-dependent) 측면, 즉 이론에 의해 그 연구범위와 방향이 제한되는 측면을 갖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심리학적 발견은 다른 의도(가정)들에 대해서는 설명해줄 수 없고, 연구이전의 철학적 전제와 의도에 관련하여 이론화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콜버그의 심리학이론이 도덕성의 일반이론으로 확장되는 데에는 무리가 따른다고 볼 수 있다. 세째, 콜버그의 보완론적 주장은 실증적 발달의 사실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만약 실증적 증거가 미약하거나 불분명해질 때에는 보완론적 주장이 곧장 의심받게 된다는 점에서 한계점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세째, 콜버그의 통합적 접근은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보완론적 주장으로 심리학이론을 일반화시키려고 하는 통합방식을 지양하고, 발달의 사실을 하나의 도덕성의 개념으로서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설명방식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전환한다면, 도덕발달연구와 도덕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콜버그의 통합적 접근이 지니는 의의는 도덕심리학과 도덕철학이 상호각성위에서 서로 대화하여야할 필요성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 도덕발달의 심리학적 연구를 더욱 적절한 심리학이론으로 건축하는 데에 철학(윤리학)이 공헌할 수 있다는 의미를 명확히 밝혀주었다는 점이다. 여기에서 보다 더 적절한 심리학이론의 의미는, 발달의 사실뿐만 아니라 철학적 함의까지도 대변될 수 있는 심리학이론, 그리고 도덕교육에의 실제적 적용을 고무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의 심리학이론을 못한다고 볼 수 있고, 이것은 곧 콜버그가 심리학과 철학의 통합적 접근을 시도하게 된 주요동기와도 부합하는 것이다. 콜버그의 통합적 심리학이론은 발달의 사실을 보다 의미있게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도덕성 개념(정의로서의 도덕성)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도덕발달연구에 방법론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이론 내에 이미 상위단계에 대한 철학적 정당화가 이루어져있으므로, 그러한 철학적 입장에 동의할 수만 있다면, 도덕교육에서 "발달수준의 고려"라는 차원으로만 적용되오던 심리학 이론을 상위단계로의 발달을 자극하기위한 프로그램등의 보다 적극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는 것이라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