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秀眞-
dc.creator金秀眞-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5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7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4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721-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의 컴퓨터 보조 학습(CAI)은 개별화 학습의 최상의 방법으로 간주되어 강력하게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학교 상황에서는 보급된 컴퓨터를 학생 1명이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컴퓨터 한 대를 2명 이상이 협동해서 사용해야 하는 것은 실질적인 문제이며 필연적인 귀결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컴퓨터 보조 협동 학습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하게 되는 것이고 그러한 탐색은 많은 현장 실험을 통하여 판명되어져야 할 분야이며 본 연구는 그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개발원(KEDI)에서 개발된 국민학교 사회 4,5,6학년 대상 코오스웨어 「전국일주」를 통하여 컴퓨터 보조 협동 학습의 교육적 효과를 측정하고, 협동 학습과 관련된 여러 변인들 중 특히, 집단의 크기·성별·성적·등급을 검토하여 어떠한 형태로 집단을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컴퓨터 보조 협동 학습의 환경이 될 수 있을 것인지를 알아보며, 아울러 학습자 상호간의 태도 및 컴퓨터와 사회 과목에 대한 태도를 조사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 강동구에 위치한 J국민학교 6학년 3개 학급의 13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후통제집단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에 의하여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 자료로는 1989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협동 학습용 프로그램으로 개발된 국민학교 사회 4,5,6학년 대상 「전국일주」 프로그램 중 저난이도 1코스를 사용하였다(부록 Ⅲ 참조). 본 실험에 앞서 예비 실험을 1991년 8월 29일에 6학년 학생 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이를 본 실험에 반영하였다. 실험 10일 전인 1991년 9월 6일 사전 태도 조사 및 사전 필기 시험을 실시하였고 전학기 성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실험은 1991년 9월 16일 1, 2, 3교시에 걸쳐 실시하였고 실험을 하는 동안에는 협동의 정도를 체크리스트로 측정하였고 실험 후에는 사후 태도 조사 및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다(부록 Ⅰ, Ⅱ, Ⅲ, Ⅳ, Ⅴ 참조).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집단 크기별로 구성된 각 집단간에 프로그램 수행 정도와 성취도 및 학습 효과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나는가? 2) 성별로 구성된 각 집단간에 프로그램 수행 정도와 성취도 및 학습 효과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나는가? 3) 성적 등급별로 구성된 각 집단간에 프로그램 수행 정도와 성취도 및 학습 효과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나는가? 4) 협동의 정도는 프로그램 수행 정도와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5) 협동 학습이 해당 교과목 및 컴퓨터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실험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집단 크기별로 볼 때 성취도 검사에서는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사이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프로그램 수행 정도에 있어서는 실험 집단 Ⅰ(4명 협동 집단)이 통계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프로그램 수행에 있어서는 협동 집단이 긍정적인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학습 효과면에서 볼 때는 실험 집단 Ⅱ(2명 협동 집단)가 협동 학습 사후에 사전보다 통계적으로 우수함이 입증되어 2명 협동 집단을 위해 본 프로그램이 만들어졌음을 고려할 때 바람직한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성별로 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가설이 지지되었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지만 혼성 집단이 동성 집단보다는 우수하였고 학습 효과의 측면에서 볼 때도 동성 집단은 사전과 사후가 별 차이가 없었으나 혼성 집단은 협동 학습 사후에 통계적으로 우수한 점수를 나타냄으로써 혼성 집단을 바람직한 구성 요소로 제언하는데 뒷받침이 되는 연구 결과를 산출하였다. 셋째, 성적 등급별로 볼 때 성적 상/하 집단이 프로그램 수행 정도에 있어서는 가장 뛰어나 커다란 시사점을 안겨 주었고 성취도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집단이 사전 검사보다 우수하게 나타났으나, 하/하 집단은 사전 검사보다 사후 검사 점수가 낮게 나타나 오히려 부정적인 작용을 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협동의 정도는 프로그램 수행에는 긍정적인 작용을 하였지만, 성취도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협동의 정도가 협동을 하여 목표에 도달한 프로그램 수행 정도와는 상관관계가 있지만, 실험 후에 개별적으로 실시한 성취도 검사는 개인적 지식이 더 많이 작용하여 협동의 정도와 별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섯째, 협동 학습은 해당 교과목 및 컴퓨터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했으며, 협동 집단에게는 협동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협동 학습 방법을 교수 학습에 이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과 절차가 모색되어야겠다. 2. 협동 학습 방법과 교수 매체의 이용에 대한 연구가 좀 더 구체적이고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겠다. 3. 개별 학습용 소프트웨어라 하더라도 협동하여 사용했을 때 개별 학습보다 우수하지는 않다 하더라도 커다란 차이가 나지 않는다면 협동 집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4. 컴퓨터 한 대에 2명 이상이 협동하여 학생들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체적인 학습 환경이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5. 협동을 필요로 하는 양질의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컴퓨터 보조 학습이 발전해 나가고 있는 초기 단계이며, 이것이 개별 수업의 입장에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협동 학습에 대한 연구는 더욱 미비하지만, 우리나라의 현실에 비추어 생각해 볼 때 협동 학습의 필요는 강력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Currently, the need for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is raised. But, Computer-Assisted Individual Instruction is not available in Korea, because of financial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puter-Assisted Cooperative Learning on elementary student achievement in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CAI) courseware "Travelling of nation". Subjects(N=180) were 6th grade students, and were selected from three classes J-elementary school in Seoul. A survey instrument was administered asking to answer questions related to gender, prior experiences with computer and school grade. After the background information was gathered, grade level was assigned to the six group by matching method. And then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by group size and gender. After all, the subjects were 132 students. After experiment, performance level point and achievement test scores and experimenter-constructed attitude questionnaire were obtained from all the groups. The questio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on performance level, achievement and learning effect by group size ? 2.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on performance level, achievement and learning effect by gender ? 3.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on performance level, achievement and learning effect by grade level ? 4. Are there any significant corrleations among the cooperative level and performance level and achievement ? 5.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pre and post attitude test ?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1. A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 performance level between experimental group1 and control group(t= 2.20, df=34, P <.05). And experimantal group Ⅱ is signigicantly superior on the post test than the pre test. 2.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were found on the performance level and achievement by gender. But, heterogeneous group is significantly superior on the post test than the pre test. 3. Good/Worse group is the best on the performance level, Worse/Worse group is inferior on the post test than the pre test. 4. There were sinificantly related to cooperative level and performance level( r= .5137, P= .001),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ly related to cooperative level and achievement. 5. Almo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 the attitude test toward computer(P< .001, P< .01, P< .05) and subject matter(P<.001) after experi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D.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컴퓨터 보조 협동 학습 = 6 B. 협동 학습의 교육적인 가치 = 20 C. 관련 선행 연구 분석 = 24 Ⅲ.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34 A. 연구의 내용 및 가설 = 34 B. 연구의 대상 및 도구 = 38 C. 실험 설계 및 절차 = 46 D. 자료처리 방법 = 52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 53 A. 연구 대상 검토 = 53 B. 실험 결과 분석 = 62 C. 논의 = 81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 89 참고문헌 = 103 부록 = 115 ABSTRACT = 14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5658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컴퓨터보조협동학습-
dc.subjectKEDI-
dc.subject국민학생-
dc.subject전국일주-
dc.subject코오스웨어-
dc.title컴퓨터 보조 협동 학습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실험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KEDI에서 개발된 국민학생 대상 코오스웨어 "전국일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ELEMENTARY STUDENT ACHIVEMENT in CAI C/W "Travelling of nation"-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